• 제목/요약/키워드: job explor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sortium for HRD Ability Magnified Program)

  • 송영숙;정화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9-227
    • /
    • 2018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은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의 전략분야 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이며, 공동훈련에 필요한 인프라, 훈련비, 인건비 및 일반운영비 등을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재직자 교육훈련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훈련 재직자 과정에 참여한 707명의 자료를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컨소시엄 교육훈련 참여자의 성별,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요인이 교육훈련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 만족, 교육시설 및 서비스 만족, 성별 순으로 교육훈련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훈련 만족에 더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직위, 직군은 교육훈련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강사 만족이 교육 훈련 만족의 가장 큰 영향 요인이라는 점에서 강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강사에 대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육훈련 참여자가 교육훈련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현업에서 교육훈련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환경 조성 및 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 재직자의 교육 훈련 참여를 높이고, 여성 재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훈련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시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 교육훈련 시간의 적정성, 직무의 연관성, 직무의 기여도 면에서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서비스 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 (The Exploring of Servant Leadership's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ervice Industry)

  • 방용태
    • 서비스연구
    • /
    • 제10권2호
    • /
    • pp.77-89
    • /
    • 2020
  •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적 분석 틀의 구축 가능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Bandura의 사회적 학습 이론과 Blau의 사회적 교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하였다. 사회적 학습 이론에 의하면,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매력적인 역할모범의 태도와 가치관, 행동을 모범으로 삼아 학습을 하며, 사회적 교환 이론에 따르면, 상호주의의 규범에 입각하여 개인이 타인에게 유익한 편익을 제공해주면 수혜자인 타인은 그 편익에 보답할 의무를 갖게 된다고 한다. 항공사 승무원 직종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과 사회적 교환 차원이 하위직급 리더(사무장)에 대한 부하의 신뢰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리더신뢰에 대해서는 서번트 리더십의 사회적 학습 차원이 사회적 교환 차원보다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반면, 부하의 직무몰입에 대한 영향력은 그 반대임이 밝혀졌다. 이런 분석 결과는 서번트 리더의 섬김의 언행을 학습하려는 것이 리더에 대한 부하의 신뢰를 한층 공고히 하는데 보다 주효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사회적 교환을 위한 서번트 리더의 언행은 팀 구성원으로서 자기 몫을 다하려는 부하의 직무몰입에 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는 항공운송서비스라고 하는 특정 서비스산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의 보편성에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향후 서번트 리더십을 포함한 리더십 연구 및 조직 연구 전반에 걸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사회적 학습 이론 및 사회적 교환 이론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연구 분석의 새로운 틀의 출현을 가져올 이론적 성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에서의 기업사회적책임활동이 인도소재 한국IT기업의 종업원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을까? (Exploring 'Intention to Leave' management in Korean IT Firms at India : The Role of CSR)

  • 김영옥;박현재
    • 무역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85
    • /
    • 2017
  • 인도는 2014년 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사회적책임(CSR)을 법규화 하여 이를 의무화 하였다. 한편 인도 진출 한국 IT 기업들의 고민 중 하나는 종업원들의 이직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인도 소재 한국 IT기업들은 CSR활동을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 이들 활동이 과연 종업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 둘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검증, 셋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검증, 넷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배태성과 조직동일시의 이중매개효과 규명이다. 연구결과, CSR활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직무배태성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통해 이직의도를 결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도 소재 한국IT기업들이 외국법인의 의무사항으로 법규화된 CSR활동을 전략적으로 수행한다면, 이는 종업원들의 회사에 대한 적합성을 증가시키고 회사와의 일체감을 증대하여 결국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치과기공사의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ealth related habits of dental technicians)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9-38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actical data available for the effective health management and improvement for the dental technicians by explor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technicians and seven health related habits like drinking, smoking, breakfast, and snacks among the others(alameda 7). Methods: Out of the random selection of the registered dental offices of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of Korea, 2,000 working dental technician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from January 19 to April 30, 2009. We collected the 1,502 sheets of the questionnaire and took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Among the seven health related habits, 54.9% of the subject answered 'never do exercise' in the question of exercise habits,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of all. Hours of sleep and BMI were found to be quite low.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x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all the seven habits(p<.001). Marital status, job title, and health check-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ix items among the seven habits. Age, monthly income, job position showed statistical meanings in five items among the seven habits. The frequency of break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our items among the seven habits. Working environme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in the item of hours of sleep among the seven habits(p<.05).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it is vital to educate the dental technicians to learn the right habits for enhancing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and motivate them to practice those habits.

인적자본의 지역별·산업별 분포 그 외부효과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Across Korean Cities and Industries, and External Economies of Human Capital)

  • 장수명;이번송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1-33
    • /
    • 2001
  • 교육은 일반적으로 긍정적 외부효과를 가진 것으로 인식되어 교육에 대한 공공투자가 정당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5년 인구주택총조사와 1998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도시별 산업별 인적자본의 분포를 살펴보고 도시와 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수도권 도시들의 평균교육년수가 다른 지역 도시들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또 첨단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전통산업의 평균교육년수보다 크게 높았다. 교육과 경력을 포함한 개인의 특성, 기업규모, 지역특성, 산업을 통제한 후 도시의 평균교육년수가 1년 증가함에 따라 그 도시의 노동자의 임금이 약 3% 중가하고 개인의 특성, 기업규모, 산업 특성을 통제한 후 산업의 평균교육년수가 1년 증가함에 따라 그 산업 노동자의 임금이 약 5~7% 증가한다.

  • PDF

텍스트 속 자신의 표현: 영어 편지글에 나타난 수사 형태와 작문 활동에 관한 탐색 (Written Voice in the Text: Investigating Rhetorical Patterns and Practices for English Letter Writing)

  • 이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32-439
    • /
    • 2020
  • 본 연구는 영어 편지 글에 나타난 자신의 표현, 수사 형태, 그리고 작문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 대학생의 서면 텍스트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로는 학생들의 영어 취업지원서를 포함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목적-의지' 모델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재설정된 상황에서 글 쓰는 이로서의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취업 지원을 위한 편지 속 학생들의 표현 방법은 매우 다양하였고, 어느 누구도 날씨를 언급하는 한국식 편지 쓰기 방식을 채택하지 않았다. 수사 형태는 정형화된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성과 통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작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글 쓰는 이로서의 고유한 내적 가치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곧 학생들의 작문 결과가 교수자의 강의 내용과 동일한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은 특정 담화 공동체 내에서의 상황 활동이라는 사회 문화 이론을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영작문 교수자는 학생들의 삶과 학습 경험이 텍스트 속 정체성과 작문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도해야 한다.

외식 산업의 내부 마케팅 요소 개발 및 적용 방법 (Exploring Internal Marketing Mix and Its Application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 정현우;최은경;이동수;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92-203
    • /
    • 2015
  • 내부 마케팅은 서비스의 질과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내부 마케팅의 정의와 그 적용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 산업에서 사용 가능한 내부 마케팅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웹 설문지를 통하여 405개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다섯 개의 내부 마케팅 요소(비전, 개발, 보상, 동기 부여, 사내 커뮤니케이션)가 채택되었고, 자료 분석, 결과 다섯 개의 내부 마케팅 요소는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change of total fertility rate in regional level : An analysis using the panel data

  • Kim, Dok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7-86
    • /
    • 2021
  • 이 연구는 패널자료를 이용해 지역별 출산율 변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요인이 지역별로 출산율 변동에 어떻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청년층의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율 하락의 구조적 요인임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청년문제는 지역별로 상이하며, 이런 점에서 고용과 주거 문제가 출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도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글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시군구 단위의 패널자료를 구축해서 지역노동시장과 지역부동산시장 상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효과모형과 동적패널 모형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동시장 변수와 부동산 시장 변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에서 상이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출산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높은 집값이 오히려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부동산의 비용효과가 우세하고, 비수도권 지역은 자산효과가 우세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동시장 변수가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During the Initial Phase and Third Wave of the COVID-19 Pandemic: Exploring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Prolonged Pandemic

  • Choi, Huiyoung;Lee, Wangjun;You, Myoungsoon;Chang, Jhin Goo;Hong, Minha;Kim, Hyun-Soo;Lee, Su Young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0-91
    • /
    • 2022
  • Objective :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has deteriorated because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and its determinants. Methods : Two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in a hospital that received COVID-19 patients from the early phase of the pandemic in South Korea. Data on demographics, perceived threat, workplace evalu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status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20 in the initial phase (February 2020) and during the third wave of COVID-19 (December 2020) for 467 and 545 workers, respectively.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in the two phases was compared, an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uring the third wave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 psychiatric high-risk group increased from 2.8% in the initial phase to 11.4% during the third wave. The perceived threat, workplace evaluation, and resilience of respondents deteriorated. Risk factors for mental health during the third wave included the perceived threat items of job stress, loss of control, and considering resignation. Protective factors included presence of children, workplace satisfaction, and hardiness in resilience. Conclusion :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deteriorated as the pandemic progressed. General stress and tension such as job stress, loss of control, considering resignation rather than COVID-19-specific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Therefore, care for work stress itself can be helpful to maintain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Also, governance to improve workplace satisfaction or hardiness in resilience can be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for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during the prolonged pandemic.

공간 미스매치 실업과 지역노동시장권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Spatial Mismatch Unemployment and the Efficient Local Labor Market Areas)

  • 남기찬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3-17
    • /
    • 2023
  • 공간적 미스매치 문제는 수요부족형 실업문제와는 달리 기업의 노력과 국가경제의 회복만으로는 개선이 어려우며, 근본적으로 공간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구조적 실업, 특히 공간적 미스매치로 인한 실업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공간적 미스매치가 전체 실업 중에 차지하는 양상을 확인함으로서 공간 미스매치의 실태에 대해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간미스매치 문제 해소를 위한 대표적인 수단인 지역노동시장을 직종별로 획정하고, 이러한 지역노동시장이 공간 미스매치를 개선하는데 있어 효율적인지를 검토함으로서 이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일자리 관련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개별 지역 정책과 일자리 창출 정책 외에도 지역 간 연계를 통한 공간적 매칭 등 다차원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