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xplor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의 자아상태가 진로포부와 직업선택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Ego Status on Career Aspiration and Job Choice Value)

  • 유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55-660
    • /
    • 2017
  • 본 연구는 관광경영학과 학생들의 교류분석 결괴에 따른 자신의 진로에 대한 포부와 직업 선택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경기도 소재 S대학 관광경영학과 재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총45문항으로, 직업선택 가치의 조사항목은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리더십욕구, 전문성향상, 직계향상, 사회적기여, 지적가치산출, 여가보장, 급여수준 등 7개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포부와 직업선택 가치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에고그램 구조에서는 성인 자아샹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직업포부가 크고, 성인자아 활동이 높을수록 직업선택의 가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류 분석이론을 기초로 한 자아상태 프로파일 분석은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향후 직업 선택 및 직업 선택의 가치 적성을 탐색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직업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진로대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Exploring Stress Level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a Sample of Police Officers in Greece

  • Alexopoulos, Evangelos C.;Palatsidi, Vassiliki;Tigani, Xanthi;Darviri, Christin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4호
    • /
    • pp.210-215
    • /
    • 2014
  • Background: The ongoing economic crisis in Greece has affected both stress and quality of life (QoL) at all socioeconomic levels, including professionals in the police for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ived stress, job satisfaction, QoL, and their relationships in a sample of police officers in Greece.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trimester of 2011 in 23 police stations in the greater Athens area. A total of 201 police officers agreed to participate (response rate 44.6%).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28 (GHQ-28) was used to assess general health,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Questionnaire and Perceived Stress Scale-14 (PSS-14)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QoL and perceived stress, respectively. Results: The PSS and GHQ subscales and total scores exhibited strong,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coefficients (r): 0.52 for somatic disturbances, 0.56 for stress and insomnia, 0.40 for social dysfunction, and 0.37 for depression, yielding an r equal to 0.57 for the total GHQ score. A higher level of perceived stress was related to a lower likelihood of being satisfied with their job; in this regard, male participants and higher ranked officers reported lower job satisfaction. The PSS and GHQ scores were inversely, consistent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almost all of the QoL aspects, explaining up to 34% of their variability. Parenthood had a positive effect on QoL related to physical health, and women reported lower QoL related to psychological health. Conclusion: Higher levels of stress are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of reporting suboptimal job satisfaction and QoL. The magnitude of these associations varied depending on age, gender, and rank, highlighting the need for stress-management training.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탐색 (Exploring Antecedent Factor that Influenc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연우;신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9-337
    • /
    • 2019
  • 치과의료에 대한 공급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문성이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인정받는다고 보기에는 힘든 상황이며, 이로 인해 치과위생사의 직무불만과 이직의도는 의료기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여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선행요인을 보다 다각도로 탐색하게 위해 개인의 특성(낙관성)과 직무와 관련된 특성(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과 관련된 특성(조직지원인식)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 199명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치과위생사의 낙관성과 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지원인식은 모두 직무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만족이라는 매개변수에 의해 보다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높은 이직률과 직무불만으로 고통받는 치과 의료기관들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용적 성장을 위한 신용보증기금의 사회적 가치 창출 : 사회적 경제 기업 및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KODIT's Social Value Creation for Inclusive Growth: Focusing on the Supporting Program for Social Enterprise and Job Creation)

  • 안경민;권상집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21-40
    • /
    • 2020
  • Korea Credit Guarantee Fund(KODIT) is a public financial institution under the provision of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Act. Facing the waves of change both locally and globally, KODIT will serve as 'social value creator' in making a paradigm shift from a large corporation(Conglomerate-dominated) economy to a social enterprise-oriented one based on social econom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pporting service programs for social enterprises and job creation how it affects the performance of social value creation of KODIT. There is currently no detailed research of the social value in terms of the business and management academic agend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creation on the policy financial institutio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case study for social value performance. As a public policy financial institution, KODIT exert diverse efforts to correct market failure and achieve inclusive growth. For example, KODIT extends credit guarantee services for the liabilities of promising corporations and stimulates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pporting programs for social enterprises. Although the role of social value and social economy has gained business field attention,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explain how social value is achieved. The present study can thus act as the foundation for exploring the social value creation in the circumstances of public financial institution.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간접적 직무체험 (Job Shadowing)에서 직업진로 발달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the Job Shadowing of th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조은희;박주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77-1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 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 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찰의 직무만족이 자치경찰 도입 기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Police's Job Satisfaction on Expectation over Introduc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 신재헌;김상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99-309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경찰의 업무환경에 대한 만족 수준이 자치경찰 도입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경찰 업무환경에 대한 만족 정도에 따라 현 체제에 대한 변화 혹은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전보를 고려하는 경찰의 입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현직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의 직무만족에 따라 자치경찰 도입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찰의 직무만족 수준이 물리적 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에 대하여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는 내재적 직무만족만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앞서 자치경찰에 대한 조직 및 인사 등에 대한 정리가 우선되어야 내부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간호사와 재미한인간호사의 조직몰입, 간호조직문화, 직무만족도 비교 (Compa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Nurses Working in Korea and the U.S.)

  • 김영임;근효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3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Korean nurses employ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determine how thes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selected study characteristics. Methods: An exploratory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57 nurses from Korea and the U.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web site survey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 comparison to Korean American nurses (KAN), Korean nurses (KN) were younger, single, worked more time, took a charge role or higher, and had less turnover experience.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marital status,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K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KAN, respectively (F= -26.02, p<.001; F= -4.87, p=.028).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elected socio-demo-health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three variables were higher for KN. Conclusion: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from all Korean nurses were related their perceiv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include exploring a larger sample size of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s and staff as well.

온라인 채용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과학자 요구 역량 탐색 (Exploring the Job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s Using Online Job Posting)

  • 김향단;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0
    • /
    • 2022
  • 4차 산업혁명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직종들이 등장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직종 중에 최근에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직종은 '데이터 과학자 (Data Scientist)'일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이 우리들의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온라인에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에 대한 데이터가 매시간 컴퓨터에 저장되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런 빅데이터로부터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기업의 노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직종이 바로 '데이터 과학자'이다. 빅데이터 시대를 이끌어갈 유망 직업인 데이터 과학자에 대한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지만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현황이다. 분석과 관련된 기술과 도구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여전히 이러한 기술을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데이터 과학자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 과학자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과학자의 역량을 기업의 실제 채용정보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과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시스템 분석가들에게 요구되었던 Technical Skill과 System Skill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컨설턴트나 Project Manager에게 요구되었던 비즈니스 관련 스킬이나 효율적인 팀워크를 위한 대인관련 스킬도 광범위하게 요구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데이터 과학자란 직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데이터 과학자를 채용하기를 원하는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한식당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in Franchised Korean Restaurants: Moderating Effects of Employment Type)

  • 이상희;임배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9
    • /
    • 2015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한식당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고용형태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해외진출 매장이 있거나 있었던 5개 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돌려 271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요인 간 연관성 측정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가설을 토대로 다중회귀 분석과 고용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업무만족 요인과 상사만족 요인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수만족 요인과 승진만족 요인은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프랜차이즈 한식당 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는 상사와 고용형태의 상호 작용항만이 부분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종사원의 고용형태와 무관한 공정한 직무평가 방식과 직무성과에 따른 동등한 보상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반드시 실행한다는 믿음을 모든 직원들에게 심어주는 인력운영 방침이 요구되며,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계자료에 활용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n One Korean Private Organization

  • LIM, Taej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7-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ub-organizations of one Korean conglomerate company. One thousand employees were randomly and proportionately selected, with 669 useable cases obtained, for a response rate of 67%.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strument used from the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scale (ACNCS) of Allen and Meyer (1990).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 of Watkins and Marsick (1997)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e short form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eiss, Dawis, England, and Lofquist (1967), was the third instrument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ANOVA and t-tests) were u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ept for continuance) is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n additi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s weakly to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No differences by age were found. Four-year college graduate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graduate school degree holders. Males are likely to have higher affective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females. Employees working in R&D,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REM) are likely to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do other types of jobs.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an assistant managers. Assistant managers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managers. Managers generally hav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job satisfaction than assistant managers. They also have higher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employees. Employee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four years in their current job and organization have higher promoting inquiry and dialogue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those who have worked for ten years or more. Employees in the insurance organization have higher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an those of the other organizations. Finally, employees of the electronic company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those of other companies. In summary, this research enables CEOs and HRD and HRM practitioners to view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oring diverse ranges of topics related to the workplace. And then, they can diversely apply their management, interventions and practices to fit these divers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