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xploring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5초

중소기업 사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Small Businessess on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곽노학;체렝후;장석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19-25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 사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훈련 활용도와 참여형 실습시간 충분도였으며 직무대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내 교육훈련의 품질, 교육훈련 활용도, 실습시간 충분도로 나타났다. 향후 지속적 교육훈련 참여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훈련 정보 접근성, 교육장 위치 및 교육 환경, 실습시간 충분도로 나타났으며 여성과 생산직 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 의지가 높았고 20대, 3-5년 근속 근로자의 교육훈련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사내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내 교육훈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효과적인 요인을 탐색하고 그 영향력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및 직무착근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Burnout,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36-24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을 증진하고자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와 조직몰입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치과의료전달체계 및 인력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1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대전·충청·전라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사용하였다. 조직몰입과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정서적 소진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적 소진과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적응유연성과 직무착근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에 영향 요인은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탐구 시 정서적 소진, 적응유연성, 직무착근도를 포함한 맞춤형 중재전략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통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영향과 사회적 지원 및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on Retailing services employee's)

  • 지귀정;박지영;김제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7-263
    • /
    • 2015
  •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effects derived from emotional labor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and draw way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employees by exploring effects of the emotion work on performance.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s and empi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false face acting on emotion work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work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verify the hypothesis,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0 and AMOS19.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for the path-coefficient for "emotional labor ${\rightarrow}$ emotion work" and "emotional labor ${\rightarrow}$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path-coefficient for "emotional labor ${\rightarrow}$ service lev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effects of emotion work 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emotion work on the service level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effects of false face acting on emotion work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effects of false face acting on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nth, moderating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lastly,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work from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was not verified in job satisfaction, while emotion work, job autonomy, and interaction variable in service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보육교사의 플로리시와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간 영향 관계에서 자기주도직무설계의 조절효과 탐색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Flourish and 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Child)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42-552
    • /
    • 2022
  • 보육교사 직무의 중요성은 최근 대전환적 사회 환경 변화로 인해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수행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여 다양한 직무요인 측면의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된 실무적 활용과 제도적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플로리시, 영유아권리존중보육, 자기주도직무설계를 선택하여 기능적 영향관계와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들 변수를 활용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 연구가 부존하기 때문에 보육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시초적 정보를 취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대에 따른 플로리시, 근무시간에 따른 부정적 직무요구 감소만 집단별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고, 플로리시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선행하며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자기주도직무설계 중 사회적 직무자원 증진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직무 관리 전략을 새롭게 마련하고 실효성 높은 요인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LMX 관계의 질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Exploring of Factors Influencing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MX on Job Satisfaction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 남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64-76
    • /
    • 2020
  •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 이하 JD-R모형)에 기반을 두어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이하 WFC)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의 질이 직무만족 간에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여성가족패널데이터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총 945명을 대상으로 하고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근로자의 WFC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WFC는 직무스트레스를 통해서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의 질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어주어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성과를 이끌어 내는 다차원적인 심리적·맥락적 요인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구성원의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 상사의 지원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역할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Exploring the Role of Supervisor Support and Perceived Internal Equity)

  • 장옥진;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71-579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내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보상의 요인은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의 두 하위차원으로, 내적 공정성은 분배공정성과 상호 작용 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업 구성원에 대한 보상이 상사의 지원에 따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 그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는 다양한 기업의 157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외적 및 내적 보상은 직무만족, 지각된 내적 공정성, 상사의 지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보상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구성원의 심리적 영역인 내적 공정성의 지각을 통해 영향관계가 형성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구성원에 대한 보상과 지각된 내적 공정성의 관계에서 상사의 지원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보상의 공정성에 주목하여 개인간 상대적인 보상 차이에 대한 합리적인 논리와 메커니즘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관리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Exploring of Resilience in Emergency Infectious Diseases to Moderat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9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련성 탐색 (Exploring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Job Creation)

  • 윤현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3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기업가적인 특성들이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PDF

상급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Explori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 곽숙희;현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3-30
    • /
    • 2019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로서 상급종합병원 두 곳을 편의추출하여 이 두 의료기관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는 서술통계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조사연구가 실시된 상급종합병원 두 곳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모두 여성으로 30세 미만이며 미혼이 대부분이었다. 학력은 학사가 대부분이었다. 간호사 월수입은 93.8%가 150이상 300만원 미만으로 응답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난 하위영역은 '의사와갈등', '보호자와 환자', '대인관계갈등'이었고, 직무만족이 가장 낮은 영역은 '보수및승진' '필수적직무'였다. 높은 이직의도를 보인 경우는 '본인이 원하지 않는 부서이동이 되었을때 이직하고 싶다', '부서이동을 인해 업무수행에 어려움이 심할 때 이직하고 싶다', '업무에 비해 월급이 적다고 느낄 때 이직하고 싶다' 등이었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이 서비스를 정착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의료인력인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 명확한 업무에 대한 규정, 일반병동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중에 선호하는 곳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중도지체장애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가족 역할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roles on the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이은미;백은령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61-86
    • /
    • 2006
  •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 role of family in promot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6 theme clusters and 14 sub-themes have appeared. Participants have vividly revealed their experiences with regard to the various support and help of their family. They were provided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which helped at great extent to overcome the anger and loss resulted from the acquired disabilities. Al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failure in job finding several times, they have at last succeeded in it by the consistent help of their family. In particular, the support and help given from the family were substantial and specific which promoted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ir career. Therefore the participants could obtain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this made the participants to speak for themselves. Although the family roles for the job finding and maintaining of the participants are played in various ways which is positive, effective and specific, there remains some significant problems and limitations.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uncomfortableness in opening their most in-depth thinking and emotions to their family. They have also experienced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maintaining job because of the housework load and child bearing work which is mainly regarded by the family members as the woman's(participant's)duties. In addition to this, sexual needs and sexual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are neither recognized nor dealt with seriously in family, The participants also mentioned about the inequal relationship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among family member as well as the lack of career guidance role of the famil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have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to promote the positive roles and overcome the limited roles of the fami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