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r fermenter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49초

회분식과 유가식 배양에 의한 Motierella alpina로부터의 Arachidonic acid의 생산

  • 황병희;박창열;유연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8-381
    • /
    • 2001
  • Motierella alpina DSA-12 의 회 분식 발효에서 $MnSO_4$ 첨가로 작은 pellet을 형성하게 하여 유가식 배양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보았으나, $KH_2PO_4_4$의 경우에는 균체증식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균체가 풀어져 자라 점도가 증가하여 ARA 의 합성이 억제되었다. 유가식 배양에 14 % 암모니아 용액을 사용할 때 균체증식과 총지질의 함량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62.1 g/L의 균체량에 60% 이상의 지질 함량으로 12.0 g/L 의 아라키돈산을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IJ-31에서 Hydrocinnamic Acid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for the Hydrocinnamic Acid Production from Bacillus subtilis IJ-31)

  • 주길재;김영목;이오석;김정웅;김원찬;송경식;윤성준;김진호;이인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07-2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물생장억제미생물 B. subtilis IJ-31이 생산하는 HCA의 최적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HCA생산 최적조건으로 탄소원은 1%의 미강, 질소원은 0.5% tryptone, 무기염은 0.1% $ZnCl_2$, 배양 온도는 $37^{\circ}C$, 배양시간은 60시간, pH는 7.0에서 $90.5\;{\mu}g/ml$의 HCA를 생산하였으므로 이를 최적생산조건으로 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SAS) 중 반응표면 분석법(RSM)을 이용한 jar fermentor 배양에서의 HCA 최적생산 조건을 확립하였다. 즉 토양추출물 2.24% 첨가, 교반속도 290 ppm, tryptone 0.83% 첨가, 배양온도 $37^{\circ}C$, 배양시간 60시간, pH 7.0에서 $102.99\;{\mu}g/ml$의 HCA를 생산하는 최적생산 조건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실제 상기 RSM 최적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HCA는 $102.5\;{\mu}g/ml$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스크에서 HCA는 $90.5\;{\mu}g/ml$로 생산되었으나 jar fermenter 배양에서는 플라스크 배양에 비하여 12%가량 HCA 생산량이 증가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n Jar Fermentation by Fomitopsis pinicola

  • Cha, Wol-Suk;Jilu, Ding;Lee, Choon-Beom;Nam, Hyung-Geun;Lee, Jun-Han;Maeng, Jeung-Moo;Lim, Hwan-H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187-191
    • /
    • 2005
  • 발효기에서의 균사체 생장과 세포외다당류의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 최적 회전속도와 통기량은 각각 200 rpm과 1.5 vvm 었다. 최적 배양 환경하에서 5L발효기(working volume 2 L)에서 배양한 결과 각각 10.21 g/L 와 3.56 g/L의 mycelial growth와 exo- polysaccharide를 얻었다.

  • PDF

남은 음식물로 호기적 액상효모발효를 이용한 생균사료를 생산할 때 생균수에 대한 교반 속도의 영향 (Influence of Agitation Speed on Cell Growth in the Aerobic Yeast Fermentation of Pulverized Liquid Food Wastes for Probiotic Feed Production)

  • 유성진;유승용;이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99-104
    • /
    • 2001
  • 곱게 갈아 액화시킨 음식물 찌꺼기를 기질로 생균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효모의 호기적 액상발효에 있어서 효모증식에 대한 교반속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screening을 통해 선택한 효모인 Kluyvermyces marxianus를 종균으로 2liter jar fermenter를 이용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곱게 분쇄해 10% 고형분 함량을 갖는 기질에 교반속도를 500rpm, 900rpm, 1200rpm를 다르게 조정하여 $35^{\circ}C$에서 증식시켰다. 효모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고분자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하는 곰팡이 Aspergillus oryzae와 혼합발효를 실시하여 단독발효와 비교하였다. 발효결과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생균수도 높아져 400rpm에서보다는 900rpm에서 높은 생균수를 보였으나 1200rpm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혼합발효는 amylase의 역가를 높여주어 증식속도를 높여 주나 발효종료단계에서 최고 생균수를 증가시켜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온도조절형(溫度調節型) 발현(發現) Vector를 함유한 Phenylalanine 생산균(生産菌)의 분자육종(分子育種) (Molecular Breeding of Phenylalanine Producing E. coli Containing Temperature-Controllable Vector)

  • 심상국;이영춘;정호권;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1호
    • /
    • pp.13-19
    • /
    • 1995
  • Phenylalanine 생산시 tyrosine이 부생되지 않도록 tyrA유전자 발현이 낮은 여러 가지 온도조절형 plasmid를 제작하였으며, phenylalanine 생산균주인 대장균 AT2471$[tyrA^-,\;thi^-]$은 tyrosine 영양요구 변이균주이므로 생산배지에 tyro-sine 첨가없이 phenylalanine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yrosine 복귀변이균주를 분리하여 phenylalanine 생산을 검토하였다. 2.5 l jar fermenter를 사용하여 tyrosine 첨가없이 phenylalanine 생산을 검토하여 대장균 AT2471/pSY146A, 대장균 AT2471 tyrosine 복귀변이균주 5/pSY111-14를 $39^{\circ}C$에서 55시간 배양한 결과 각각 12 g/l, 15 g/l를 생산하였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가 생산하는 Cellulase에 관한 연구 - (II) Penicillium sp. C13-13 주(株)의 배양조건 검토 - (Studies on the Cellulase of Penicillium sp. Isolated from Soils - (II) Culture Conditions of Penicillium sp. C13-13 Strain -)

  • 김용배;이병국;최승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29
    • /
    • 1974
  • Penicillium sp. C8-14주(株)를 계속 단포자 분리 및 변이 처리를 하여 Penicillium sp. C13-13(역가-3171u/g) 주(株)를 얻었다. 2. 고체배양에 적용하기 위하여 증식용 액체배양을 하였으며, 초발 pH $4.5{\sim}5.0$, 10% 부배지를 사용하여 48시간동안 $30^{\circ}C$, 통기량 6l/min, 교반속도 600rpm(20l-Jar fermenter)으로 배양하여 균체량이 70ml이상일 경우에 접종한 것이 $29{\sim}33^{\circ}C$, 72시간의 부배지 배양에 있어서 가장 좋은 역가를 보였다. 3. 부배지에 1.5% $CaCI_2$ 및 0.015% $MgSO_4$를 가한 것이 control 보다 높은 역가를 보였다. 끝으로 본고(本稿)작성에 많은 도움을 주신 서울 대학교 약학대학 김병각 교수님께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 PDF

고온세균을 이용한 남은 음식물의 호기적 액상발효 (Aerobic Liquid Fermentation of Residual Food Waste by Thermophilic Bacteria)

  • 류승용;박명주;김소영;이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126-131
    • /
    • 2002
  • 남은 음식물을 기질로 생균사료를 생산하기위하여 고온성 세균에 의한 호기적 액체 발효가 시도되었다. 토양이나 남은 음식물들로부터 11종의 고온성 세균이 $55^{\circ}C$에서의 진탕배양에 의해 분리되었다. 이들 분리균 들의 기질분해능을 평가하기위해 배양액 중에서의 ${\alpha}-amylase$ 와 protease효소역가를 측정 비교하였다. 이 결과 6종의 세균이 선택되었고 남은 음식물 기질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반복 배양을 실시하였다. 발효말기에서의 생균농도는 대부분 $3{\sim}7{\times}10^9/ml$에 이르렀다. 이들 중 B3, B6가 가장 높은 효소역가를 나타냈다. B3, B6, 그리고 분양받은 균주인 Bacillus Stearothermophillus를 2L-jar fermenter를 이용해 혼합발효시킨 결과발효개시 8시간 내에 생균수가 $1.4{\times}10^{10}/ml$에 이르렀다.

  • PDF

효모에 의한 남은 음식물의 호기성 액상발효 (Aerobic Liquid Fermentation of Food Wastes by Using Yeast)

  • 이기영;유성진;유승용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47-152
    • /
    • 2000
  • 남은 음식물을 기질로 생균효모사료를 만들기 위해 Kluyveromyces marxianus 효모의 호기적 액상발효가 $35^{\circ}C$에서 시도되었다. 먼저 액상으로 시료를 충분히 마쇄시킨 시료의 효모 생균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적정발효조건이 진탕배양을 통해 연구되었다. 시료로 사용된 남은 음식물의 고형분 함량을 수분첨가로 5%, 10%와 15%로 다르게 조정하여 발효시킨 결과 고형분 함량 10%에서 생균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모의 생균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Aspersillus oryzae를 2리터용 jar fermenter를 이용하여 혼합배양한 결과 증식속도를 증가시켜 주었으나 최고 생균수는 $3.5{\times}10^9/ml$로서 단독 배양시보다 근소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음식물쓰레기 당화를 위한 Amylase 생산균의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Amylase-producing Fungus for Saccharifying Food Wastes)

  • 리홍선;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4-118
    • /
    • 2007
  • 제주도 토양 샘플에서 분리한 amylase 생산균 15번 균주는 100 mL flask level와 10 L 생물반응기에서 T. inhamatum KSJ1의 FPpase, amylase 효소활성과 거의 비슷하였으며, flask level에서 두 균주의 xylanase, avicelase, CMCase, Gluco-amylase, $\beta$-amylase의 효소활성 및 음식물쓰레기의 당화능력도 모두 거의 비슷하였다. 두 균주를 YMEA 고체배지와 광학현미경으로 그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한 결과 T. inhamatum KSJ1이 녹색빛을 띠는 것과는 달리 amylase 생산균 15번 균주는 황색빛을 띠는 사상균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균주는 동일한 균은 아니지만 동일한 속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