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vermecti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3초

개와 고양이의 구충증

  • 홍하일;정성목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8권10호
    • /
    • pp.577-582
    • /
    • 1992
  • Ancylostoma caninum과 Ancylostoma tubaeforme는 각각 개와 고양이에서 가장 병원성이 높은 구층(hookworm)이다. 현재 사용하는 두가지의 심장사상충 예방약이 개의 구충의 구제에도 효과가 있다. Ivermectin을 분만전후에 높은 용량으로 주사하면 Ancylostoma caninum의 유충이 모유를 통해 강아지에게 감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PDF

개의 모낭충증 (Demodecosis)

  • 박재학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9-72
    • /
    • 2002
  • 1. 본 질병에 대한 다른 이름; 모낭충증, demodecosis. 2.원인체; Demodex canis. 3. 병리기전; 모낭충의 감염-농포(papule)-결절(nodule)-탈모-2차 세균감염. 4. 임상증상; 탈모, 소양증. 5. 병리조직 소견; 모낭의 확대, 표피세포의 각화항진, 모낭주위, 모낭내, 혈관 주위에 림프구 침윤, 소수의 대식구, 호산구침윤. 6. 진단; Scratching, 병리조직학적 검사. 7. 감별진단; 진균감염. 8. 치료 및 예방대책; Ivermectin. (중략)

  • PDF

Japanese Chin 종에서 발생한 Ivermectin에 반응을 보이지 않은 전신성 농성 모낭충 감염증에 대한 0.1% Amitraz와 4% Chlorhexidine의 국소치료 일례 (Efficacy of Weekly 0.1% Amitraz Dip with 4% Chlorhexidine Shampoo on Juvenile Onset Generalized Pyodemodicosis Unresponsive to Ivermectin Therapy in Japanese Chin Dog)

  • Jeong, Hyo-Hoon;Jeong, A-Young;Hoh, Woo-Pil;Eom, Ki-Dong;Lee, Keun-Woo;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7-241
    • /
    • 2003
  • 중성화 수술을 받지 않은 3.1 kg의 1년령 암컷 일본 찡견이 자견발생모낭충증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신체검사, 피부박리검사, 혈액화학 검사, 내분비검사와 세균배양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내원 당시 피부 병변을 제외한 환축의 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혈액화학치, $T_3$, $T_4$, $T_4$는 모두 정상이었다. 그러나, 피부박리검사에서 다수의 모낭충이 관찰되었고, 농포를 이용한 세균배양 결과 구균이 검출되어 속발성 표재성농피증온 동반한 자견발생모낭충증으로 확진하였다. 치료를 위하여 13주간 매일 1회 600 $\mu\textrm{g}$/kg의 ivermectin을 매일 2회 25mg/kg의 cephalexin과 함께 투여하였으나 임상증강이 호전되지 않았으므로 일주일 간격으로 30 mg/kg의 selamectin을 cephalexin과 한께 국소 누여하는 방법을 실험적으로 2주간 실시하였다. 그러나, 임상증상이 오히려 더 악화되어 주 1회 0.1% amitraz dip을 주 2회 4% chlorhexidine 샴푸와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환축은 급속도로 호전되어 속발성 농피증에 의한 피부병변과 이에 동반된 소양증은 치료 실시 후 2주 경에 거의 사라졌으며 9주 경에는 피부박리검사에서 모낭충이 검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환축의 피모도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재발을 막기 위하여 피부박리검사에서 음성 격과를 얻은 후에도 4주간 더 치료하였다. 현재 환축은 임상적으로 정상이며, 모낭충증의 재발여부를 관찰 중에 있다.

Pharma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rat P2X currents

  • Li, Hai-Ying;Oh, Seog-Bae;Kim, Jo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1-5
    • /
    • 2008
  • Adenosine 5'-triphosphate (ATP) is an important extracellular signaling molecule which is involved in a variety of physiological responses in many different tissues and cell types, by acting at P2 receptors, either ionotropic (P2X) or G protein-coupled metabotropic receptors (P2Y). P2X receptors have seven isoforms designated as $P2X_{1^-}P2X_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rat $P2X_{1^-}P2X_4$ currents by using whole-cell patch clamp technique in a heterologous expression system. When ATP-induced currents were analyzed in human embryonic kidney (HEK293) cells following transient transfection of rat $P2X_{1^-}P2X_4$, the currents showed different pharma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ATP evoked inward currents with fast activation and fast desensitization in $P2X_{^1-}$ or $P2X_{3^-}$ expressing HEK293 cells, but in $P2X_{2^-}$ or $P2X_{4^-}$ expressing HEK293 cells, ATP evoked inward currents with slow activation and slow desensitization. While PPADS and suramin inhibited $P2X_2$ or $P2X_3$ receptor-mediated currents, they had little effects on $P2X_4$ receptor-mediated currents. Ivermectin potentiated and prolonged $P2X_4$ receptor-mediated currents, but did not affect $P2X_2$ or $P2X_3$ receptor-mediated currents. We suggest that distinct pharma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among P2X receptor subtypes would be a useful tool to determine expression patterns of P2X receptors in the nervous system including trigeminal sensory neurons and microglia.

진드기에 감염된 개의 피부 구더기증 1예 (Cutaneous Myiasis Associated with Tick Infestations in a Dog)

  • 최정구;김한종;나지웅;김성현;박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73-475
    • /
    • 2015
  • 시골에 사는 12년령의 중성화 안한 수컷 말라뮤트가 회음부위의 염증과 통증을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회음부 신체검사에서 구더기와 구멍이 있는 피부 병변이 존재하였다. 혈액검사에서는 미약한 빈혈과 혈소판 증가증 이외에 특이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진단은 임상증상 및 구더기의 존재에 의해 쉽게 되었다. 즉시 삭모 및 소독을 실시하였으며 삭모 중 진드기가 발견되어 SNAP 4DX (IDEXX Laboratories, Westbrook, ME, USA)를 이용해 진드기 및 관련 병원체의 감염유무를 평가하였고 검사결과는 모두 음성이었다. 치료는 이버멕틴(300 mcg/kg)을 피하 주사로 한번 주사하였으며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처방하였다. 이 후 구더기증과 상처부위는 2주 이내에 치료되었다.

Electron Microscopic Alterations in Pediculus humanus capitis Exposed to Some Pediculicidal Plant Extracts

  • El Akkad, Dina M.H.;El-Gebaly, Naglaa Saad M.;Yousof, Hebat-Allah Salah A.;Ismail, Mousa A.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527-532
    • /
    • 2016
  • Head lice, Pediculus humanus capitis, infestation is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in Egypt. Inadequate application of topical pediculicides and the increasing resistance to the commonly used pediculicides made the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agents able to induce irreversible changes in the exposed lice leading to their mortality.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evaluate pediculicidal efficacy of some natural products such as olive oil, tea tree oil, lemon juice, and ivermectin separately in comparison with tetramethrin-piperonyl butoxide (licid), as a standard pediculicide commonly used in Egypt. The effects of these products were evaluated by direct observation using dissecting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SEM). Results showed that after 1 hr exposure time in vitro, absolute (100%) mortalities were recorded after exposure to 1% ivermectin and fresh concentrate lemon juice. The mortalities were decreased to 96.7% after exposure to tea tree oil. Very low percentage of mortality (23.3%) was recorded after 1 hr of exposure to extra virgin olive oil.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pediculicide (licid) revealed only mortality rate of 93.3%. On the contrary, no mortalities were recorded in the control group exposed to distilled water. By SEM examination, control lice preserved outer smooth architecture, eyes, antenna, respiratory spiracles, sensory hairs, and legs with hook-like claws. In contrast, dead lice which had been exposed to pediculicidal products showed damage of outer smooth architecture, sensory hairs, respiratory spiracles and/or clinching claws according to pediculicidal products used.

개 전안방 안구사상충증 (Ocular Filariasis in Canine Anterior Chamber)

  • 김기홍;엄혜윤;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06-508
    • /
    • 1999
  • An one-year-old, female pointer dog with conjunctival hyperemia, corneal opaque and ocular pain in right eye was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the ophthalmic examination the worm was observed in anterior chamber, The heart worm antigen test was positive. A modified Knott's test was negative. The values of complete blood count and serum chemistry (TP, BUN, creatinine, AST, ALT, ALP, albumin, globuline) showed normal ranges. Any abnormality was not detected in the heart using a thoracic radiography and cardiac sonography. Therefore, this dog was diagnosed as ocular filariasis. The worm was removed by surgical incision through a limbus of cornea. The closure of limbal incision was sutured in a simple interrupted suture pattern with 6-0 silk and the eye was reinflated with sterile saline solution. Antibiotics and dexamethasone ophthalmic solution were applied to right eye every 24 hours for 7 days. To prevent latent filariasis, ivermectin was also administered on day 14 of operation. The heart worm antigen test on day 60 was negative. The dog was successfully cured.

  • PDF

방사선 알레르기 흡착 시험법(Radioallergosorbent testing, RAST)에 기반을 둔 아토피에 대한 저감작을 경험 중인 개에서의 천공개선충과 임상수의사에 의해 야기되는 고부신피질양증 (Sarcoptic Mange and latrogenic Hyperadrenocorticoidism in a Dog Undergoing Hyposensitisation for Atopy based on RAST Testing)

  • Burton Greg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8권6호
    • /
    • pp.549-558
    • /
    • 2002
  • 3.5살짜리 래브라도 리트리버(Labrador Retriever)는 매일 처방되는 피질스테로이드제에 무반응으로 비계절적, 심한 소양증을 2년간 앓고 있는 병력을 갖고 있었다. 공기유래 알레르겐(알러젠; Allergens)들에 대한 시험관내 RAST1(Radioallergosorbent testing; 방사선 알레르기 흡착 시험법)에 양성으로 나타난 것을 기초로 한 면역요법(Immunotherapy)을 18개월 동안 시행했으나 성공적이지 않았다. 부신피질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자극 시험법은 이것이 본래 임상수의사에 의해 발생(Iatrogenic)된 것임을 예시하여준다. 피부 찰과물(Skin scrapings)을 검사한 결과 개 천공개선충(Sarcoptic mange)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버맥틴(Ivermectin)치료효과와 피질스테로이드(Corticosteroid)의 투약중지에 대한 반응이 극적으로 나타났다. 10개월 추적기간(10-month follow-up period)동안에 이 질병은 재발되지 않았다. 이것은 비록 계절적인 알레르겐을 배제하기 위해 긴 기간동안 추적이 필요하였으나 개 천공개선충이 오히려 피질스테로이드요법에 대한 2차적인 것보다는 1차적인 질병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아토피의 진단을 위해 혈청학적 시험법의 이용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