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rse distance method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1초

남한지역 PM10 관측자료의 공간 보간법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PM10 observation data in South Korea)

  • 강정혁;이서연;이승재;이재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4-132
    • /
    • 2022
  • 불균일한 미세먼지 관측값으로부터 남한 전체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간 처리가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1월달과 농도가 낮았던 7월달의 전국의 기상청 및 AirKorea 측정소 자료를 이용하여 IDW, OK, SI, RBF 총 4가지 보간법을 테스트하였다. 각 보간 방법별 세부 인자를 고려한 총 6가지 경우에 대해 보간 처리 및 교차 검증을 진행하였다. 자료 처리속도는 SI, RBF, IDW, OK 순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교차 검증의 결과, IDW가 상대적으로 제일 낮은 NRMSE 결과를 보였고 OK방법이 가장 큰 NRMSE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가 남한 지역에서 불균일한 미세먼지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전체 수평 공간을 보간할 때 적합한 방법을 단기간에 선택하고 신뢰성과 효과성 있는 분석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자료 미계측 지역의 추계학적 기상발생모형 (Stochastic Daily Weather Generations for Ungaged Stations)

  • 강문성;박승우;진영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7-67
    • /
    • 1998
  •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which simulate daily precipitation, maximum and minimum daily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as developed. The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stocha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istorical data of 71 weather stations. Spatial variations of the parameters for the country were also analyzed. Model parameters of ungauged Sites were determined from parameters of adjacent weather stations using inverse distance method. The model was verified on Suwon and Ulsan weather stations and showed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data.

  • PDF

정온한 도시환경을 위한 소음지도 개발 및 응용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ise map for quiet environment of urban areas)

  • 박상규;박인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82-1186
    • /
    • 2003
  • Noise map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tool supporting noise policy. In order to main am a quiet environment of urban areas, noise map was developed by using GIS technique which combines geographic and noise informations with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By evaluating various methods of the spatial anal: 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verse distance weighted method gave the best results and was applied to develope the noise maps of road noise.

  • PDF

영상을 이용한 주행차량 위치정보와 GIS 차선 데이터 매칭 기법 (Matching GIS Lane Data with Vehicle Position Using Camera Image)

  • 김민우;문상찬;주다니;이순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40-47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matching method of GIS lane information with a vehicle position using camera image to reduce DGPS error. Images of straight road are taken using a camera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center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lane are estimated using the images. The current GIS lane data is matched by comparing the estimated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using a DGPS. Inverse perspective mapping is used to minimize the error of image processing from the heading angle, and single buffering method is applied to decide the exact moment of GIS match. Through practical test on the highway, feasibility of the GIS matching using camera image is confirmed.

통계적 속성을 이용한 히스토그램 기반 효율적인 서명인식 (An Efficient Signature Recognition Based on Histogram Using Statistical Characteristics)

  • 조용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01-70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간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상관성에 비례하는 조합형 유사성 척도에 의한 효율적인 서명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거리는 영상의 공간적 속성을 반영하기 위함이고, 상관성은 통계적 속성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서명의 위치, 크기, 회전과 같은 기하학적 변화와 모양변화에 강건한 인식이 가능하다. 상관성의 척도로 이진영상의 히스토그램에 기반을 둔 4 방향의 위치를 고려한 정규상호상관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서명사이의 유사성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20개의 288$\times$288 픽셀 트럭영상과 105개의 256$\times$256 픽셀의 서명영상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영상의 속성을 잘 반영한 우수한 인식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규상호상관계수와 순서값의 거리를 조합한 척도가 city-block이나 Euclidean 거리를 각각 조합한 척도보다 우수한 인식성능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기동표적에 대한 ISAR Cross-Range Scaling (ISAR Cross-Range Scaling for a Maneuvering Target)

  • 강병수;배지훈;김경태;양은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062-106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순차적인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ISAR) 영상들을 활용하여 표적의 회전 속도(Rotation Velocity: RV) 추정을 통한 수직 거리 스케일링(cross-range scaling: CRS)을 수행한다. 순차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ISAR 영상들에 각각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SIFT)를 적용함으로써 관측각도의 변화에 강인한 산란원(scatterer)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산란원과 각 영상 내 표적의 회전 중심(Rotation Center: RC) 사이의 거리가 같다는 점을 이용하여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설정한 후, 전역 탐색 기법(exhaustive search method)과 결합된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의 최적화를 통해 표적의 RV를 RC 정보 없이 추정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시나리오 기반으로 기동하는 표적에 대한 ISAR 영상 형성 후, 제안된 기법을 통해 RC의 정보 없이 RV를 추정함으로써 ISAR 영상의 CRS가 성공적으로 수행됨을 보여준다.

결측 강우량 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1. 방법론 및 가중치 산정 (A Study on the Interpolation of Missing Rainfall : 1. Methodologies and Weighting Factors)

  • 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84-689
    • /
    • 2006
  • 강우자료는 수문시스템 해석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입력자료이며, 강우측정시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결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보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적용성이나 오차정도에 대한 평가 없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중인 산술평균법, 정상연강우량법, 수정정상연강우량법, 역거릭법, 선형계획법, 크리깅방법 등의 강우량 보정방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 PDF

기온 데이터 초해상화를 위한 Super-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 구축 (Construction of Super-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for Super-Resolution of Temperature Data)

  • 김용훈;임효혁;하지훈;박건우;김용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7-13
    • /
    • 2020
  • 기상과 기후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밀한 연구나 실생활에 유용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고해상도 기상·기후 데이터를 생산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는 적절한 보간법에 따라 데이터를 생산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SRCNN을 이용하여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온 데이터 초해상화에 가장 적절한 SRCNN 모델을 구축하고,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 한다. 결과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 역거리 가중법을 이용하여 비 관측 지점에 대한 기온을 구하고,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기온 데이터와 보간법을 이용한 기온 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기온 데이터를 초해상화하기 위한 적절한 SRCNN 모델을 구축하였고, 제안한 방법이 보간법을 이용한 방법보다 약 10.8% 더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PRISM을 이용한 30 m 해상도의 상세 일별 기온 추정 (Estimation of Fine-Scale Daily Temperature with 30 m-Resolution Using PRISM)

  • 안중배;허지나;임아영
    • 대기
    • /
    • 제24권1호
    • /
    • pp.101-110
    • /
    • 2014
  • This study estimates and evaluates the daily January temperature from 2003 to 2012 with 30 m-resolution over South Korea, using a modified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s Model (K-PRISM). Several factors in K-PRISM are also adjusted to 30 m grid spacing and daily time scales. The performance of K-PRISM is validated in terms of bias,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Corr), and is then compared with that of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and hypsometric methods (HYPS). In estimating the temperature over Jeju island, K-PRISM has the lowest bias (-0.85) and RMSE (1.22), and the highest Corr (0.79) among the three methods. It captures the daily variation of observation, but tends to underestimate due to a high-discrepancy in mean altitudes between the observation stations and grid points of the 30 m topography. The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derived from K-PRISM represents a detailed spatial pattern of the observed temperature, but generally tends to underestimate with a mean bias of -0.45. In bias terms, the estimation ability of K-PRISM differs between grid points, implying that care should be taken when dealing with poor skill area.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K-PRISM can reasonably estimate 30 m-resolution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and reflect topographically diverse signals with detailed structure features.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 이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41
    • /
    • 2010
  • 본 연구는 미측정점의 값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공간보간방법들의 예측오차를 비교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해안 해안 지역의 표고점을 대상으로 역거리가중법, 크리깅, 지역 다항식보간법, 방사기반함수의 공간보간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행하여 평균제곱근을 산출한 결과, 단순 크리깅 방법의 원형 모델이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래스터의 연산 결과, 방사기반함수의 다중방정식에 의한 예측 지도가 대상 지역의 불규칙삼각망 표현과 일치정도가 높았다. 또한 공간보간 실행시 선택된 조건하에서 제공되는 최적 파워값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보간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