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pecific hybrid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초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s 및 그들간 잡종의 형태학적 유연관계 (Morp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rosophila melanogaster, D. simulans and their Hybrids)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3-199
    • /
    • 1993
  • Drosophila melanogaster(OR)와 D. simulans(09) 및 그들 종간 잡종 사이의 형태적 유연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내.외부생식기 및 성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D. melanogaster 암컷과 D. simulans 수컷의 교배에서 암컷을, 그 정역 교배로서 수컷을 얻었으며 두 종간 사이의 잡종 $F_{1}$들은 모두 불임이었다. 내부생식기의 비교에서, 두종간 (melanogaster female $\times$ simulans male) 잡종 {$F_{1}$ 암컷의 경우는 양쪽 난소가 모두 퇴화된 형태였으며, 그 정역교배에 의한 $F_{1}$ 수컷의 정소는 미발달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런 형태적 특징은 D. melanogaster P-M system에서의 hybrid dysgensesis에 의한 양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수컷의 앞다리 제1부절에 존재하는 성즐의 평균 치열수는 D. melanogaster와 D. simulans에서 각각 10.73개와 8.35개 였으며, 잡종 $F_{1}$ 수컷의 경우는 9.97개 정도였다. 두 종간 잡종 $F_{1}$ 수컷의 외부 생식기의 전체적인 형태는 D. melanogaster와 비슷하였으나, 부분적으로 D. simulans에 유사하거나 중간적인 형질을 가지는 mosaic 구조였다.

  • PDF

Interspecific Hybrids from Wild $\times$ Cultivated Triticum Crosses - A Study on the Cytological Behaviour and Molecular Relations -

  • Bhagyalakshmi, Kari;Vinod, Kunnummal Kurungara;Kumar, Mahadevan;Arumugachamy, Samudrakani;Prabhakaran, Amala Joseph;Raveendran, Thondikulam Subramania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257-262
    • /
    • 2008
  • Genetic diversity of cultivated wheat is narrowing down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non-complacent in tackling new pathogenic races and adverse environmental situations. Wild relatives of wheat are rich repositories of beneficial genes that are capable of defying adverse situations. However, these wild species are not readily crossable with cultivated one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oss three wild wheat species as females with three cultivated species of varying ploidy to understand the intricate behaviour of hybrids in relation to cytology, morphology, and molecular recombination. Post-fertilization barriers caused hybrid recovery in wild species in contrast to cultivated species. Triticum monococcum did not produce hybrids in any of the crosses. Various degrees of chromosome anomalies and hybrid sterility were seen with hybrids of T. timopheevi and T. sphaerococcum. Cytoplasmic factors were suspected to add more to the abnormality. G genome from T. timopheevi could enhance more pairing between Band D of cultivated species. Precocity of certain chromosomes in laggard formation was evident, pointing towards evolutionary self balance of the genomes which prevented homeologous pairing. They are eliminated in hybrids. Molecular diversity clearly corroborated with genetic proximity of the species, which distinguished themselves by maintaining the genome homeology.

  • PDF

두 Lotus종과 그들 교잡종간의 유식물 활력 비교 (Seeding Vigro of Two Lotus Entries and Their Reciprocal F Hybrids)

  • Sam Nam Hur;C. J. Nelson;P. R. Beuselinck;J. H. Coutts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8-294
    • /
    • 1994
  • Birdsfoot trefoil(MO-20)과 tetraploid narrowleaf trefoil(PI302921)및 이들 종간 잡종의 유식물 확력을 건물축적량 광합성율 생장분석 등을 통하여 비교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종간 잡종의 표현형은 그 들 부모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암호흡, 광합성 및 휴식물생육은 이 들 모계 계통인 MO-20 birdsfoot trefoil과 유사하였다. 중간잡종은 birdsfoot trefoil 보다 빨리 자랐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교잡종은 narrowleaf trefoil보다 유식물 활력이 더 우수하였는데 그것은 낮은 암호흡율과 높은 상대성장율에 기인되었다. 앞으로 birdsfoot trefoil의 유식물 활력의 유전적인 개량은 새로운 분야로서 개량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종간교잡 유래 도입 무궁화와 국내 선발 품종과의 교잡에 의해 육성된 계통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s Selected from Crosses between Introduced Interspecific Hybrids and Cultivars in Hibiscus Species)

  • 강호철;하유미;김동엽;한인송;노광모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55-63
    • /
    • 2011
  • 본 연구는 무궁화와 무궁화속 식물의 종간 교잡하여 얻은 교잡묘의 특성을 조사하고, 기존 무궁화에 비해 꽃이 크고, 화색이 짙고 특이하며, 잎이 크고 특이하거나, 수고가 큰 교목성 등 형태 및 유전적 특성이 뛰어난 신품종을 육성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간 교잡종 중 양친과 형태적 특성이 다르고 기존 품종에 비해 꽃이 크고 특이한 배달계 품종으로 'W-26'과 'W-27'이 나타났으며, 'WRB-2'는 백단심계로 단심이 푸른색으로 특이하였다. '칠채'(♀)와 '파랑새'(♂)의 교잡실생묘에서 선발된 'RV-25'는 대형화로 단심이 긴 특성이 있었고, 꽃이 기존 품종보다 큰 계통으로 'R-141'과 'R-142'이 있었다. 자연 방임수분된 '칠채'의 실생묘에서 선발된 계통 'R-150', 'R-151', 'R-152', 'R-153', 'R-154' 역시 잎, 꽃, 수형 등이 모본과는 형태적 특성이 다른 잎이 넓고 크며, 꽃이 크고 색이 진하고 수형 또한 큰 직립성이었다. 무궁화속 종간 교잡종 중 선발된 신품종으로는 도입된 종간 교잡 품종 '등낭'을 모본으로 하고 무궁화 홍단심계 홑꽃 교목성 무궁화 '남원'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 조합한 교잡체 중 선발된 Hibiscus ${\times}$ 'W-26'의 화색은 흰색으로 양친과 달랐다. 또한 꽃의 모양은 꽃잎의 길이가 폭보다 훨씬 길고 주걱모양으로 기존의 무궁화에서는 드문 꽃잎이 서로 겹치지 않는 I-a형에 가까웠다. 무궁화 종간교잡종 '등낭'과 무궁화 '남원'의 교잡체로부터 백단심계로 단심의 색이 푸른 'WRB-2'가 선발되었다. 백단심계 신품종 'WRB-2'의 수형은 개장형으로 화분친인 '남원'과 유사하였으며 수고 역시 교목성으로 중간형의 '등낭'보다 화분친인 '남원'과 유사하였다. 무궁화 종간교잡종 '칠채'와 '남원'의 종간 교잡종 중에서 선발된 'R-141'은 화형이 모본인 '칠채'를 많이 닮았으나 화색이 '칠채'의 경우 청단심계로 청색이 짙은 반면 신품종 'R-141'은 붉은색이 강해 새로운 계통으로 선발되었다. 또한 꽃이 크고 꽃잎의 폭이 넓어 완전히 겹치는 I-c형으로 나타났다.

Hybridization Using a New Male-sterile Germplasm as the Female Parent in Chinese Jujube

  • Wang, Jiu-rui;Cui, Xiu-mei;Dai, Li;Liu, Ping;Zhao, Jin;Liu, Meng-j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96-402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d a new male-sterile germplasm of Chinese jujube, named male-sterile No. 2 (JMS2), and achieved controlled hybridization using that germplasm as the female parent. The anthers of JMS2 before flower bud opening became shrunken, dingy yellow and much smaller than normal ones, and they changed to brown after anthesis. No pollen was observed in anthers of JMS2 and its male-sterile trait remained stable over different years. A total of 1,642 fruits were obtained from ten intra- and interspecific cross combinations via controlled hybridization from 2008 to 2012 using JMS2 as the female parent. Of those, 27.3% produced seeds, on average (0-72.6%). The rate of fruit with seed (RF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ross combinations or years. Compared to other cross combinations, the RFS in the combination of JMS2 ${\times}$ 'Xingguang' (a Chinese jujube cultivar with high resistance to jujube witches' broom disease) and JMS2 ${\times}$ 'Xing16' (a sour jujube genotype) remained high in different years and reached means of 48.7 and 58.1%, respectively. Finally, 150 plantlets were regenerated from immature embryos, and 51 of them were randomly selected and identified to be authentic hybrids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hybrids obtained from a cross between Chinese jujube and sour jujube.

체세포 염색체 배가법을 이용한 백합 OA 종간 잡종의 불임극복과 후대획득 (Overcoming F1 Sterility of Intersectional OA Lily Hybrids by Somatic Chromosome Doubling and Production of Subsequent Progeny)

  • 정미영;정재동;지선옥;;임기병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103-108
    • /
    • 2004
  • 본 연구는 나리의 종간잡종 육성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Oriental과 Asiatic 잡종 (OA-hybrid) 의 후대 획득에 필요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이다. 체세포 배수화를 통한 이질 4배체 OA-hybrid 3계통으로 화분발아 실험을 수행한 결과, 0-80% 범위로 계통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이질 4배체 OA-hybrid를 자방친 또는 화분친으로 사용하고 Asiatic 또는 Oriental hybrid와 교배시 후대 획득수에 차이가 있었는데 4배체 OA-hybrid를 화분친으로 이용하였을 때, 그리고 상대친을 Asiatic hybrid로 교배하였을 때 후대획득이 현저히 용이하였다. 그러나, 이질 4배체 F$_1$ OA-hybrid를 자방친으로 사용하거나 Oriental hybrid와 교배하면 후대 획득률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또는 전혀 후대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질 4배체 F$_1$ OA-hybrid와 교배시 상대친의 ploidy level은 4배체 보다는 2배체가 유리하였다.

禾本科 牧草의 種屬間雜種 Hybrid ryegrass와 Festulolium의 生育特性 (Some Characteristics of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s in Herbage Grasses)

  • 류종원;강정훈;한흥전;김웅배;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3-127
    • /
    • 1988
  • Even though grass species are one of major importance in livestock industry, the response of intergeneric hybridization of Lolium and Festuca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Lolium m.X Lolium p. to Korean climatic condition has not been adequately documented. This rea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estulolium, cv. Felopa and C-Stamm N 66 and hybrid ryegrass, cv. Maja and Tetilelite. 1. The early growth of Italian ryegrass was better than that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The plant length and height of Italian ryegrass were longer/taller than those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but the number of tillers of Italian ryegrass was less than that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2. Festuloliu and hybrid ryegrass were more tolerant than Italian ryegrass to winter killing, 70-80% of tillers was survived. 3. After wintering, early spring growth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were better than that of Italian ryegrass. Dry matter yield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were more than that of Italian ryegrass. 4. Spikes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C-Stamm N66) were more than those of Italian ryegrass. Seed yield per $m^2$ of hybrid ryegrass and Italian ryegrass were almost same, but that of Festuloliu was lower.

  • PDF

Tropane alkaloid의 생합성과 분자육종 (Metabolic Engineering of Medicinal Plants tov Tropane Alkaloid Production)

  • 윤대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99-207
    • /
    • 2002
  • The tropane alkaloids hyoscyamine (its racemic form being atropine) and scopolamine are used medicinally as anticholinergic agents that act on the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Because they differ in their action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urrently there is a 10-fold higher commercial demand for scopolamine, in the N-butylbromide form, than there is for hyoscyamine and atropine combined. Several solanaceous species have been used as the commercial sources of these alkaloids, but the scopolamine contents in these plants often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hyoscyamine.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long-standing interest in increasing the scopolamine contents of cultivated medicinal plants. Naturally occurring and artificial interspecific hybrids of Duboisia have high scopolamine contents and are cultivated as a commercial source of scopolamine in Australia and other countries. Anther culture combined with conventional interspecific hybridization also has been used to breed high scopolamine-containing plants in the genera Datura and Hyoscyamus, but without much success. The use of recombinant DNA technology for the manipulation of metabolic processes in cells promises to provi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basic science, agriculture, and medicine. In this review, I introduce on the enzymes and genes involved in tropane alkaloid biosynthesis and current progress in metabolic engineering approaches for tropane alkaloid, especially scopolamine, production.

각시붕어(Rhodeus uyekii)와 흰줄납줄개(Rhodeus ocellatus)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hodeus ocellatus)

  • 박재민;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8-417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Rhodeus uyekii and Rhodeus ocellatus during their initial life history via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Hybrids were compared to their parent species, and the findings were used to inform developmental research in commercially useful aquarium fish.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75.9% for cross UO (R. uyekii ♀${\times}$R. ocellatus♂) and 71.9% for cross OU (R. ocellatus♀${\times}$R. uyekii♂), which did not differ greatly from the hatching rates of the normal cross-bred group. Backcross experiments resulted in 100% egg mortality during development. Newly hatched larvae of the original hybrid cross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aternal line, and the color of the egg yolk was similar to that of the paternal line; therefore, the respective traits of the interspecific parents were identifiable within the cross-bred offspring.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느타리와 여름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sajor-caju by Protoplast Fusion)

  • 유영복;이행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8-385
    • /
    • 1994
  •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와 여름느타리 Pleurotus sajor-caju의 영양요구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하여 종간 이질핵체 heterokaryon를 획득하였다. 불화합 균주간에는 9 융합조합에서 70개 융합주를 획득하여 7 융합주의 자실체를 유도하였으며 화합 균주간에는 1조합에서 모두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화합 균주간 융합주를 제외하고는 불화합성간 융합체는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s가 없었고 한천배지나 액체배지에서는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러나 활엽수톱밥과 미강이 혼합된 배지에서 균사가 완전히 성장한후 일정한 광과 온도를 처리한 결과 꺽쇠연결체 있는 균사가 다시 성장하였으며 이들 균사에서 버섯자실체가 형성되었다. 버섯자실체는 양친의 중간형태로 갓 색깔도 양친이 혼합된 orange grey-brownish grey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소의 자실체 형질인 자실층 hymenium, 버섯대, 생장습성은 느타리를 닮았는데 특히 여름느타리가 단생 closely scattered인데 비해 느타리는 속생 caespitose으로 느타리와 유사하였다. 자실체는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조직배앙한 결과 균사가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6융합조합 8균주의 $F^2$에서의 유전형질 분리와 유전자 재조합을 분석한 결과 원영양형 prototroph이 양친 느타리형, 여름느타리형, 영양요구성 유전자 재조합형에 비해 많이 분리되었으며 3개조합에서 양친에 없는 유전자좌가 나타났다.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는 융합주 P188과 사철느타리 ASI 2-3-rib와 균사접합 한 후 임성을 유도하여 유전분석한 결과 원영양형이 적게 분리되었고 여름느타리 양친형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3친주 형질이 모두 유전자 재조합형으로 분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