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retan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속신의 형성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고찰 (A Semiotic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Folk-Belief)

  • 김경섭;김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71-178
    • /
    • 2018
  • 인간은 인간의 힘으로는 알 수 없는 많은 현상들과 대면하며 살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인간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엄청난 경험의 축적과 사고의 발달을 근거로 수많은 해석을 낳았다. 인간의 인식이 자연 현상에 대해 적절한 해답을 내릴 수 없을 때 의존하는 것은 경험의 축적에 의한 심리 문화적 해석이었다. 이런 단계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해석의 하나가 바로 속신일 수 있다. 특정 현상에 대한 인간의 인식론이 단문 형식으로 표현된 것이 속신인 것다. 이를 기호학적으로 표현한다면 '하나의 또는 몇몇의 기호나 조건이 하나 또는 몇몇의 결과를 드러낸다고 믿는 전통적인 표현'이라 하겠다. 속신은 세계에 대한 해석 행위로서 '민속적인 해석학'인 것이다. 속신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고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속신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호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속신을 하나의 '해석소'로 파악한다. 이것은 퍼스의 기호이론에 의한 것이다. 그는 기호가 기호를 낳는 끊임없는 기호작용을 '기호-대상-해석소'간의 삼항관계를 통해 설명한다. 퍼스의 기호작용 개념은 속신의 형성과 더불어 그 특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속신을 하나의 해석소로서 간주할 때, 퍼스 기호학에서 해석소가 지니는 일반적인 특징으로 속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퍼스의 기호학에서는 자연 현상이나 사건, 행동 등의 범주가 기호학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런 점이 속신을 기호학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된다.

퍼스와 훔볼트의 기호관 비교 (Vergleich des Zeichens von C. S. Peirce mit dem von W. v. Humboldt)

  • 안정오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3집
    • /
    • pp.35-55
    • /
    • 2001
  • In der Semiotik ist es sehr wichtig, den Rahmenbereich des Zeichens festzustellen, weil der Bereich des Zeichens je nach Wissenschaftler unterschiedlich ist. Dementsprechend muss jedes Forschungsergebnis in der Semiotik hinterfragt werden, um sichergehen zu $k\"{o}nnen$, ob es zur Semiotik $geh\"{o}rt$ oder nicht. Daher besteht $zun\"{a}chst$ die Notwendigkeit, zu bestimmen, was ein Zeichen ist. In diesem Zusammenhang versuchten wir in diesem Aufsatz, damit wir den Begriff 'Zeichen' besser erfassen $k\"{o}nnen$. das Zeichen von C. S. Peirce mit dem van W. v. Humboldt zu vergleichen. Zu Beginn dieses Aufsatzes stellten wir dar, was ein Zeichen ist. Dieser Vorgang ist notwendig, damit mit Hilfe des allgemeinen Begriffes des Zeichens ein Vergleich zwischen Peirce und Humboldt angestellt werden kann. Danach stellten wir die Zeichentheorie von Peirce vor. Nach Peirce ist die Sprache eine Untergattung von drei Zeichensorten, die Ikon, Index und Symbol genannt werden. Nach ihm gehbrt das Symbol zur Sprache. $F\"{u}r$ ihn ist der Interpretant im Zeichenbegriff am wichtigsten, weil ein Zeichen immer eines Interpretantes bedarf, der das Zeichen interpretiert. Aber der Interpretant ist kein Individuum, sondern ein interpretierendes $Bewu{\ss}tsein$, also eine traditionelle Gesellschaft, die ein Muster zum Interpretieren bietet. $Anschlie{\ss}end\;besch\"{a}ftigten$ wir uns mit der Theorie von Humboldt. Er benutzt verschiedene Zeichenbegriffe wie z.B. Schriftzeichen, Lautzeichen, Sprachzeichen, grammatische Zeichen, $h\"{o}rbare$ Zeichen, zeitliche Zeichen und $r\"{a}umliche$ Zeichen. Bei ihm ist die Unterscheidung zwischen Wort und Zeichen besonders wichtig, weil das Wort nicht zum Zeichen $geh\"{o}rt$, wie wir es normalerweise annehmen. Er behauptet, dass das Wort beim Produzieren motiviert ist. Daher ist nach ihm das Wort transsemiotisch. $Dar\"{u}ber$ hinaus muss das Zeichen und das Wort im Zusammenhang zwischen Sprache und Denken betrachtet werden. Wenn man das Wort als Zeichen betrachtet, ist das Wort ein Zwischending zwischen dem Sprechenden und dem Ding. Damit $k\"{o}nnen$ wir schlussfolgern; 1) Bei Humboldt ist das Zeichen em Mittel zum Denken, das sich vom transsemiotischen Wort unterscheidet. 2) Nach Peirce besteht ein Zeichen aus Ikon, Index und Symbol. Im Zeichen, das aus Reprasentamen, Interpretant und Objekt besteht, ist der Interpretant am wichtigsten, denn ein Zeichen, dass keinen Interpretant hat, ist kein Zeichen mehr, das interpretierbar ist.

  • PDF

수학 영재의 추상화 학습에서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n the Signification Model of Three Signs in a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bstraction Process)

  • 송상헌;신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161-180
    • /
    • 2007
  • 본 연구는 한 명의 초등학교 수준의 수학영재가 ${\ulcorner}$Nim 게임의 조건 변경${\lrcorner}$ 이라는 주어진 과제의 해법을 추상화할 때 보여주는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영재교육을 위한 적절한 지도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찰과 면담의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수준의 수학영재는 일반적 수준의 추상화에서 구성한 대상체의 의미를 협상해가면서 해석체와 표현체를 구성하는 능력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재아라도 일반적 수준의 추상화에서 형식적 수준의 추상화로 수준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여기에 적절한 지도 조언을 통해 일반적 수준에서 스스로 구성한 표현체의 해석체를 구성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형식적 수준으로 상승하고, 또 형식적 수준과 일반적 수준이 연결된 관계망을 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등수준의 수학영재들에게 기호의 의미 작용 과정을 돕는 3가지의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Analysis on the Communication Processes Appeared in Coteaching)

  • 윤지현;노태희;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의 교육 실습에 코티칭을 도입하고 코티칭 수업에서 나타난 의사소통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호학적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예비 교사들의 $1{\sim}2$차시 코티칭 수업으로 진행된 7차시 중학교 수업을 관찰하였다. 그런 다음 기호학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었다. 첫째, 한 명의 예비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서 기호 전이 과정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은 경우, 교실에 있는 다른 예비 교사를 통해 기호의 연속적 전이 과정이 완성된 경우이다. 둘째, 한 명의 예비 교사가 잘못된 의미를 지니는 해석체를 사용하여 미흡하게 설명한 부분을 다른 예비 교사가 새로운 해석체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기존에 형성한 해석체를 수정하고 대상의 이해에 이를 수 있도록 도와준 경우이다. 셋째, 두 예비 교사가 사전에 계획한 해석체의 전이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도운 경우이다. 코티칭은 우리나라 과학 수업 현장에서 진행되던 의사소통 과정에 보다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학기호와 그 의미에 대한 고찰 및 도입 방법 (Reflection and Approach on Mathematical Signs and Their Meanings)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539-554
    • /
    • 2002
  • Mathematics is constructed by many signs, and learning mathematics involves the understanding and uses of them. This study reflects mathematical signs and their meanings, and considers how they can be introduced in learning. For these, we first investigated epistemological positions as Piaget, Vygotsky, anthropology, and interactionism. And we investigated semiotic models that Saussure and Peirce built each. Among these we adopted Peirce' triadic model that is consisted of interpretant, object (referent), and represen tamen(sign). In mathematic learning process, representations are transformed by translations and meanings are growed to the representation of another sign. And the meaning of sign grows by learner's interpretation. In terms of theoretical grounds, we settled that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signs involved the understanding of their representations and their meanings. On the foundation of above contents, we searched how we introduced signs to students and there were methods that approached to students representationally or inquiringly.

  • PDF

기호학적 관점에서 프로그래밍 사고의 이해 (Understanding of programming thinking from Semiotics Perspective)

  • 김동만;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275-27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호학적 관점에서 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프로그래밍의 표상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호작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구성주의(constructivism) 학습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해석체와 프로그래밍 요소에서 인터텍스트(intertext)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인 것과 프로그래밍 맥락인 콘텍스트(context)의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로 인지언어학적 방법으로 학습자가 프로그래밍에서 표상한 해석체(interpretant)와 콘텍스트(context), 인터텍스트(intertext) 등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웹 장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web genre)

  • 오병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51-360
    • /
    • 2003
  • 현재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장르의 융합현상 등 장르체계의 현상에 대한 인식이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장르는 예술분야에서 그 실체나 특성의 구분을 위해 적용되었던 개념으로 오늘날에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구조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장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요소의 정의는 형태와 내용의 체계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동안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인 웹의 유형별 분류를 위해서 웹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그 기준을 적용해 왔다. 본고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웹의 유형분류를 위해 장르의 개념을 적용하여 웹 장르의 구성요소를 형태와 내용, 그리고 기능의 체계를 파악하였다. 형태와 내용에 의한 웹 장르의 특성을 정의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웹 유형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논하였다. 형태와 내용, 기능의 장르요소가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상호 작용하는 이론적 체계를 정립해 보기 위해 기호와 기호대상, 해석체로 이루어지는 기호작용이론인 퍼스의 3항 기호론을 적용하였다. 기호자체는 웹의 고유 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에 대입되고, 기호대상은 웹의 형태에 대입되고, 기호의 해석체에 해당하는 것은 의미의 발생과 작용을 하는 웹의 내용에 대입된다. 또한 기호는 기호대상을 정의하고 해석체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므로 이를 웹 장르 요소의 관계구조에 적용하면, 웹의 형태는 기능을 따르고, 기능은 웹의 내용을 따른다는 논리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론적 대입을 통하여 웹의 커뮤니케이션과정에서 장르요소가 체계를 가지고 의미작용을 한가는 개념이 정립되었다. 현재의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장르의 융합 등, 장르체계의 현상에 대한 개념인식이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실내 공간과 가구의 상호관계성 연구 -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with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 Focused on Peirce's Theory -)

  • 백정민;허범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27-134
    • /
    • 2011
  • Interior design has diverse functions and roles according to recent changes in life and cultural style. As the meaning of space varies, the furniture as another element of the space should also be planned and includ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o accomplish its functional role on the finished space and not only be plac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should be studied and understood at the same realm because they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final destination of design, which is very challenging to accommodate people, the designer needs to approach to the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in a cognitive view. The study of Semiotics views in a knowledgeable and epistemological way every element as a sign and by the relationship of their characters it make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igns. Charles Sanders Peirce, a leader of Semiotics in USA, classified the structure of Sign into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to complete the theory which could systematically describe physic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 of the Sign and its significance in practical use. Peirce stated that all nine types of Sign would be generated if each structure of Sign in combined with three categories of Sign such as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In this study, based on Peirce's nine types of Sig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furniture in interior design was investigated with examples in Living Space, Office Space, and Commercial Space, respectively. In the category of Representamen,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Qualisign, Sinsign, and Legisign, it is a feature of Living Space to be expressed in harmonized and stabilized ways. In Office Space vertical/horizontal elements and open expression are differently showed depending on fields. And splendid and interesting expressions are showed in Commercial Space. In the category of Object,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Icon, Index, and Symbol, each function of Sign has distinctly been showed as Symbol in Living Space, Index in Office Space, and Icon in Commercial Space, respectively. In the category of Interpretant,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Rheme, Dicisign, and Argument, it was found that space image of Living Space is transferred to human being, Office Space regulates human bing, and Commercial Space binds human being with the space. In conclusion the function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furniture could be explained in another way with re-interpretation of interrelationship among interior space elements in the concept of Semiotics. It is expected that interpretation with Semiotics in interior design will grow to new theory of design.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A study on story generation model of blogging)

  • 윤현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9-38
    • /
    • 2014
  • 본 연구는 새로운 이야기 콘텐츠 생성의 장인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생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블로그 스토리 생성의 조건을 블로그의 구조적 요인에서 찾아 RSS 기능을 통한 밀어내기의 스토리 유닛화와 트랙백을 통한 끌어오기의 스토리 확장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퍼스 기호학의 해석체 개념을 적용해 블로그 스토리의 제시, 변형, 순환의 과정을 설명하고 각 과정이 어떠한 의미를 창출해 내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 생성 과정 자체를 하나의 통합적 기호로 제시하고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그 모델을 제시하는 선행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