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emiotic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Folk-Belief

한국 속신의 형성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고찰

  • Received : 2018.06.20
  • Accepted : 2018.08.08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Man is confronted with a lot of unknowable phenomena in his life. With the passage of time, man has interpreted the worl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development of thought. In the early days of the civilization when all the phenomena was not explained in a scientific way, man was dependent of the psycho-cultural interpretation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Folk-Belief is one of the psycho-cultural interpretation about the nature. If Folk-Belief is paraphrased in a semiotic way, it is as follows : 'the traditional expression which believes that one or several sign and condition show one or several effects.' In this respect, Folk-Belief is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nature, man and society, as it were, the world. Folk-Belief is folkloristic semiotics. This article intends to clarify the process of Folk-Belief formation process. To investigate the Folk-Belief formation process, this article regards Folk-Belief as an interpretant which is the term from the semiotic theory of C. S. Peirce. Peirce explains the incessant semiosis that sign brings forth sign through the trichotomy relation among sign - object - interpretant. Folk-Belief is explain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nt of Peirce when we regard Folk-Belief as an interpretant. By Peirce, Folk-Belief is 'something which believes that human mind represents something about some phenomena' The category of 'some phenomena' is included in a range of semiotics, we can look into Folk-Belief in a semiotic way.

인간은 인간의 힘으로는 알 수 없는 많은 현상들과 대면하며 살고 있다. 그런 과정에서 인간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엄청난 경험의 축적과 사고의 발달을 근거로 수많은 해석을 낳았다. 인간의 인식이 자연 현상에 대해 적절한 해답을 내릴 수 없을 때 의존하는 것은 경험의 축적에 의한 심리 문화적 해석이었다. 이런 단계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해석의 하나가 바로 속신일 수 있다. 특정 현상에 대한 인간의 인식론이 단문 형식으로 표현된 것이 속신인 것다. 이를 기호학적으로 표현한다면 '하나의 또는 몇몇의 기호나 조건이 하나 또는 몇몇의 결과를 드러낸다고 믿는 전통적인 표현'이라 하겠다. 속신은 세계에 대한 해석 행위로서 '민속적인 해석학'인 것이다. 속신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고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속신이 형성되는 과정을 기호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속신을 하나의 '해석소'로 파악한다. 이것은 퍼스의 기호이론에 의한 것이다. 그는 기호가 기호를 낳는 끊임없는 기호작용을 '기호-대상-해석소'간의 삼항관계를 통해 설명한다. 퍼스의 기호작용 개념은 속신의 형성과 더불어 그 특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속신을 하나의 해석소로서 간주할 때, 퍼스 기호학에서 해석소가 지니는 일반적인 특징으로 속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퍼스의 기호학에서는 자연 현상이나 사건, 행동 등의 범주가 기호학의 범위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런 점이 속신을 기호학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YG Kim, Korean literary history, Tamgu-dang, 1994. 508.
  2. KH Lee, The power of words, Jeil-chulpansa, 1987, 68.
  3. GH Park, An introduction to Korean folklore, Hyungseol-chulpansa, 1994, 250.
  4. Victor Turner, "From Ritual to Theatre," Performing Arts Journal Publications, 1982, p. 17.
  5. John Deely, Basics of Semiotics, Indiana Univ. Press, 1990, p. 7.
  6. Charles S. Hardwick, eds., Semiotic and Significs, Bloomington & Lond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77, p. 85.
  7. Robert E. Innis eds., Semiotics-An Introductory Anthology, (Bloomiton:Indiana University Press, 1985), p. 1-2.
  8. John K. Sheriff, The Fate of Meaning ; Charles S. Peirce, Structuralism, and Literature, (Princeton, New Jersey:Princeton Univ. Press, 1989), p. 60.
  9. KS Kim, JLKim,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n the sense of Performance Theory,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2);123-130, 2018. https://doi.org/10.17703/JCCT.2018.4.2.123
  10. KS Kim, JLKim, Analysis on the special quantitative variation of dot model by the position trans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5(3);67-72, 2017. https://doi.org/10.17703/IJACT.2017.5.3.67
  11. RO Ghoi, Dictionary of Korean Folk-Belief, Jipmoon-dang. 1995.
  12. KS Kim, JLKim, The Significance of Korean Proverb and Riddle in the sense of Bia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3(4) ;35-42, 2017. https://doi.org/10.17703/JCCT.2017.3.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