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relationship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28초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비교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 임은주;이여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3-32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was to compare operating room (OR)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Methods: Participants were 276 nurses (OR 122, ward 154) working in one of 4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I and K area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June, 2013. Comparisons between OR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ere analyzed using ANCOV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munication competence (F=11.96, p=.001) with average score for OR nurses at 3.37 points and ward nurses at 3.53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15.51, p<.001) with the average score for OR nurses at 3.30 points and ward nurses at 3.50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 promot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OR nurses and to enhance the openn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어린 시절 부-자녀관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대상적 자기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 adolescent period's father-child relationship on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married women : The mediating role of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 이문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2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a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s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consequently, interpersonal problems. Methods: To carry out this study, a total of 467 married women were surveyed on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Results: Firs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hows negative correlations with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an impaired objective sel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mediat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trapersonal problems consecutively. Conclusions: This indicates that efforts to mitigate an impaired objective self and to intervene i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can help address intrapersonal difficultie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study affects the ongoing discussion on this matter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간호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존감, 공감정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 states, Self Esteem, and Empath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 정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14-4620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존감 및 공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J시 A대 간호학과 학생 중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과목을 수강하는 2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존감(.37), 자유스런 어린이 자아(FC, .26), 순응적 어린이 자아(AC, -.18) 순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대인관계를 4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중재 시 이들 요인들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돌봄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aring efficiency in nursing students)

  • 이지숙;조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6-19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efficacy and empath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5 to February 12, 2019, from 254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buk-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y ability and caring 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Z=1.68, p=.04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 theoretical basis was provided that when applied to an educational program could improve nursing students' caring efficacy. Content that can improve not only empathy but also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hould be included.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Covert Narcissism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Mediated Effects of Adult Attachment)

  • 진이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37-250
    • /
    • 2021
  • 본 연구는 내현적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그들의 핵심 정서인 내적 심리상태 중 부정적 정서인 성인애착을 통한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대학생 447명으로 2020년 7월 6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부트스트래핑,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는 성인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인관계능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내현적자기애를 변화시키는 노력과 함께 애착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대인관계 만족 및 사회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ocialit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Activities)

  • 우정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23-230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 25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 대인관계만족, 그리고 사회성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IBM SPSS 21.0과 IBM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첫째, 신체적 자기개념이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대인관계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만족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만족은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들이 바람직한 신체적 자기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대인관계 질이나 만족, 그리고 사회성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물관계망의 대용량 그래프 표현과 최단 경로 탐색 (Massive Graph Expression and Shortest Path Search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 민경주;진병찬;정만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624-632
    • /
    • 2022
  • 인물관계망이나 네비게이션의 경로 탐색과 같은 관계망은 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양이 많아지면서 한 화면에 표현할 때 원하는 데이터 탐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노드를 갖는 인물관계망을 표현하기 위해 그래프를 사용해 인물의 검색, 인물 사이의 최단 경로 검색 및 탐색 결과에 대한 시각화 방법을 제시한다. 라우팅 테이블에서의 최단 경로와 달리 인물관계망에서의 최단 경로는, 분석하는 사용자의 의도나 관계의 중요도에 따라 변경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물관계망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너비우선탐색 알고리즘을 변형하였다. 결과 검증을 위해,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고전종합DB 인물관계정보에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대학생의 눈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nchi, Social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student)

  • 주신영;장태희;박정희;한우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305-312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눈치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한 대인관계 형성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2023년 10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D시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1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대인관계는 눈치(r=.645, p<.001), 사회적 자기효능감(r=.465, p<.001)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인관계의 영향 요인은 눈치(β=.566. p<.001)와 사회적 자기효능감(β=.211,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46%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건강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대학생의 눈치와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눈치 수준 향상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변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6학년 아동의 수줍음 : 대인적응석 및 또래수용성과의 관계 (The shyness in sixth-graders : Its relationship to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 도현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11
    • /
    • 1995
  •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yness and social behaviors such as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The subjects were 435 sixth-graders(221 boys and 214 girl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to r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1) shyness,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varied little as a function of sex and birth order of children, and 2) shyness was related negatively both to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to peer acceptance.

  • PDF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hyness,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to Loneliness in Children)

  • 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45
    • /
    • 1996
  • The relationship of shyness,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to loneliness in children was examined in a sample of 279 fifth and sixth graders (135 boys and 144 girls) and their teachers. Loneliness and shyness were rated by children themselves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and peer acceptance by their teachers. Shyness and interpersonal adjustment were found to be predictive of peer acceptance, in which interpersonal adjustment had a greater effect than shyness. Shyness and peer acceptance were found to be predictive of loneliness, in which shyness had a greater effect than peer acceptance. Shyness appear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oneliness, whereas for interpersonal adjustment, the relation to loneliness was mediated by peer acceptance. The more shyness and the less interpersonal adjustment they have, the less peer acceptance they have, which results in more loneliness. More attention and research are needed for shyness as well as loneliness in the area of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