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conflict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4초

산업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 권민;김순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69
    • /
    • 2010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provide basic material that enables to prevent industrial hospital nurses from occupational stress,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by understanding their work environment, stress, Presenteeism and correlation among them.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s of 272 industrial hospital nurses who have attended the training conducted by KAOHN from October to December 2009 and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questionnaire included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S.J. Chang and Stanford Presenteeism Scale questionnaire translated by Y.M. Le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WIN 17.0. Result: The industrial hospital nurses get much more stress than the average in three fields of occupational stress: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and occupational climate. The study shows in particular, the age group of twenties with one to three year work experience having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in occupational stress, work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of Presenteeis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agement for these groups of nurses. In addi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policy should be rendered to secure job conditions so that occupational stress can be relieved from these nurses and to prevent work impairment in advance as occupational stress has substantial correlation with health problems, work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of Presenteeism.

임상병리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른 하위영역의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in Medical Technologist)

  • 소정규;김정숙;이영희;김대중;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8-54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해 건강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임상병리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최대 100점에 49.74점으로 나타났고, 하부영역별로 직무불안정이 64.42점으로 가장 높았고, 조직체계가 52.46점, 보상부적절이 52.30점, 물리적환경이 51.15점, 직무 요구도는 49.57점, 직무자율성결여는 48.43점, 관계갈등은 39.78점 순이었고, 직장문화는 39.7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병리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한 요인들의 상관성을 확인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는 직무불안정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에서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활동이 요구되고, 이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절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건강상태 인자에 대한 정보를 향후 조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in Occupational Therapists)

  • 최유임;김은주;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25-233
    • /
    • 2011
  •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작업치료사 214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작업치료사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당시에 제시되었던 7개 하위요인보다는 직장문화, 조직체계, 직무자율성결여, 보상부적절,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능력, 직무불안정의 8개 요인으로 적용하는 것이 작업치료사에게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도구의 Cronbach' ${\alpha}$는 0.84로 작업치료사 대상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문항내적합치도의 경우 좋은 신뢰도라 판단할 수 있으며, 평가도구 내 문항수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위해 필수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에 관한 실증적 연구: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in Physical Therapist)

  • 황룡;명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49-857
    • /
    • 2014
  • 직무스트레스란 작업장 또는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스트레스로서, 한국의 직장인들이 느끼는 직무스트레스는 87.8%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소재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유의표집법으로 388명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0.83로 적절하게 나타났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측정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는 개발 당시 제시되었던 하위요인보다는 조직체계 및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능력, 직무불안정, 직무자율성결여의 7개 요인으로 적용하는 것이 물리치료사에게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 산출 및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건축건설공사의 공종별 위험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Level and the Job Stress Level of Work Types in Architectural Work)

  • 김정민;이종빈;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78
    • /
    • 2017
  • In this study, the risk level of architectural works was calculated by applying work period and number of input workers based on accidents records from 2012 to 2014 and the architectural work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High-High, High-Low, Low-High, Low-Low) according to risk levels of fatal accidents and loss time accidents. And then questionnaire on the job stress level of workers was performed for 670 workers working in the architectural work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Form developed by KOSHA.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level and job stress level of four groups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1) risk levels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s applied by work period and input workers were analyzed to be different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number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s; 2) job stress level of workers has been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isk level of fatal and loss time accident; 3) specially, the average of job stress level of 'HH(High-High)'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4)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were analyzed to be key factors to affect the risk level.

사이버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 -배경변인별 차이를 중심으로- (Perception on Career Barriers among Cybe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이지혜;곽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6-5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소재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개인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한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20세 이상 성인학습자로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총 937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배경변인별 분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20대가 30~50대보다, 비직장인이 직장인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진로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하위영역 별로는 '미래불안', '흥미부족', '직업정보부족', '대인관계어려움'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지각 수준을 보였다. 연령별 분석에서 5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지각한 영역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이 유일했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진로발달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방사선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job-satisfaction due to Radiographer's Job-Characteristics and Job-Stress)

  • 이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08-415
    • /
    • 2015
  • 본 연구는 방사선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여, 근무에 대한 만족도를 다각도로 살펴보고 현재 방사선사가 적절한 환경에서 근무를 하고 있으며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사 21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특성,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포함한 총 105문항의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직무만족도는 심리적요인, 환경적요인, 구조적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로 구분하였다. 30세 이상보다 30세 미만이, 보람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사명감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근무처가 지방보다 서울이, 병원의 규모가 커질수록, 이직의도가 있는 사람보다 없는 사람이,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물리환경이 높은 사람보다 낮은 사람이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이렇듯 방사선사에게 있어서 집단간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내부마케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 이병호;김정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79-87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내부마케팅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191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요인 중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관계갈등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321).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내부마케팅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내부마케팅의 하부요인 중 권한위임과 보상시스템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가 치과의료기관의 인적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리라 본다.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 (Representation of Homosexuality and Related Discourse in )

  • 이자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5-566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미디어에서 동성애의 재현이 표면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주류 미디어인 지상파 방송에서의 동성애 재현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적 소수자로서의 동성애자에 대한 주류 미디어의 재현의 경계는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에서의 재현 전략을 분석함에 있어 동일 드라마 내에서의 이성애 커플과 동성애 커플의 갈등의 원인과 유형, 갈등의 해결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의 재현 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동성애의 재현에서 허용되고 배제된 재현 방식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생산되는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성애 커플에서 재현되는 사회적 요인으로 인한 갈등이 동성애 커플에는 부재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동성애 커플의 경우 가족과의 심화된 대인관계 갈등 속에서 피해자로 묘사됨으로써 동정심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다. 또한 이성애 커플은 갈등의 해결에 주체적인 것으로, 동성애 커플은 갈등은 중재자의 적극 개입을 통해 비주체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in local government worker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71-48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related factor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60 local officials in Gangwondo. The research comprised three questions relating to subjective oral symptom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and an oral health impact factor which was composed of questions.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in Amos. Results :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drinking frequency,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drinking frequency, smoking amount and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oral symptoms. It denoted that drinking frequency,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OHIP. The path model had an excellent goodness of fit (p=0.07, namely p>0.05). Fiv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model were all above 0.9: GFI=0.987, AGFI=0.952, NFI=0.902, IFI=0.939, CFI=0.934), and its RMSEA was 0.045.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firsthand impact on OHIP. In addition, it affected OHIP through the parameters of or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drinking frequency, drinking frequency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smoking amount. Smoking amount had a firsthand impact on oral symptoms.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oral hygiene environment through reduction in drinking and smoking also need to focus on relieving stress by improving workplace culture. In addition, due to good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confl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