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based robot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6초

OSGi 미들웨어 기반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for Healthcare Robot based on OSGi Middleware)

  • 권기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1-127
    • /
    • 2015
  • 본 논문은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OSGi 미들웨어에 기반한 S/W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기존에 헬스 보조 로봇 개발은 헬스 보조 로봇을 위한 표준화 된 로봇 프레임 워크가 없었기에 개발사 마다 독립적으로 개발되어왔다. 그렇기에 중복 개발되었고 재사용되지 못하며 비효율적으로 개발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프레임워크인 OSGi를 기반 프레임워크로 활용하여 그 위에 헬스 보조 로봇운영에 필요한 API와 모듈들을 서비스 단위의 독립적 번들 형태로 구성한 OSGi번들 형태의 개방형 로봇 미들웨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헬스 보조 로봇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안 했다.

전방향 이동로봇을 이용한 네트워크기반 원격 감시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Remote Surveillance System Using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 서용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91-97
    • /
    • 2010
  • 본 논문은 전방향 이동로봇과 로봇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한 네트워크기반 원격 감시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안된 감시시스템은 기존의 건물 곳곳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의 영상이 고정된 및 시야에서 침입탐지를 수행하는데 비해 이동로봇을 이용해 원격으로 로봇을 자유롭게 조종해 감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감시시스템 구현에 사용된 이동로봇은 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세 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격으로 제어하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RDS를 이용해 로봇 기능들을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들로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개발된 전방향 이동로봇 원격 감시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자유롭게 이동로봇을 조종하며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발된 감시시스템은 획득된 원격 영상을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PC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색상기만 물체탐지 및 움직임 검출을 수행하였다.

Development of State-Based Squeak and an Examination of Its Effect on Robot Programming Education

  • Aoki, Hiroyuki;Kim, JaMee;Idosaka, Yukio;Kamada, Toshiyuki;Kanemune, Susumu;Lee, WonGy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1호
    • /
    • pp.2880-2900
    • /
    • 2012
  • Robot programming often sparks students' interest in programming, but it is not easy for them to program both procedure and reactivity of robot movements that are essential requirements. In this study, we reviewed in detail a new programming language, State-Based Squeak. It allows novice students to implement both procedure and reactivity of robots easily. The effect of this new language on robot programming education was also examined using a group of 28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gramming, reading and programming abilities the group that used State-Based Squeak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completion ratio than the other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 robot programming language has been developed that addresses the concepts of both procedure and reactivity in such a way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more easily learn how to program robots, something that is often difficult to attempt even for professional programmers.

H.263과 인터넷을 이용한 자율 이동 로봇의 원격 운용 (Teleoper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Based on H.263 and Internet)

  • 박복만;강근택;이원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83-187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combines computer network and an autonomous mobile robot. We control remotely an autonomous mobile robot with vision via the internet to guide it under unknown environments in the real time. The main feature of this system is that local operators need a World Wide Web browser and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so they can command the robot in a remote location through our Home Page. This system offers an image compression method using motion H.263 concept which reduces large time delay that occurs in network during image transmission.

  • PDF

길안내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로봇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Network-based Robot System to Guide a way)

  • 김형선;이준연;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7-125
    • /
    • 2009
  • 로봇에 대한 연구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단순한 반복패턴의 산업용 로봇에서 벗어나 인간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능형 서비스 로봇에 네트워크를 연결한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로봇에 관한 연구에 집중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길안내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 시스템을 제안한다. 길안내 로봇은 LEGO 브릭을 이용해 제작하고 외부 환경 인식을 위해 초음파 센서, 로테이션 센서, RFID 태그를 사용한다. 또한, 서버와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를 위해 PDA를 장착한다. 네트워크 서버는 처리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로봇 컨트롤러로 전달하여 로봇의 경로이동 및 회피를 제어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길안내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로봇 시스템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버에서 프로세싱 기능을 분담처리 함으로써 기존의 지능형 로봇의 기술적인 제약을 해결하였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서비스의 확장성이 유용하다. 또한 저가의 센서 장비를 통해 충분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에 따라 로봇 제작의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Task Allocation of Intelligent Warehouse Picking System based on Multi-robot Coalition

  • Xue, Fei;Tang, Hengliang;Su, Qinghua;Li, T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7호
    • /
    • pp.3566-3582
    • /
    • 2019
  • In intelligent warehouse picking system, the allocation of task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efficiency of the whole system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robots and orders. The paper proposes a method to solve the task allocation problem that multi-robot task allocation problem is transformed into transportation problem to find a collision-free task allocation scheme and then improve the capability of task processing. The task time window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multi-robot (driving distance) are regarded as the utility function and the maximized utility function is the objective function. Then an integer programming formulation i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number of task assignment on an agent according to their battery consumption restriction. The problem of task allocation is solved by table working method. Finally, simulation modeling of the methods based on table working method is carried out.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has good performance and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ask execution.

PDA를 이용한 이동로봇 제어 (PDA-based Supervisory Control of Mobile Robot)

  • 김성주;정성호;김용택;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9-384
    • /
    • 2002
  • 본 논문은 PDA(개인용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하는 이동로봇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재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터넷 개발 기술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원격 제어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주변환경을 인지 못하는 상황하에서 안내와 인터넷을 통한 이동 로봇 제어를 위하여 PDA를 활용한 제어를 제안한다 이에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PDA와 이동로봇의 컨트롤러인 노트북과 통신을 한다. 이를 위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회전각도 조절방향과 속도에 대한 정보가 PDA에서 이동로봇에 피드백 되며 퍼지 추론엔진으로부터 출력된 새로운 제어값을 PDA가 보내게 된다

Tele-operated Control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a Virtual Force-reflection

  • Tack, Han-Ho;Kim, Chang-Geun;Kang, Shin-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3권2호
    • /
    • pp.244-250
    • /
    • 2003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lave robot and the uncertain remote environment is modeled as the impedance to generate the virtual force to feed back to the operator. For the control of a tele-operated mobile robot equipped with camera,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take pictures of remote environment and sends the visual information back to the operator over the Interne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communication bandwidth and narrow view-angles of camera, it is not possible to watch the environment clearly, especially shadow and curved area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virtu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both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robot and the approaching velocity of the obstacle. This virtual force is transferred back to the master over the Internet and the master(two degrees of freedom joystick), which can generate force, enables a human operator to estimate the position of obstacle in the remote environment. By holding this master, in spite of limited visual information, the operator can feel the spatial sense against the remote environment. This force reflectio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 tele-operated mobile robot significantly.

가상임피던스를 이용한 원격 이동로봇의 장애물회피 (Obstacle avoidance of Mobile Robot with Virtual Impedance)

  • 진태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1-45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Virtual Mass-Spring-Damper 모델을 사용하여 이동로봇과 주위 물체와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장애물의 충돌벡터를 검출하여 가상의 척력을 발생시키는 가상 임피던스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지 슬래이브 로봇의 주위 환경 정보 즉, 이동 로봇과 장애물과의 거리 및 접근 속도 등의 정보를 조작자에게 입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조이스틱의 각축에 연결된 모터를 이용하여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의 실제 로봇적용에 앞서 이동로봇의 장애물 회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Internet-based Teleoperation of a Mobile Robot with Force-reflection

  • Lim, Jae-Nam;Moon, Hae-Gon;Ko, Jae-Pyung;Lee, Jang-My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50.6-50
    • /
    • 2002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lave robot and the uncertain remote environment is modeled as the impedance to generate the virtual force to feed back to the operator. For the control of a teleoperated mobile robot equipped with camera, the teleoperated mobile robot take pictures of remote environment and sends the visual information back to the operator over the Interne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communication bandwidth and narrow view-angles of camera, it is not possible to watch the environment clearly, especially shadow and curved area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virtu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both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robot and the approach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