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shopping mall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9초

데이타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지능형 인터넷 쇼핑몰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Internet Shopping Mall using Datamining Technology)

  • 김진철;황보윤;황성희;곽난희;문현정;우용태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종합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757-76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오라클사의 전자상거래용 패키지인 ICS를 기반으로 지능형 인터넷 쇼핑몰을 설계 하고 구현하였다. 본 쇼핑몰은 고객들의 접속 기록과 상품 구매 기록을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품에 대한 인기도에 따라 상품 진열을 자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능형 쇼핑몰이다. 본 시스템을 동하여 쇼핑몰 관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수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쇼핑몰 관리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비교쇼핑 에이전트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arative Shopping Agent for E-Commerce)

  • 최무진;황진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97-113
    • /
    • 2005
  • 본 논문은 B2C 온라인 인터넷 쇼핑을 돕기 위한 비교쇼핑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프라인 상점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구매자가 판매원에게 제품의 제조사, 모델, 기능 또는 가격대를 설명하면 판매원이 해당 상품들을 보여주거나 카탈로그를 보여준다. 구매자는 상품의 기능이나 디자인을 비교하면서 적절한 상품군을 정한 후 가격을 비교한 다음에 가장 싼 곳에서 상품을 구입한다. 본 논문이 소개할 비교쇼핑 에이전트 ${\ulcorner}$PriceMeter${\lrcorner}$는 이러한 구매 행동에 최대한 부합 되도록 설계하였다. 구매자가 원하는 제조사, 가격, 기능 등을 선택한 후 검색하면 해당되는 상품들의 설명과 가격 정보들을 이 비교쇼핑 에이전트가 취합하여 보여준다. 마음에 드는 상품들을 카탈로그 양식으로 비교해서 볼 수도 있고, 프린트 양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들의 정보와 판매 가격을 함께 보여주며, 구매 아이콘을 클릭하면 쇼핑몰의 해당 상품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B2C 전자상거래에 있어 비교쇼핑 에이전트의 구현과 확산은 구매자에게 더 많은 정보와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중심의 유통경제를 한 걸음 앞당길 수 있다. 특정 상품에 대한 가격과 상세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제공받는 구매자들은 보다 현명한 구매를 할 수 있으며, 거래과정에서 판매자(생산자)와 구매자의 협상력이 구매자에게로 옮겨질 수 있다. 본 논문이 제시한 비교쇼핑에이전트는 소비자 중심의 사이버 유통시대를 촉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스마트폰몰입이 모바일웹과 PC웹기반의 의류쇼핑몰에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volvement in Smartphones on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Mobile Web Apps and PC Web Apps)

  • 이정우;김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3-405
    • /
    • 2013
  • This study considers the effect of smartphone involvement for purchase intentions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mobile web apps and on PC web app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activated PC web apps) and those of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newly created mobile web ap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analysis of smartphones factors showed that smartphones consist of 6 kinds of dimensions of 'appearance involvement', 'time and information search involvement', 'application involvement', 'entertainment involvement', 'communication involvement', and 'transaction involvement'. Second, the higher the entertainment and transaction involvement among descriptive variables for smartphone involvement were due to the positive responses displayed towards fashion shopping mall purchases based on mobile web apps. Third, a higher application and entertainment involvement in the descriptive variables for smartphones resulted in a positive response displayed for purchases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PC web apps shown in a regression analysis that verified the smartphone and purchase intention relationship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PC web apps. Fourth, consumers with high purchase intention in the existing PC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were shown to have a high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due to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in PC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and mobile web app based fashion shopping malls.

인터넷 기반 수요자 맞춤형 광고를 위한 OLED 디스플레이 장착 마우스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Mouse with an OLED display for a Customized Advertisement Based on the Internet)

  • 이선환;이혁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0-5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광고 방법을 제시한다. 사용자의 작업 화면과는 별도로 마우스에 장착된 소형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광고를 보여준다. 판매자가 판매를 타겟으로 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파악한 후 그에 해당하는 상품의 이미지를 인터넷 서버에 카테고리별로 업로드하면, 네트웍을 통해 판매 타겟인 사용자 PC로 전달된다. 전달된 영상 광고는 PC에 연결된 마우스의 OLED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는 마우스에 부착된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구현하였다. 구매하고 싶은 상품이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때, 마우스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해당 상품의 웹브라우저로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구매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요자 맞춤식 광고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속성값 메트릭스를 이용한 상의-하의 자동 의류매칭 방법 (A Method of Upper-Lower Clothes Automatic Matching Using Attribute-values Matrix)

  • 김정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348-1356
    • /
    • 201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패션/코디 쇼핑몰은 그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패션/코디 쇼핑몰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 쇼핑몰 운영자들은 자신의 사이트에 방문자를 늘이기 위하여 첫 페이지에 다양한 이벤트나 어울리는 상의-하의로 치장을 하게 된다. 운영자는 매일 혹은 며칠에 한번 씩 첫 페이지의 내용을 수작업으로 바꾸어서 방문자에게 항상 신선한 느낌으로 상품을 소개한다. 온라인 패션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하여 상의와 하의의 어울리는 정도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표기할 수 있다면, 첫 페이지의 장식을 도와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점원에 의한 추천을 대신하여 사용자들의 연계 구매에도 한층 편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코디 전문가가 상의-하의 의류에 대하여 휴리스틱에 의한 어울림 값을 속성별 매트릭스 형태로 등록하여, 실제 의류들에 대하여 상의-하의 의류를 자동 매칭해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중국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만족, 재구매의도간의 관계 및 온라인 리뷰의 조절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Reviews)

  • 장바오쯔;이영숙;이지은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7-54
    • /
    • 2022
  • 사물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를 이끌어 내었고, 이는 곧 기존 네트워크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패션쇼핑몰을 이용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서비스품질, 만족, 재구매 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 리뷰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20대 30대 소비자의 관점에서 서비스 품질의 유형성, 신뢰성, 편의성, 상호작용성이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의 결과변수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리뷰 중 부정적인 리뷰가 재구매 의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온라인 패션쇼핑몰을 위하여 온라인 제품리뷰에 미치는 영향과 온라인 제품리뷰 수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이고, 향후 패션 기업이 온라인 제품리뷰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30대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강박적 구매성향과 인터넷 중독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in Compulsive Buying Behaviors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E-Commerce Users between the Ages of 20~30)

  • 강이주;이영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7-81
    • /
    • 2010
  • Consumer researchers found that compulsive buying was a part of a category of compulsive consumption that was interrelated to addictive and repetitive behaviors.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o-morbidity of compulsive buying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e-commerce users in terms of consumption disorders. Although the prevalence of Internet use and on-line sales remarkably increase in recent years, almost no study examines on-line compulsive buying behavior. This study explored the link between compulsive buying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e-commerce user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hoppers with respect to two forms of compulsive consumption, which were divided into compulsive buying and Internet addiction. Additionally, factors that related to compulsive buying behaviors among e-commerce users were also examined.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394 young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30, and the Faber and O'Guinn's DSCB scale and the Widyanto's Internet addiction scale (IA) wer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utilized to evaluate the structure of the DSCB and IA, and a Probit model was used to examine determinants for the compulsive buying behaviors of e-commerce users. E-commerce us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 compulsion and high addiction, low compulsion and low addiction, high compulsion and low addiction, and low compulsion and high addiction. Consumers with high compulsion and high addiction spent higher amounts of money on their on-line purchases and were frequently connected with the Internet compared to the three other consumer groups. Consumers with compulsive buying behaviors were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ly greater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than typical buyers. Compulsive buyer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Internet addiction and the number of purchasing via on-line shopping mall, and had higher materialism.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nsumer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온라인 정보원천이 인터넷 쇼핑몰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nline Information Source on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 박경자;장희영;노희옥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40
    • /
    • 2011
  • 웹이라는 환경은 다양한 정보원천을 생성해냈고, 온라인 소비자는 시간과 노력의 비용을 줄여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웹 정보탐색을 한다. 특히 인터넷 환경은 정보를 획득하는 비용을 낮춤으로써 유용한 정보원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Bakos, 1997; Bar-Ilan, 2001). 그러나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는데, 이때 소비자들은 정보원천에 대한 인지경향, 즉 신념수준을 가지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하게 된다(Schuman and Johnson, 1976). 이러한 관점에서 온라인상에서의 구매의사결정과 관련해서 주요하게 참조되는 정보원천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조사를 통해 온라인 주요 정보원천으로 온라인 구매경험, 온라인 구전정보, 판매자 정보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원천이 제품만족,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이어서 정보만족과 제품만족이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인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온라인 정보원천의 모든 변수들이 정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만족과의 관계에서는 판매자 제공정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만족과 제품만족 모두 소비자의 전반적인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온라인상에서의 정보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온라인 소비자의 정보원천에 대한 이용과 평가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고, 정보원천에 대한 관리와 활용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케팅 믹스를 활용(活用)한 의류(衣類)브랜드 웹사이트 분석(分析) -유니섹스 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Website Analysis of apparel Brand through Marketing Mix -Focusing on Unisex Brand-)

  • 이미경;나수임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4호
    • /
    • pp.69-81
    • /
    • 2007
  •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and analyzing 23ea of national unisex apparel brands website consists of product, price, promotion and place divided by marketin gmix. Based of theoretical study and pre-research about the marketing mix, we mad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the marketing mix and analyzed the unisex apparel brand website according to 4P's individual item and the result was appeared like this. First of all, in the product section,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about product introduction/guidance, a product figure for item, introduction for new items, propose for coordination and brand introduction/information. Secondly, in the price part, almost apparel brands are provide their product's image, or present their goods photo with price, or displayed through the banner advertisement of discount or special price. Thirdly, For the marketing promotion part, compare to the other component in the most of apparel brand's website, marketing promotion has more section than the other marketing mix. And, especially, various events and customer service space has more weight than the others. Forth, in the place section, it's focused on the information of shopping mall location, contact number, address, and on-line shopping mall. In Conclusion, when the most of apparel brands are doing internet marketing, they're concern to product and promotion, but price and place needs more supplement in the unisex apparel brand's marketing mix.

전자상거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구매태도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Electronic Commerce)

  • 심종섭
    • 산학경영연구
    • /
    • 제12권
    • /
    • pp.29-66
    • /
    • 1999
  • 이 논문은 상거래의 혁명이라고 불리 우는 EC에 대한 우리나라 대학생의 인식수준과 구매태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조사는 Kalakota와 Whinston의 ${\ulcorner}$EC소비자 구매단계 모형${\lrcorner}$을 중심으로 한 구매태도와 EC에 대한 전반적 인식수준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결과, (1) 제품검색 경로는 심마니나 Yahoo와 같은 전문검색사이트를 가장 선호하였고, (2) 인터넷 쇼핑대상 제품은 대체로 분산된 편이나 호텔 비행기 예약, 음반 CD/Tape, PC와 PC부품/software, 꽃 배달, 서적 등이 주종을 이루었고, (3) 구매가격의 범위는 $5{\sim}10$만원, (4) EC의 가격수준은 싼 것 같지 않다고 인식, (5) 결제시스템에 대한 불만, (6) 반품 교환 A/S에 대한 불신 등이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마케팅시사점으로, 향후 EC를 이용하려는 기업은 분석개요에서 지적한 점들을 토대로 하여 ${\ulcorner}$EC고객의 본원적 복구${\lrcorner}$에 초점을 둔 마케팅전략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