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adhesion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28초

폴리이미드와 Cu/Ni층과의 계면결합력에 미치는 플라즈마 처리 시간 효과 (Effect of Plasma Treatment Times on the Adhesion of Cu/Ni Thin Film to Polyimide)

  • 우태규;박일송;정광희;전우용;설경원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657-663
    • /
    • 2011
  • This study represents the results of the peel strength and surface morphology according to the preprocessing times of polyimide (PI) in a Cu/Ni/PI structure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e polyimid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were used to analyze the surface morphology, crystal structure, and interface binding structure of sputtered Ni, Cu, and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layers. The surface roughness of Ni, Cu deposition layers and the crystal structure of electrodeposited Cu layer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preprocessing times. In the RF plasma times that were varied by 100-600 seconds in a preprocessing process, the preprocessing applied by about 300-400 seconds showed a homogeneous surface morphology in the metal layers and that also represented high peel strength for the polyimide. Considering the effect of peel strength on plastic deformation, preprocessing times can reasonably be at about 400 seconds.

Capillary 특성을 활용한 섬유 조건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함침성 및 계면강도 평가 (Evaluation of Wettability and Interfacial Property of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 with Different Glass Fiber Conditions via Capillary Effect)

  • 김종현;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5호
    • /
    • pp.305-310
    • /
    • 2021
  • 섬유강화복합재료의 기계적물성은 섬유의 체적분율 및 사이징제 조건에 의한 계면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최적의 계면은 기지층에서 강화재로의 기계적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결과적으로 복합재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징제 조건 및 섬유체적분율에 따른 에폭시 수지와 유리섬유 간의 젖음성 및 계면강도를 평가하였다. 정적 및 동적접촉각을 이용하여 사이징제가 다른 유리섬유와 에폭시 수지의 표면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접착일을 계산하였다. 유리섬유 토우 캐필러리 시험법을 이용하여 젖음성을 평가하였고, 마이크로드롭렛 인발시험을 통해 계산된 계면전단강도를 이용하여 계면강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젖음성과 계면강도를 활용하여 최적의 유리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작 조건을 확인하였다.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lid Polymer Electrode Fabricated with Low IrO2 Loading for Water Electrolysis

  • Ban, Hee-Jung;Kim, Min Young;Kim, Dahye;Lim, Jinsub;Kim, Tae Won;Jeong, Chaehwan;Kim, Yoong-Ahm;Kim, Ho-Su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2-28
    • /
    • 2019
  • To maximize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in the electrolysis of water, nano-grade $IrO_2$ powder with a low specific surface was prepared as a catalyst f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SPE) system, and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as prepared with a catalyst loading as low as $2mg\;cm^{-2}$ or less. The $IrO_2$ catalyst was composed of heterogeneous particles with particle sizes ranging from 20 to 70 nm,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3.8m^2g^{-1}$. The anode catalyst layer of about $5{\mu}m$ thickness was coated on the membrane (Nafion 117) for the MEA by the decal metho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confirmed strong adhes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catalyst electrode. Although the loading of the $IrO_2$ catalyst was as low as $1.1-1.7mg\;cm^{-2}$, the SPE cell delivered a voltage of 1.88-1.93 V at a current density of $1A\;cm^{-2}$ and operating temperature of $80^{\circ}C$. That is, it was observed that the over-potential of the cell for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decreased with increasing $IrO_2$ catalyst loading.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the MEA was investigated in the electrolysis of water at a current density of $1A\;cm^{-2}$ for a short time. A voltage of ~2.0 V was maintained without any remarkable deterioration of the MEA characteristics.

철계 비정질 분말을 활용한 초고속 용사 코팅층 개발 (Development of Amorphous Iron Based Coating Layer using High-velocity Oxygen Fuel (HVOF) Spraying)

  • 김정준;김송이;이종재;이석재;임현규;이민하;김휘준;최현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83-490
    • /
    • 2021
  • A new Fe-Cr-Mo-B-C amorphous alloy is designed, which offers high mechanical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s well as high glass-forming ability and its gas-atomized amorphous powder is deposited on an ASTM A213-T91 steel substrate using the high-velocity oxygen fuel (HVOF) process. The hybrid coating layer, consisting of nanocrystalline and amorphous phases, exhibits strong bonding features with the substrate, without revealing significant pore formation. By the coa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nse structure in which pores are hardly observed not only inside the coating layer but also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ating layer and the substrate. The coating layer exhibits good adhesive strength as well as good wear resistance, making it suitable for coating layers for biomass applications.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이음부 적정 시공안 제안을 위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Proposing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r Joints of Polyurea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 이정훈;김병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시공 시차별 분석과 열화면에 대한 유지관리 시공 타입별 분석을 통해 시공 이음부위의 적정 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전체 16가지 조건을 대상으로 시공 이음부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시공시차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음부를 통한 누수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프라이머 시공을 통해 누수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시간 옥외 노출된 폴리우레아는 표면이 열화되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연마할 경우 표면손상이 확대되어 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지관리 시공 시에는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동일한 우레아 계열의 재료를 시공하는 것이 방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잠재적인 UV 센서를 위한 희토류 금속착물이 기능화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Rare-Earth Metal Complex-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or a Potential UV Sensor)

  • 박성수;김미라;오원태;김예담;이예은;이윤건;하강범;정도준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36-1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원으로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사용하고 주형으로 트리블럭 공중합체(P123)를 사용하여 산성 조건에서 자기조립 방법과 수열합성 과정을 거쳐서 잘 배열된 육방체 구조의 메조세공 배열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물질(Surfactant-extracted SBA-15)을 합성하였다. Surfactant-extracted SBA-15는 약 980 nm의 크기를 가지는 짧은 로드의 입자 모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730 m2g-1와 70.8 Å이었다. 한편, 포스트-합성방법(post-synthesis method)을 이용하여 메조세공 내에 아미노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을 그래프팅(grafting) 하였다.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메조다공성 실리카(APTES-SBA-15)는 잘 배열된 세공구조(p6mm)를 가지고 짧은 로드의 입자모양을 잘 유지 하였다. APTES-SBA-15의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350 m2g-1와 60.7 Å으로 감소하였다. APTES가 개질된 메조 다공성 실리카에 희토류 금속이온(Eu3+, Tb3+) 용액을 처리하여 메조세공 내에 희토류 금속 착물이 도입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였다. (Eu/APTES-SBA-15, Tb/APTES- SBA-15) 이들 물질은 λex=250 nm 광에 의해 특징적인 광발광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Tb/APTES-SBA-15를 위하여 5D47F5 (543.5 nm), 5D47F4 (583.5 nm), 5D47F3 (620.2 nm) 전이; Eu/APTES-SBA-15를 위하여 5D0→7F0 (577.7 nm), 5D0→7F1 (592.0 nm), 5D0→7F2 (614.9 nm), 5D07F3 (650.3 nm) and 5D07F4 (698.5 nm) 전이)

자가골 블럭 이식을 이용한 수평골 증강술시 이식골의 치유 (THE HISTOLOGIC STUDY OF BONE HEALING AFTER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 BLOCK BONE GRAFT)

  • 오재권;최병준;이백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07-215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long term bone healing after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 block bone graft for implant installation timing. Materials and Methods: Five Beagle dogs(which were 14 months old and weighted approximately 10kg). In surgery 1(extraction & bone defect), premolars(P2, P3,P4) were extracted and the buccal bone plate was removed to create a horizontally defected ridge. After three months healing, in surgery 2(ridge augmentation). Auto block bone grafts from the mandibular ramus were used in filling the bone defects were fixed with stabilizing screws. The following fluorochrome labels were given intravenously to the beagle dogs: oxytetracycline 1week after the surgery, alizarin red 4 weeks after the surgery, calcein blue 8 weeks after the surgery. The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sacrificed dogs of 1, 4, 8, 12, 16 weeks after the surgery. Non-decalcified sections were prepared by resin embedding and microsection to find thickness of $10{\mu}m$ for the histologic examination and analysis. Results: 1. We could achieve the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the horizontal bone defect by auto block bone graft. The grafted bone block remained stable morohologically after 16 weeks of the surgery. 2. In the histologic view. We observed osteoid tissue from the sample $4^{th}$ week sample and active capillary reconstruction in the grafted bone from the $12^{th}$ week sample. Healing procedures of auto bone grafts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host bone. 3. Bone mineralization could be detected from the $8^{th}$ week sample. 4. Fluorochrome labeling showed active bony changes and formation at the interface of the host bone and the block graft mainly. Bony activation in the grafted bone could be seen from the $4^{th}$ week samples. Conclusions: Active bone formation and remodeling between the grafted bone and host bone can be seen through the revascularization. After the perfect adhesion to host bone, Timing of successful implant installation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deal ridge formation by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

알루미늄 판상에 글라스 세라믹 후막이 코팅된 절연금속기판의 제조 및 절연특성 (Fabrication and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y of Thick Film Glass Ceramic Layers on Aluminum Plate for Insulated Metal Substrate)

  • 이성환;김효태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46
    • /
    • 2017
  • 본 연구는 평판형 히터용 금속방열판상의 세라믹 절연층 제조, 즉 절연성 금속기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디스플레이의 열처리 공정 등에 사용되는 평판형 히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온도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 방열판으로서 열전도율이 높고, 비교적 가벼우며, 가공성 좋은 알루미늄 합금 기판이 선호된다. 이 알루미늄 기판에 발열 회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 기판에 절연층으로서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믹 유전체막을 코팅하여야 한다. 금속 기판상에 세라믹 절연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첫 번째 문제는 금속과 세라믹의 이종재료 간의 큰 열팽창계수 차이와 약한 결합력에 의한 층간박리 및 균열발생이다. 두 번째 문제는 절연층의 소재 및 구조적 결함에 따른 절연파괴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금속소재 기판과 세라믹 절연층 사이에 완충층을 도입하여 이들 간의 기계적 매칭과 접합력 개선을 도모하였고, 다중코팅 방법을 적용하여 절연막의 품질과 내전압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열처리된 Pine/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기계적 및 계면물성 향상을 위한 최적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rmal Treated Pine/CFRP Composites)

  • 신평수;김종현;박하승;백영민;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41-246
    • /
    • 2017
  • 취성을 가진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충격을 받을 때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섬유와 기지재 간 계면에서 탈착 및 박리가 일어난다. 이는 복합재료의 에너지 충격흡수정도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복합재료의 취성을 해결하기 위해 pine과 복합재료의 접착에 대한 연구가 되어 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열처리 된 pine이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와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었다. 최적의 열처리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pine을 160도 및 200도 조건하에 열처리를 하였다. Pine 및 pine/탄소섬유복합재료의 기계적 및 계면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장, 인장중첩전단 및 아이조드 실험을 하였다. 또한, 열처리에 따른 나뭇결간의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해 나뭇결 수직방향으로 인장시편 제조 후 파단될 때 탄성파를 음향방출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0도 조건으로 열처리 했을 때 나무강화 효과로 기계, 계면 및 나뭇결간의 결합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과한 열을 주게 되면 열에 약한 헤미셀룰로오스가 분해되면서 잡아주는 인자가 줄어들어 물성이 감소하였다.

자기 평활성 바닥 마감용 SBR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부착강도 (Adhesive Strength in Tension of SBR-Modified Cement Mortar with Self-Flowability Material for Floor-Finishing)

  • 도정윤;소양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49-556
    • /
    • 2003
  •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마모성, 여러 피착체에 대한 부착성능, 내화학성, 내수성 등의 많은 성능을 개선시키는 데 폴리머 디스퍼젼은 매우 유용한 재료로서 본 실험에 사용한 SBR은 상업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시멘트 적용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본 실험에서는 시멘트 모르타르에 높은 유동성을 유도하여 자기 평활성을 가지도록 고유동화제와 SBR을 사용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SBR에 의한 시험체의 부착강도의 발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SBR에 의해 개질된 자기 평활성을 가지는 시멘트 모르타르는 재령의 증가에 따라 부착강도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주었으며 파괴형상을 보면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에서 보다는 계면과 피착체에서 외부 인장력에 대하여 파괴가 일어났다. 현재 사무실, 공장, 주차장 등의 바닥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고분자계 재료인 에폭시 수지나 폴리우레탄 제품은 연도변화가 심하여 가사시간이 상당히 짧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반하여 본 연구의 시험체는 충분한 가사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 재료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