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behavior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지필 평가 문항 분석: 5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st Items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the First Term of the 5th Grade)

  • 양일호;나종철;임성만;임재근;최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21-2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ritten tests of the science lessons at elementary schools with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teachers' guide for the first term of the 5th grade by using Klopfer's taxonomic system. In the analysis of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teachers' guide, A.0(40.0%) and $B.0{\sim}E.0$(42.4%) showed high level but the proportion of processes of F.0(5.6%), G.0(4.0%), H.0(4.0%), and I.0(4.0%) showed low level, while in the written tests A.0 was 54.8%, $B.0{\sim}E.0$ was 36.1%, F.0 was 7.3%, and G.0 was 1.8% but H.0 and 1.0 was not taken at all. In the comparison with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teachers' guide about the domain of the knowledge and the comprehension showed hish and the processes of the scientific inquiry showed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 desirable written test should be made to consider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hold up rates of each behavior category between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eachers guide and assessment objectives of written tests.

  • PDF

중ㆍ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내용 및 성취 목표 선정을 위한 교수분석과 출발점 행동 및 학습자 특성분석 (Selecting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structional Analysis and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 강여화;양일선;김혜영;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64-471
    • /
    • 2004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did instructional analysis, analysis of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to select instructional content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21, 2002 to October 26, 2002 to a total of 564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and used in our study was 479, which is 84.9% of the total questionnaires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analysi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related with ‘food and nutrition’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study result, lessons including th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were ‘nutrition and meal of adolescent’ in 7th grade, ‘family meal management’ in 9th grade and ‘practice of home life’ in 10th grad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alysis, ‘nutrition’ and ‘food’ were chosen for the superior subj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four subordinate subjects per superior one were developed. Then, entry behavi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life characteristics, internet usage, anthropometrics data and nutritional knowled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using computer and preferred passive activity to dynamic a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ternet usage, WBI for students should composed active parts such as game, moving image, immediate reply and follow-up bye-mail, bulletin board and com- munity activity. Students’ BMI were in normal range but they were lacked nutritional knowledge. We wrote performance objectives that were specific behavior skills to be learn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ust be performed and the criteria for successful performance. The next step for developing the WBI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ould b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융복합을 활용한 교양체육수업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만족 및 운동지속행동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njoyment Factor,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Behavior Through Convergence)

  • 김동환;신이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9-588
    • /
    • 2016
  • 본 연구는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속한 4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 자료로 사용이 가능한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요인추출 및 문항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중 주성분분석과 베리맥스 회전 방식을 선택하였다. 신뢰도 분석에는 크론바 알파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 요인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중 교수행동, 체육성적, 체육환경, 운동능력, 운동지속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의 수업만족 중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교수행동, 체육성적 요인이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Creative Instructional Behavior, Role-Performance,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육명신;박명신;박용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50-2464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학교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개선 의지의 예측과 이해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lementary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67-28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 방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신념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들 신념과 관련된 요인들이 수업 개선 의지에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예측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Fishbein과 Ajzen이 개발한 Theory of Planned Behavior 이론은 본 연구에서 교사들의 수업개선 의지, 신념, 태도, 주관적 규범 및 통제요인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데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81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기술적 통계 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관행의 변화는 우선적으로 수학을 학습자 중심으로 가르칠 때 예상되는 결과들의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판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 중심 수학 학습에 대한 교사 주변인들의 요구 또한 교사들의 수업 개선 의지에 약간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에 대한 통제요인 등은 수업 개선 의지를 예측하는데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in the Image of Science Class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전경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318-3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정서적 지원(분위기,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교사 민감도), 수업 조직(교수학습 형식, 행동 조절, 생산성), 학습 지원(피드백의 질, 언어 모델링, 개념 발달)의 3개 영역 총 9개 기준에 의해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당수 학생들이 교수학습 형식 또는 개념 발달에 해당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피하는 수업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형식 또는 학생 시각에 대한 관심 측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으나, 그 외 매우 낮은 빈도를 보인 상호작용 요소들도 있었다. 그리고 여자 예비교사들이 남자에 비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전문성에 대한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Emphasizing Reflective Thinking on Teaching Science of Elementary Teacher)

  • 김영순;김효남;신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092-110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력이 18년인 A교사와 4년인 B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장학은 수업장학 전기, 중기, 후기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서 VTR을 통해 자기 수업 검토하기, 면담하기, 동료협의하기, 저널쓰기와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9회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한 수업관찰 기록지와 9회의 면담을 기록한 면담 기록지, 교사가 작성한 7회의 저널 기록지, 연구자가 작성한 수업일지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 반성 수준 분석틀, 질문 분석틀, 피드백 분석틀, 교수 방법 분석틀, 교수 행동 요소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관련 사례를 제시하는 질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 기간 동안 교사의 반성 수준과 반성 내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면담 기록지와 저널 기록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 모두 기계적 반성을 가장 많이 하였다. 그러나 수업장학 중기 이후에는 기계적 반성이 감소하고 실천적 반성과 비판적 반성이 증가하였다. 반성 내용은 72개의 유형이 분석되었다. 그 중에서 10번 이상 반성한 내용은 수업 자료, 수업 시간, 수업 전개 방법, 수업 목표 달성, 학생 행동 특성, 학생의 흥미와 관심, 수업 방법 개선, 탐구 방법 개선에 관한 내용이었다. 특히, 학생의 흥미와 관심, 수업 방법 개선, 탐구 방법 개선은 수업장학 후기에 더욱 빈도수가 증가하였는데 그러한 결과는 교사의 실천적 반성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질문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교사 모두 확산적 질문의 빈도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교사 연수를 실시한 수업장학 후기에 확산적 사고 질문이 크게 증가하였다. 피드백의 변화는 수업장학 후기에 교사 모두 지연적 피드백이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추가적 질문이 증가하였다. 교수 방법은 관찰 실험 활동과 질문 대답 활동 위주의 수업을 진행했으며 다양한 교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수 행동 요소는 모두 29개가 분석되었는데, A교사는 27개, B교사는 28개의 교수 행동 요소를 사용하였다. 수업장학 후기에 새롭게 늘어난 교수 행동 요소를 살펴보면, A교사는 학생의 질의응답 활동이 추가되었고, B교사는 개념 정의 및 확인, 변인 확인 및 통제, 실험 시간 안내, 실험결과 예상, 학생 질의응답, 후속 학습 안내 활동이 늘어났다. A교사는 수업장학 이후에 일관성 있게 다양한 교수 행동 요소를 사용하였고, B교사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는 데 개방적이었으며 다양한 교수 행동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은 경력이 많은 교사와 적은 교사 모두에게 높은 수준의 반성과 바람직하고 다양한 교수 행동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교사의 자발적인 자기수업 관찰, 면담, 저널쓰기와 명시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협동적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 평가항목 개발 및 수업유형에 따른 평가사례 분석 (Development of Student Evaluation Items in Cooperative Web-based Learning and the Evaluation Cases Analysis according to Instruction Models)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59-68
    • /
    • 2004
  • 협동적 웹기반 학습이란 웹을 매개로 학생들이 동료 학생, 전문가, 교수, 지역사회 인사, 다른 기관의 연구원 등과 함께 학습을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점차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협동적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자들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결국, 공정한 평가를 통하여 협동적 웹기반 학습이 가상공간에서도 체계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협동적 웹기반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환경 및 수업 방식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실제 교실 수업에서는 협동학습 시 어떤 방식으로 학습자들을 평가하는지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협동적 웹기반 학습을 위한 학습자 평가 항목을 개발한다. 또한 팀 구성방식과 수업유형을 고려하였을 때 재안한 평가항목 중에서 참여도 측면, 협동성 측면과 개별책무성에 대해 학습자들의 평가사례를 분석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in Korea with E-learning-Bas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 Lee, Young Joo;Lee, Dongj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3호
    • /
    • pp.211-217
    • /
    • 2015
  • Background: E-learning-based program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related to migrant workers' background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affect the migrant workers' satisfaction with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s of 300 migrant workers who had participated in an OSH education program.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using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by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employees, or type of occupation, except for nationality. Among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learning content" (${\beta}=0.344$, p < 0.001) affecte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significantly, followed by "motivation to learn" (${\beta}=0.293$, p < 0.001),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beta}=0.149$, p < 0.01), and "previous experience related to e-learning" (${\beta}=0.095$, p < 0.05). "Learning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may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ir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if the accuracy, credibility, and novelty of learning content; strategies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are systematically applied dur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rograms.

환경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운식;윤성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378-39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obj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teaching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o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how to teach students who not only take knowledge/skill, but also change their behavior with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 In order to change students' behaviors for environment, Hungerford recommended that teachers have teaching strategies with recognition, evaluation, and adaptation. Also, McCarthy developed teaching model to engage immediate personal meaning, to raise intellectual awareness of a concept, to enhance skills that students can use in their lives, and to foster personal adaptations. Based on the Hungerford's teaching strategies, and Mccarthy's 4MAT system, a teaching model is developed to encourage thinking skill, problem-solving ability, interest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basic steps of the teaching model in this study are experience/recognition, knowledge/skill, evaluation, and adaptation/new experience and 8 sub-steps for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re developed to match of all students' learning style types in a classroom. This model will make it possible to raise the efficiency of instruction, and contribute to changing students who have responsibilities for their environmental behaviors. This model will be supplemented in schools, and applied to developing other instructional iss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