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ry instruc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4초

달의 위상 변화에 관한 교과서의 지식 통합 과정 및 학생 정신 모델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Integration in the Textbook and Students' Mental Model about the Phases of the Moon)

  • 성나해;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3-17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 변화 원인에 관한 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학습자의 정신 모델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교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교과서 9종과 25명의 학생들을 조사하여 현직 교사를 포함한 9인의 과학교육 전문가들이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활동은 현상을 관측하고 공간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탐구활동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달의 공전, 태양광선의 평행과 달의 반사면, 태양-지구-달의 위치관계, 지구에서 보는 달의 위상에 대한 개념이었다. 이 개념들은 모델 설정 및 조작, 시공간 관계의 사용, 추론, 의사소통 기능과 연결되어 있지만 과학자들의 실제 탐구에 필요한 중요 기능이 생략되어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정신 모델은 과학적 모델, 혼재형 모델, 대안적 모델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논의하였다. 지식 통합의 관점에서는 교수 설계 시 다양한 탐구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선개념과 새로운 개념의 연결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상의 결과는 개념 연결을 강화할 기회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빛의 직진 개념 지도를 위한 탐구 학습모듈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quiry Modules for Instruction for the Concept of Straight propagation of Light)

  • 김규환;김중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173-192
    • /
    • 2011
  • 이 연구는 빛의 직진에 관한 교사들의 개념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나타난 여러 대안개념들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학습모듈의 개발에 주목한 것으로서 올바른 빛의 직진 개념 형성을 위한 실험장치와 work sheet의 고안 및 활용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이루어졌다. 개발된 실험장치와 work sheet는 현직 교사들로 하여금 올바른 과학 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지 알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사 75명(초등 8명, 중등 67명)을 대상으로 적용수업이 이루어졌고 적용수업 전 후에 교사들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각각 이루어졌다. 결과의 분석은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무응답 등의 이유로 중등교사 5명을 제외한 70명의 교사들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실험장치를 이용한 적용수업 전, 대다수의 교사들이 가진 대안 개념으로 실험장치의 바닥판에 빛이 비쳐 밝게 보이는 모양 자체를 빛의 진행경로로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실험장치를 이용한 적용수업 이후 바닥판에 빛이 비친 모양을 빛의 진행경로로 생각하는 유형의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아울러 수업 전, 빛의 진행경로의 출발점을 잘못 그린 것과는 반대로 거의 모든 교사가 광원인 전구로부터 시작하여 빛의 진행경로를 그리는 올바른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 PDF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한 고등학교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행 변화 탐색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Shifted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심수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4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E 교사)가 약 1년 3개월간 교사공동체 탐구에 참여하며 어떻게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을 변화시켜나갔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상황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E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들로부터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탐색하였다. E 교사는 1년 3개월간 총 6회의 "스튜디오"라는 교사 연수에 참여해 같은 학교의 과학 교사들과 연구자들, 코치들과 협력하였다. 매 스튜디오에서 참여자들은 함께 모델링 기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그에 관해 반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 교사가 수업을 진행한 2회차, 6회차 스튜디오에 초점을 맞추어, E 교사의 교사공동체 및 교실 상호작용으로부터 드러난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그로부터 E 교사의 이해와 실행에 변화가 있었는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교사공동체 탐구가 E 교사의 이해와 실행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1-6회차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교사공동체 탐구가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2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는 과학적 모델링을 학생들이 활동지에 정답을 채워 넣는 활동으로 보고 있었다. 반면 6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가 드러낸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프레임들은 그녀가 모델링을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증거를 사용하여 자연현상에 관한 설명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E 교사가 속한 교사공동체는 모델링 기반 교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바탕으로, 매 스튜디오에서 학생들의 모델링을 돕고, 학생들의 설명과 추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들은 여러 스튜디오들에 걸쳐 탐구 초점들과 교수 실행들을 구체화시키고 발전시켜나갔다. 이러한 공동체 탐구의 초점들은 E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 변화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공동체 탐구나 교사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자, 실행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 분석 (Analysis on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곽소연;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3호
    • /
    • pp.329-3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을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신념을 비교하며, 현직 초등교사를 성별, 전공별, 학력별, 경력별로 분류하여 세분화된 구체적인 신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대체로 수학 본질을 '규칙과 절차'로 여기고 있고 수학 학습 신념에 대해 '탐구의 과정'을 중요시하고 있다. 성별에 따라 신념을 비교분석하였을 때, 수학 학습 신념 중 '교사 지시' 범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현직 초등교사들은 수학 본질을 '탐구의 과정'으로, 수학 학습에 대해서는 '학생 주도'적 신념을 지니고 있다. 성별, 전공별, 경력별로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을 분석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학력별 수학 신념을 비교하였을 때,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수학 신념을 비교하였을 때 수학 본질 중 '규칙과 절차', 수학 학습 중 '탐구의 과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탐구 지향 미분방정식 교수-학습의 효과 분석 (Effects of Inquiry-oriented Differential Equations Instruction Based on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 권오남;주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75-396
    • /
    • 2005
  • This paper reports on the main results of 3 study that compared students' beliefs, skills, and understandings in an innovative approach to differential equations to more conventional approaches. The innovative approach, referred to as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Based Differential Equations (IODE) project, capitalizes on advances within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and on advances within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both at the K-12 and tertiary levels. Given the integrated leveraging of developments both with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IODE project is paradigmatic of an approach to innovation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potentially sewing as a model for other undergraduate course reforms. The effect of the IODE projection maintaining desirable mathematical views and in developing students' skills and relational understandings as judged by the three assessment instruments was largely positive. These findings support our conjecture that, when coupled with careful attention to developments within mathematics itself, theoretical advances that initially grew out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can be profitably leveraged and adapted to the university setting. As such, our work in differential equations may serve as a model for others interested in exploring the prospects and possibilities of improving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in ways that connect with innovations at the K-12 level

  • PDF

변증록(辨證錄) 권지십사(卷之十四)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Byun Jeung Rok(辨證錄)" Vol.14)

  • 이현정;송지청;정현종;이종환;금경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7-293
    • /
    • 2011
  • "Byun Jeung Rok(辨證錄)" written by Jinsatak(陳士鐸) is composed of 14 volumes. In relation to the contents, it is organized into 126 gates(門) and 770 remaining syndromes(餘證) where internal medicine, external medicine, pediatrics, gynecology(內科 外科 小兒 婦人), etc. are divided into sub-sections of cold damage, cold stroke, wind stroke(傷寒 中寒 中風), etc. He explained the symptom, cause of disease, method of treatment, prescription, construction of prescription, instruction of medicine and prognosis(症狀 病因 治法 處方 處方構成 服用法 預後) thoroughly. This study, as an inquiry of the sec 14 volume pediatrics(小兒), deals with febrile fit cacotrophy vomiting diarrhea(驚疳吐瀉), coprozoic parasite(便蟲), smallpox(痘瘡), eruption(疹症), eating mud(喫泥), fetal toxin(胎毒). It was written very logically so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analysis of the symptoms are brief and appropria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clinical value for future generations and is applied by them. Finally, this topic was studied in hopes of helping later pediatrics clinical treatment.

  • PDF

과학 실험 수업 분석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alysis Instrument o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 양일호;정진우;허명;김영신;김진수;김민경;최현동;오창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04-51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nalysing elementary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s. The categories of this analysis instrument were instituted through literature overviews and interactions with three researchers in a science classroom analyst team, a doctoral student, and eight master leve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odification of the analysis instruments on the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s. The contents area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teractions, and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Each category contains $2\~3$ items. So the instrument consisted of 20 subcategories. The validity of the this instrument was achieved through checking with 4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 PDF

초등학교 $3{\sim}6$학년 과학 교과서의 질문 방략 분석 (Analysis of Questio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3rd{\sim}6th$ Science Textbooks)

  • 류재인;한광래;김효남;박국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09-11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estioning styles of $3rd{\sim}6th$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frequency, type, and placement of questions. This paper also sought to analyse and compare the kinds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elicited by the questions in the content domains of textbooks. The instrument used was the Textbook Questioning Strategies Assessment Instrument (TQSAI). The average number of questions per book was 129 and the ratio of questions to sentences was 31.9%.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many science textbook questions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explanation or identifying levels of teaming. Second, process skills were located in each content domain, although it was not affected meaningfully. Third, the number of text question was below 3 in each elementary science class. Therefore, an effective questioning development framework is clearly needed for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 PDF

학습주기를 활용한 음악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by Using Learning Cycle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 이옥주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
    • /
    • 2011
  •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developed firstly in consideration of the 4 steps of the learning cycle (recognition, exploration, inquiry, application). One group was then taught music appreci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ing cycle.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another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musical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usical ability sum of the treatment groups improved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More specifically, the treatment group for four-year-olds was seen to hav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musical 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music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has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conduct instruction with an appropriate accompanying learning cycle as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hen it comes to improving the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 유현주;정영옥;류순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203-241
    • /
    • 2000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of task development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develop performance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on the basis of this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e following inquiry questions were set up: (1) to develop open-ended tasks and projects for the fifth graders, (2) to develop checklists for measuring the abilities of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connection, communication of the fifth graders more deeply whe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and (3)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and to modify them when is needed through applying these tasks to pupils.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some tasks and analysing some work samples of pupils are as follows. Firstly, pupils need more diverse thinking ability. Secondly, pupils want in the ability of analys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in relation to real world. Thirdly, pupils can calculate precisely but they want in the ability of explaining their ideas and strategies. Fourthly, pupils can find patterns in sequences of numbers or figures but they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se patterns, predicting and demonstrating. Fifthly, pupils are familiar with procedural knowledge more than conceptual knowledge. From these analyses, it is concluded that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pupils, and that we should improve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upil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deeply, solve problems, reason mathematically, connect mathematics to real world and other disciplines, and communicate about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