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matter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e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 Boundary Lay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재성;김기현;김성수;정래홍;박종수;최우정;김귀영;이필용;이영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4호
    • /
    • pp.179-195
    • /
    • 2004
  •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운영 결과 중 생지화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1997∼2002, 6년간) 한국 남해 연안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비행열 다차원 척도법 분석결과로 남해연안은 3개의 영양 상태로 구분되었다.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며 용존성 무기질소와 인농도가 매우 높은 마산만은 과영양 상태였으며, 강한 점원 오염원이 있는 울산만, 온산만, 부산 연안, 진해만은 부영양 상태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그 외 여수, 통영 , 목포 주변 연안과 제주도 연안은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실측 용존무기질소와 Redfield 비로 보정된 이론적 용존무기질소의 차이인 과잉 질소의 6년간 평균은 오염된 하천이 유입되는 울산, 온산, 부산 연안에서 큰 양의 값을 보였고 행암, 광양, 여수 연안이 음의 값을 나타내어 기초생산자의 성장 제한 물질이 서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과잉 용존무기질소는 시계열 분석 결과 과-부영양화된 해역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나 중영양 해역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해역의 영양상태에 따라 질소 대 인의 비가 변화하고 있었다. 과-부영양화의 진행에 따른 저층 퇴적물의 유기물 오염은 질소와 인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교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더욱 정확한 연안 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저층 경계면의 연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액재배 토마토의 즙액검정을 위한 엽위 선정과 즙액 및 건물체의 무기원소 상관 관계 (Selection of Compound Leaf Position for Sap Test of Hydroponic Tomato and Relationship between Inorganic Elements of Sap and Dried Matter)

  • 김양록;강태우;송성준;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1-398
    • /
    • 2003
  • 즙액 분석법을 통한 토마토 식물체내에의 영양 상태를 신속히 진단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채취할 토마토 엽과 엽병의 최적 위치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위치별로 엽과 엽병을 채취하여 즙액 중 $NO_3$, $PO_4$, K, Ca, Mg, $SO_4$ 농도를 조사하였고, 즙액 분석치가 식물체 화학 분석치와 밀접한 상관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엽과 엽병의 위치별로 무기이온 함량은 차이를 보였으며 $NO_3$, Ca, Mg, $SO_4$ 농도는 식물체의 아래쪽에 위치한 엽 또는 엽병의 경우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엽 중 $NO_3$, Ca, $SO_4$ 그리고 엽병 중의 $NO_3$, Ca, Mg 농도는 상위 첫 화방에서 아래로 9번째 본엽에서의 증가율이 가장 컸으며, 엽장 및 엽폭의 크기도 9번째 본엽 이후에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본엽을 구성하고 있는 소엽 중의 무기 이온 함량은 위치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토마토의 즙액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식물체의 상위 첫 화방에서 아래로 9번째 본엽 중의 소엽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된다. 특히, 채취할 소엽의 위치는 각 소엽 간에 같은 농도를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으로 나타났다. 즙액분석과 건물체 화학 분석과의 년 생육기간 중 농도변화는 모든 다량원소에서 성장단계에 따라 이들의 농도가 변화되는 경향이 같게 나타났으며, 이들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즙액 분석치가 토마토의 무기 영양 상태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야생 및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 및 향기성분 (Growth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Wild and Domesticated Codonopsis lanceolata Grown at Two Different Regions)

  • 이승필;김상국;최부술;이상철;김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87-593
    • /
    • 1995
  •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생육특성, 품질 및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생지의 기상환경은 재배지에 비해 기온이 4∼8 낮고 지온도 3 낮았으며 조도량은 재배지의 1.7% 정도였다. 2. 자생지 토양의 환경조건은 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pH는 낮았으나 유기물함량은 3배 이상 높았다. 3.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염색체 수는 2n =16으로 같았고 자방수도 3개로 동일하였으나, 종자수는 재배더덕이 62개, 야생더덕이 132개로 야생더덕 이 2배 정도 많았다. 4. 야생더덕과 재배더덕의 생육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저조하였으나 야생더덕은 재배지에서도 재배더덕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졌다. 5.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방향성분의 extract수율은 야생더덕은 재배지보다 자생지에서 높았으나 재배더덕은 재배장소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extract수율도 50% 정도 낮았다. 6. 재배지에 따른 주요 무기성분함량은 자생지보다 재배지에서 많았으며 야생더덕보다 재배더덕에서 많았다 7. 더덕의 재배장소에 따른 주요 방향성분의 변화는 dimethylbenzene, 3-ethyl-5-2- ( ethylbutyl ) -octadecane, benzaldehyde, 14, 14-dimethyl -hexadecanoate, methylhexadecenoate등이 재배더덕에서는 없는 향기성분이 야생더덕에서 검출되었으며 더덕의 향을 내는 성분은 단일성분이 작용하기 보다는 peak면적이 높게 나타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향기를 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자원 시비처방이 양배추의 생육 및 양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ation Treatment using Organic Amendment based on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Cabbage)

  • 임진수;이방현;강승희;이태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5-105
    • /
    • 2020
  •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자원 시비처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양배추를 대상으로 처리별로 유기자원 시비량을 달리하여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유기자원 시비량은 유기자원의 질소, 인산, 칼륨 성분함량에 무기화율을 적용하였다. 화학비료구와 비교하여 처리 1, 2구의 초장은 차이가 없었지만 엽색도는 처리 1구에서 높았다. 구고, 구폭, 구중은 처리 1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높았고, 화학비료구는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양배추의 전질소, 전칼륨 함량은 화학비료구보다 처리 1, 2구에서 높았고, 전인산 함량은 처리 1구가 화학비료구보다 높았다. 건물중은 크기가 작은 무처리구에서 높았다. 질소의 양분이용효율은 20%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인산의 이용효율은 화학비료구보다 처리 1, 2구에서 높았고, 칼륨의 이용효율은 처리 1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높았다. 양배추 수확 후 토양의 양이온 칼륨의 함량은 유기자원을 시용한 처리 1, 2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낮아졌지만 유기물, 질산태질소 및 전기전도도는 화학비료구보다 높아졌다. 인산과 칼륨의 토양 고정력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높았고, 양분이용효율은 유기자원 및 광물질을 처리한 구에서 높아 인산과 칼륨의 공급원으로 유기자원 및 광물질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유기자원으로 시비한 처리 1, 2구에서 엽색도, 구고, 구폭, 구중 및 양분이용효율과 수확 후 토양 유기물, 질산태질소 및 전기전도도가 화학비료 대비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아졌다. 따라서 유기자원의 질소, 인산, 칼륨 성분함량에 무기화율을 적용하여 화학비료대비 질소는 180~200%, 인산은 100~130%, 칼륨은 185~250%를 사용한 처리 1과 처리 2는 양배추의 유기자원 시비 처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설재배 부추 잎끝마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특성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ies and Tip Burn of Chinese Chive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 서영진;최영섭;박준홍;권태영;최성용;김찬용;김종수;박소득;박만;전상호;장용선;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0-386
    • /
    • 2011
  • 시설재배 부추의 잎끝마름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포항지역 부추 재배지 토양 132 개소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적 방법으로 관련인자를 조사한 결과, pH는 7.0, 유기물함량 $41g\;kg^{-1}$로 적정 범위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점토함량이 많은 식질토양인 Alfisols에서 pH, 치환성 양이온, 전기전도도, 질산태 질소함량이 높았고 잎끝마름증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pH와 치환성 칼슘함량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pH가 높고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질산태질소와 토양유기물은 암모니아 가스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토양의 pH 변화에 따라 질산태질소의 암모니아태 질소로 환원 및 유기태질소의 무기화에 따른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추의 잎끝마름증은 토양 pH 변화에 따른 무기태질소의 환원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생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fferent inorganic: organic zinc ratios or combination of low crude protein diet and mixed feed additive in weaned piglet diets

  • Oh, Han Jin;Kim, Myung Hoo;Lee, Ji Hwan;Kim, Yong Ju;An, Jae Woo;Chang, Se Yeon;Go, Young Bin;Song, Dong Cheol;Cho, Hyun Ah;Jo, Min Seok;Kim, Dae Young;Kim, Min Ji;Cho, Sung Bo;Kim, Hyeun Bum;Cho, J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1호
    • /
    • pp.23-37
    • /
    • 2022
  • Thirty-six weaned piglet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8.43 ± 0.40 kg (28 days of age,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ssigned to 6 treatments for a 2-week feeding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inorganic zinc (IZ), organic zinc (OZ) or combination of low crude protein diet (LP) and Mixed feed additive (MFA) on diarrhea score, nutrient digestibility, zinc utilization, blood profiles, organ weight, and fecal microflora in weaned piglet diet. The pigs were individually placed in 45 × 55 × 45 cm stainless steel metabolism cages in an environmentally controlled room (30 ± 1℃).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negative control (NC), positive control (PC; zinc oxide, 1,000 mg/kg), T1 (IZ : OZ, 850 : 150), T2 (IZ : OZ 700 : 300), T3 (IZ : OZ, 500 : 500), and T4 (LP + MFA [0.1% Essential oils + 0.08% Protease + 0.02% Xylanase]). The daily feed allowance was adjusted to 2.7 times the maintenance requirement for digestible energy (2.7 × 110 kcal of DE/kg BW0.75). This allowance was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and the piglets were fed at 08 : 30 and 17 : 30 each day. Water was provided ad libitum through a drinking nipple. The diarrhea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NC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nitrogen (N), and gross energy (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in the T2 treatment compared with the PC and NC treatments in week 1. In week 2, the ATTD of DM, N, and 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in the NC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T3 treat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ATTD and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zinc than the PC and T1 treatments. The Escherichia coli count in fec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4 treatment compared with the NC and T2 treatments. The Lactobacillus count in fe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4 and T1 treatment compared with the T2 and T3 treatments. In conclusion, IZ : OZ 500 : 500 levels could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and zinc utilization in weaned piglets, Moreover, MFA in LP diets could be used as a zinc alternative.

Effects of Different Selenium Source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nd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Lee, S.H.;Park, B.Y.;Yeo, J.M.;Lee, Sung S.;Lee, J.H.;Ha, J.K.;Kim, W.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229-23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selenium (Se) source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blood measures (whole blood Se concentration and plasma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and Se concentrations in tissues of finishing Hanwoo steers (Korean native steers). Twenty finishing Hanwoo steers (average body weight=536${\pm}$23.4 kg, average age=approximately 20 months) were allotted to treatments in four groups of five steers per pen for 16 weeks preceding slaughter. Treatments were control (CON), spent mushroom composts from Se-enriched mushrooms (Se-SMC), selenized yeast (Se-Y), and sodium selenite (SS). Dietary Se levels of all treatments except CON were 0.9 mg Se/kg on the dry matter basis. Body weight was measured at the first and final day of trial,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whole blood Se concentration and plasma GSH-Px activity at 2, 4, 8, and 16 weeks. At the end of trial, steers were slaughtered to collect muscle and liver samples for their Se analyses, and carcass data were recorded. In terms of dry matter intake,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Whole blood S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Se-SMC and Se-Y treatments than for CON at each collection perio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S and CON. For weeks 2 and 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whole blood Se concentration between Se-SMC and Se-Y, but for weeks 4 and 16, Se-Y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Se-SMC.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plasma GSH-Px activity between Se-SMC and Se-Y. The Se concentrations in hind leg and liv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p<0.05) and those in both tissues ranked the greatest in Se-Y, followed by Se-SMC, SS, and CON treatments. However, tissue Se concentration for S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for CON. These results showed that feeding organic Se sources such as Se-SMC and Se-Y enhanced Se concentration in tissues, while SS, the most common supplement of inorganic Se, was inefficient in Se deposition. Even though Se-Y had a higher Se concentration in tissues than Se-SMC, replacing Se-Y with Se-SMC in diets of beef steers would be an inexpensive way to increase Se concentration in beef.

축산폐수(畜産廢水) 살수여상충전(撒水濾床充塡) 볏짚 시용이 토양화학성과 오처드그래스(Dactylis glomerata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影響) (Application of the Trickling Rice Straw Filter Medium for Livestock Wastewater Enhanced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Growth of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 김정제;양재의;신영오;신명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4-340
    • /
    • 1997
  • 중소규모(中小規模) 축산농가(畜産農家)에서 배출(排出)되는 돼지(돈(豚)) 분뇨폐수(糞尿廢水)를 효과적(效果的)으로 처리(處理)함과 동시(同時)에 재활용(再活用)할 수 있는 방법(方法)의 하나로 볏짚을 살수여상법(撒水濾床法)의 충전재(充塡材)로 이용(利用)하였다. 폐수처리(廢水處理) 후(後) 볏짚을 건조(乾燥) 분쇄(粉碎)하여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한 후 orchard grass를 재배(栽培)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볏짚 충전재(充塡材)를 시용(施用)했을 경우(境遇) 일반적(一般的)인 농가퇴비(農家堆肥)에 못지 않은 수량(收量) 향상(向上) 효과(效果)가 있었다. 기본시비(基本施肥)(NPK)에 처리(處理)한 짚 40 ton/ha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 시용 했을 때 가장 효과(效果)가 컸다. 2. Orchard grass 1차 예취(刈取) 후의 수량은 기본시비(基本施肥) 전량 시용구가 반량(半量) 시용구보다 많았다. 3. Orchard grass 1차, 2차 예취(刈取) 후(後) 볏짚충진제 처리구 토양(土壤)의 화학적 특성은, 공시토양에 비해 pH 의 증가와 함께 Av. $P_2O_5$, Ex. K, Ca, Na, Mg 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했는데 특(特)히 Exc. Mg 의 현저한 증가(增加)가 있었다. 4. 볏짚 충진제를 시용한 결과 Orchard grass에 의해 흡수된 질소, 인산, 양이온등의 영양소는 증가되었고, 증가량은 처리량에 비례했다.

  • PDF

High Loading for Air Pollution in the Byunsan Peninsula of Korea by an Interplay of the Saemangeum Project and Winter Monsoon

  • Ma, Chang-Jin;Kang, Gong-Unn;Kim, Ki-Hy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3호
    • /
    • pp.234-243
    • /
    • 2012
  • The wintertime high loading for atmospheric pollutants is certainly expected in the Byunsan Peninsula of Korea because of a great-scale reclamation project having construction of 33 km tidal sea dike impounding an area of over 40,000 ha and long-range transpor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origin of this wintertime burden for ambient particulate matter (hereafter called "PM") in the Byunsan Peninsula of Korea. The size-segregated (i.e., cutoff size from 0.01 ${\mu}m$ to 4.7 ${\mu}m$) PM sampling was conducted at a ground-based site of Byunsan Peninsula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height of dike constructing. Data archived in this study are the mass concentrations of ionic, elemental, and carbonic components in size-fractioned PM. The elemental mass of individual submicrometer particles was also analyzed. The sum of 5-source (i.e., elemental carbon, organic materials, inorganic secondary pollutants, crustal matter, and sea-salts) concentrations shows the bimodal distribution (major and minor peaks formed around $D_p$, 0.65 ${\mu}m$ and $D_p$, 4.7 ${\mu}m$, respectively) by border with 0.19 ${\mu}m$ of cutoff size. The concentrations of EC in $PM_{1.1-0.01}$ in winter and spring times were 4.62 ${\mu}g\;m^{-3}$ and 3.74 ${\mu}g\;m^{-3}$, respectively. Elemental masses of submicron individual particl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e., the major elements (Cl, Al, Si, S, and P) and the minor trace elements. Cluster analysis differentiated the elements in submicron individual particles into 4-cluster. Among them, three clusters are in agreement with the major (Al, Si, S, and P), minor (Fe, Ca, and K), and trace compositions of coal burning. Meanwhile, Cl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cluster has different source profile which was mainly due to the Saemangeum seawall project. Some highly toxic elements (e.g., Cr, Mn, and As (and/or Pb)) were also detected in some part of submicron individual PM. As a consequence, the combination of the Saemangeum project and winter monsoon played a considerable part in the double aggravation of wintertime air pollution in the Byunsan Peninsular.

틸라피아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온도와 비소의 복합적 영향 (Combined effects of temperature and arsenic on hematological parameter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정지원;김용석;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6
    • /
    • 2012
  • 본 연구는 어류의 온도변화 (20, 25 및 $30^{\circ}C$)에 따른 생리적 변동에 미치는 비소 (200 및 400 ppb)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를 대상으로 이들의 혈액학적 변동을 검토하였다. 틸라피아의 적혈구 수는 온도 $30^{\circ}C$의 200 ppb 이상, Ht는 온도 $25^{\circ}C$$30^{\circ}C$의 400 ppb, Hb 농도는 온도 $30^{\circ}C$의 200 ppb 이상에서 유의한 증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농도는 수온 $30^{\circ}C$의 400 ppb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Mg농도는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총 단백질농도는 온도 25 및 $30^{\circ}C$의 비소농도 400 ppb, glucose농도는 온도 $25^{\circ}C$의 200 ppb 비소농도, 온도 25 및 $30^{\circ}C$의 400 ppb 비소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GOT활성은 온도 25 및 $30^{\circ}C$의 200 ppb 이상의 비소농도, GPT활성은 온도 20, 25 및 $30^{\circ}C$의 200 ppb 이상의 비소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및 논의에서 틸라피아의 혈액성상, 혈청의 무기, 유기농도 및 효소활성은 비소농도 200ppb 이상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 영향은 온도가 높을수록 영향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