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equilibrium stat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케이블 지지교량의 내진해석 (Seismic Analysis of Cable-Supported Bridges)

  • 서영국;정운용;조준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40
    • /
    • 1999
  • A general procedure is presented here to develope seismic design and analysis method for cable-supported bridges like suspension bridges subjected to ground motion. For representing a numerical model of suspension bridges. a new approach which satisfy design conditions for the initial equilibrium state of suspension bridges. without any nonlinear iterations. is proposed. The dynamic behavior of that model is verified by free vibration analysis. This study uses the response spectrum analysis to determine the Peak response of a suspension bridge to earthquake-induced ground motion. The SRSS(Square Root of Sum of Square). modal combination rule, is adopted for each direction, longitudinal and transverse. To illustr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for the seismic design of suspension bridges, a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in which the dynamic response of the Nam-hae suspension bridge subjected to earthquake

  • PDF

초미세 결정립 Cu-3%Ag 합금의 기계적 물성과 전기 전도도 (Mechanical and electrical responses of submicrocrystalline Cu-3%Ag alloy)

  • 고영건;이철원;남궁승;신동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9
  • The paper deals with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responses of submicrocrystalline Cu-3%Ag alloy as a function of strain imposed by equal-channel angular pressing. When inducing the effective strain of 12, the initial grain site of ${\sim}50{\mu}m$ is evidently reduced within the range of $0.2-0.3{\mu}m$ in size, having a reasonably equiaxed shape. The results of tension tests at room temperature exhibit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resent alloy increases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strain whereas losing electrical conductivity slightly.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ased on fine grain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non-equilibrium state of grain boundaries.

  • PDF

Postbuckling strength of an axially compressed elastic circular cylinder with all symmetry broken

  • Fujii, Fumio;Noguchi, Hirohis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1권2호
    • /
    • pp.199-210
    • /
    • 2001
  • Axially compressed circular cylinders repeat symmetry-breaking bifurcation in the postbuckling region. There exist stable equilibria with all symmetry broken in the buckled configuration, and the minimum postbuckling strength is attained at the deep bottom of closely spaced equilibrium branches. The load level corresponding to such postbuckling stable solutions is usually much lower than the initial buckling load and may serve as a strength limit in shell stability design. The primary concern in the present paper is to compute these possible postbuckling stable solutions at the deep bottom of the postbuckling region. Two computational approaches are used for this purpose. One i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procedures in computational bifurcation theory. Path-tracing, pinpointing bifurcation points and (local) branch-switching are all applied to follow carefully the postbuckling branches with the decreasing load in order to attain the target at the bottom of the postbuckling region. The buckled shell configuration loses its symmetry stepwise after each (local) branch-switching procedure. The other is to introduce the idea of path jumping (namely, generalized global branch-switching) with static imperfection. The static response of the cylinder under two-parameter loading is computed to enable a direct access to postbuckling equilibria from the prebuckling state. In the numerical example of an elastic perfect circular cylinder, stable postbuckling solutions are computed in these two approaches. It is demonstrated that a direct path jump from the undeformed state to postbuckling stable equilibria is possible for an appropriate choice of static perturbations.

고추의 범용(汎用) 건조모형(乾燥模型)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a General Drying Model of Red Pepper)

  • 조용진;고학균;박재복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1호
    • /
    • pp.60-82
    • /
    • 1991
  •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drying cost and quality of the end product. Recently, many studies on red pepper drying have been performed. Nevertheless, an optimum drying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yet.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is much affected by drying factors such as variety and initial state of red pepper as well as by environmental drying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drying air. Various varieties of red pepper are being cultivated and the initial state of red pepper at harvest is very ambiguous. For this reason, it is very costly and time-consuming to establish an optimum drying condition of red pepper by experiment. A general drying model to descirbe a drying process has not been developed due to diversity of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This study was, therefore, performed to develop a general drying model describing a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basic model was established to develop an appropriate mositure content model and temperature model describing a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and the basic model was validated with experimental data. 2. The bone dry weight of fruit and mositure content were accepted satisfactorily as parameter to define the arbitrary red pepper. 3.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red pepper was foun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ety of red pepper,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lso, the EMC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parameter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bone dry weight of fruit. 4. A general drying model for red pepper was developed, parameters of which wer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drying factors related with drying phenomena. The developed drying model was found out to describe well the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 PDF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추출에 의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유분의 품질향상 (Quality Improvement of Pyrolysis Oil Fraction of Waste Plastic by Dimethylformamide Extraction)

  • 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155-159
    • /
    • 2019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WPPO) 유분의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WPPO 유분 중에 함유된 파라핀 성분의 회수를 디메틸포름 아마이드(DMF) 평형추출에 의해 검토했다. 원료로서는 WPPO를 단증류하여 회수한 유출온도 $120{\sim}350^{\circ}C$의 유분을, 용매로서는 DMF 수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초기 용매 중의 물의 질량분율($y_{w,0}$)이 증가할수록 추잔유 중의 파라핀 성분($C_{12}$, $C_{14}$, $C_{16}$, $C_{18}$)의 농도는 감소했으나, 초기 용매/원료의 질량비$(S/F)_0$의 증가는 역으로 추잔유 중의 파라핀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S/F)_0=10$에서 회수된 추잔유 중의 $C_{12}$, $C_{14}$, $C_{16}$, $C_{18}$ 파라핀 성분의 농도는 원료의 농도에 비해 약 1.37, 2.00, 2.46, 3.13배 각각 높았다. 또한 $y_{w,0}$의 증가와 $(S/F)_0$의 감소는 파라핀 성분의 회수율(추잔유 중의 잔류율)을 급격히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회수한 추잔유는 신재생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용매 추출에 의한 조제 메틸나프탈렌유에 함유된 함질소화합물의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II)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ed in Crude Methylnaphthalene Oil by Solvent Extraction (II))

  • 강호철;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33권5호
    • /
    • pp.477-481
    • /
    • 2022
  • 조제 메틸나프탈렌유(CMNO)의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포름아미드 추출에 의한 CMNO에 함유된 함 질소화합물(NC)의 저감을 실험적으로 검토했다. 원료로서는 3종류의 NC [퀴놀린(QU), 이소퀴놀린(IQU), 인돌(IN)], 3종류의 2환 방향족화합물[BAC; 나프탈렌(NA), 1-메틸나프탈렌(1MNA), 2-메틸나프탈렌(2MNA)]과 비페닐(BP) 등이 함유된 CMNO를, 용매로서는 포름아미드 수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초기 용매에 함유된 물의 체적분율(yw,0)의 증가는 3종류의 NC의 분배계수와 수율을 급격히 감소시켰으나, 역으로 2MNA을 기준한 NC의 선택도를 증가시켰다. 일정한 조건[yw,0 = 0.1, 초기 원료(CMNO)에 대한 용매의 체적분율 = 1, 조작온도 = 303 K, 액-액 접촉시간 = 72 h]하의 회분 병류 5단 평형추출을 통해 회수된 추잔유 중의 QU, IQU와 IN의 조성은 CMNO에 비해 각각 약 51.5%, 55.2%와 71.8% 저감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우수한 NC의 저감율로부터 본 연구의 포름아미드 추출법은 CMNO에 함유된 NC의 저감법으로 기대되었다.

축소차수 관측기를 이용한 시소시스템의 Pl형 상태피드백 제어 (A PI-type State Feedback Control of Seesaw System Using Reduced-order Observer)

  • 류기탁;이윤형;유희한;정병건;김종수;소명옥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53-85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시소 시스템에 Pl형의 상태 피드백 제어기와 축소차수 관측기를 결합한 제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소 시스템의 안정화 문제를 다루었다. LQ 이론에 근간을 두는 Pl형의 상태 피드백 제어기는 계단상의 외란이나 잡음에 대해 양호한 성능을 가지도록 오차에 대한 새로운 상태변수를 고려한 제어기이다. 축소차수 관측기는 상태변수의 계측이 어려운 경우나 경제적인 이유로 센서의 부착이 어려운 경우에 종종 사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시소 시스템의 각도와 대차의 위치로부터 시소의 각속도와 대차의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러 초기조건과 외란이 인가되는 환경 하에서 실시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목적으로 하는 시소 시스템의 안정화가 가능함을 보인다.

실트질 점토의 심강(沈降)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 (Laboratory Study on the Settling Properties of Silty Mud)

  • 김차겸;이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85-93
    • /
    • 1991
  • 실트질 접토의 심강(沈降) 특성(特性)에 미치는 초기농도(初期濃度)($C_o$) 및 저면전단응력(底面剪斷應力)(${\tau}_b$)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황해안 영광해역에서 채취한 실트질 점토를 사용하여 순환식 개수로에서 퇴적실험(堆積實驗)을 하였다. 상대농도(相對濃度) $C/C_o$(C=수심 평균한 농도) 및 상대평형농도(相對平衡濃度) $C_{eq}/C_o$($C_{eq}$=평형상태에서 수심 평균한 농도)는 저면전단응력(底面剪斷應力)에 강하게 좌우되며, 초기농도(初期濃度)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이들 값은 저면전단응력(底面剪斷應力)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황해안 영광해역 퇴적물(堆積物)의 퇴적한계저면전단응력(堆積限界底面剪斷應力)의 최소치는 ${\tau}_{bmin}{\simeq}0.017N/m^2$, 퇴적한계저면전단응력(堆積限界底面剪斷應力)의 최대치는 ${\tau}_{bmax}{\simeq}1.25N/m^2$이며, 이들 값은 퇴적물(堆積物)의 구성성분에 강하게 좌우된다. ${\tau}_b{\geq}{\tau}_{bmin}$ 범위에서 상대농도(相對濃度)($C_{eq}/C_o$)와 겉보기 중앙심강속도(中央沈降速度)($W_{s50}{^{\prime}}$)에 대한 식을 유도하였다. 겉보기 중앙심강속도(中央沈降速度)는 초기농도(初期濃度)보다 저면전단응력(底面剪斷應力)에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받고, 저면전단응력(底面剪斷應力)이 증가할수록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옹벽의 변위에 따른 정지토압에서 수동토압까지의 변화 (Passive Earth Pressure Transition Behind Retaining Walls)

  • 김홍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2호
    • /
    • pp.55-70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정지토탄상태에서 수동토추상태 까지의 토압의 변화를 옹벽의 변위량에 따라 나타 내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이론은 2차원평형조건식과 Mohr-Coulomb의 파괴규준을 변 궐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관계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또한 옹벽의 변위량에 따른 흙의 내부마찰자(f)과 벽마찰각(5)의 변화를 옹벽상단에서 부터의 깊이의 함수로 나타내는 수학적 model이 개발되었다. 결과치를 수치해석적으로 구하기 위해 유한차분법이 이용되었고 또하 얻어 진 결과치를 실험치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옹벽 설계와 관련된 벽마찰카의 변화가 토압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아울러 고찰되었다.

  • PDF

이산시간 전압모드 CMOS 혼돈 발생회로의 특성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Discrete Time Voltage Mode CMOS Chaos Generative Circuit)

  • 송한정;곽계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7권3호
    • /
    • pp.55-62
    • /
    • 2000
  • 0.8㎛ single poly CMOS 집적회로로 구현된 이산시간 전압모드 혼돈 발생회로의 동작특성을 분석하였다. 회로내 비선형 함수 블록에 대한 선형근사식을 유도하여, 실험적으로 제작한 혼돈 발생회로의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혼돈상태 판별의 주요 지표인, 입력변수에 따른 분기도를 구하였고 초기값 의존성을 보여 주는 리아프노프 지수도 계산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태조건, 즉 평형상태, 주기상태, 혼돈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시간파형 및 상태천이관계 그리고 주파수특성을 보여주는 전력스펙트럼도 구하여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한편 집적화 된 혼돈 발생회로를 ±2.5V 전원, 10㎑의 클럭으로 구동시켜 입력전압에 따른 분기도를 측정하였고, 상태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시간파형의 측정과 이의 전력스펙트럼 분석도 실시하여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