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on activities

검색결과 3,22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Kojic acid, Arbutin and Vitamin C on cell viabil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BL6 cells

  • Park, Yumi;Lee, Jongsung;Park, Junho;Park, Deokhoo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1-167
    • /
    • 2003
  • Melanin biosynthesis is a human defense mechanism to protect skin from UV irradiation and also determines colors of hair and skin. However, as a interest on skin-whitening increases, researches to prevent pigmentation and hypersynthesis of melanin in skin are being actively in progress. Active components used as a whitening agent in cosmeceuticals are kojic acid, arbutin, vitamin C and hydroquinone. However, until now, because comparison researches among them in the aspect of both melanin formation and cellular toxicity have not been performed, we can't exactly estimate merits and defects of them as a whitening agent. To this end, we performed experiments to compare their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melanin formation. As a first step,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assay was done. While kojic acid and hydroquinone showed strong inhibition activities(their IC$\_$50/s are all < 100uM), arbutin and vitamin C showed weak activities. IC$\_$50/s of arbutin and vitamin C are 100uM and 400∼500uM, respectively. In B16BL6 melanoma cells, like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assay, arbutin and kojic acid showed more strong inhibition effect on melanin synthesis than vitamin C. And unlike arbutin, vitamin C and kojic acid induced cell death at high concentration. Although arbutin showed no cytotoxicity, it has side effect to induce morphological change at high concentr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both kojic acid and arbutin have stronger ability to inhibit melanogenesis than vitamin C. And they also have side effect, that is, kojic acid induces cell death like vitamin C and arbutin changes cell morphology respectively.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만가닥버섯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Lyophyllum ulmarium)

  • 김현구;최윤정;정승원;김공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0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MAE)을 이용하여 만가닥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Microwave power를 60∼120 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만가닥버섯의 전자공여능이 90 W에서 평형에 이른 반면에 tyrosinase 저해능은 90 W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50% 에탄을 추출물과 99% 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microwave power를 증가시킴에 따라 확연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 1.2에서 99% 에탄을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약 5배 정도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시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전자공 여능은 5∼10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10분에서 평형에 이르렀으며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능은 microwave power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팽이버섯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김현구;최윤정;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13-1017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를 $60{\sim}120\;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90 W에서 평형에 이르러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증가에 따라 뚜렷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능은 추출시간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각각 추출시간 10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용매별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와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H에 의존적인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미강과 솔잎, 강황 분말을 첨가한 현미에 배양한 장수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omitella fraxinea on Brown Rice added Rice Bran, Pine Needle and Tumeric Powder)

  • 박효숙;전태욱;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5-110
    • /
    • 2011
  • 본 연구는 현미에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을 첨가한 장수버섯 배양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AC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보다 열수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더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솔잎첨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소거활성은 거의 50%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이용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미강, 솔잎 그리고 강황 첨가에 의한 저해율은 장수버섯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72.49%, 87.34% 및 82.75%를 보였다. ACE 저해효과는 모든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낮은 효과가 있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미강, 솔잎, 강황에서 유사하게 높았다. 특히 미강 그리고 강황이 첨가 되었을 때 활성이 plasmin보다 약 10% 증가 되었다. 따라서 동물 실험과 같은 추가 연구가 진행 후, 천연소재로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 최우석;권희석;임혜원;노라환;이현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3-189
    • /
    • 2013
  • 유산균은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능 및 미백, 보습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5, 26]. Lactic acid인 Lactobacillus rhamnosus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인 Lactobacillus casei보다 낮게 측정되는 세포독성 결과와 높은 tyrosinase 억제활성을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을 줄임에 따라 미백활성을 가진다. 또한 Lactobacillus rhamnosus 파쇄물은 melanoma cell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Lactobacillus casei보다 월등히 높아, 높은 미백 향장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Table 2). 이는 곧 천연물질로써 기존에 사용하던 합성미백제보다 피부에 독성을 주지 않고, 부작용 없이 피부에 적합한 향장소재로 판단되며, 현대의 새로운 미백향장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항산화 활성은 멜라닌 세포 형성 억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주름 및 노화 등의 출발점이 되어, 미백 활성도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향장소재로써 가치가 높은 Lactobacillus rhamnosus는 합성물질 및 기타 천연물을 대체할 수 있는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향장소재로 다가갈 수 있으며, 향장소재로써 선택의 폭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eok Hasuo (Polygonum multiflorum Thunb.) and Baek Hasuo (Cynanchi wilfordii Radix) root extracts)

  • 최현경;장유이;오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32-437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각 하수오의 열수, 에탄올, 부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후, 항산화능에 대해서는 총 페놀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및 생육저해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부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1,212.6 및 1,454.5 mg/g GAE로 다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89.0%), 부탄올 추출물(88.9%)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IC 측정 결과, 적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만이 0.8 mg/mL로 S. aureus와 P. acne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디스크 확산법 측정 결과, 모든 유기용매 추출물이 5 mg/disc 농도부터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저해환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의 조사균주에 대한 생육저해완의 직경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8.9 및 9.2 mm를 나타내, 추출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하수오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과 관련된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여줌으로써, 하수오 추출물이 피부 건강을 위한 천연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헛개나무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tracts)

  • 김세현;전동하;장민정;이진태;이창언;한진규;김진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36-842
    • /
    • 2010
  • 본 연구는 기능성 식 약용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헛개나무의 화장품원료로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헛개나무 과병과 뿌리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법,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측정시 열매, 뿌리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색소합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과병에탄올추출물(HDFE) 500 mg/L에서 32.0%의 억제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뿌리에탄올추출물(HDRE)은 21.8%의 억제능을 보였다. 더 높은 농도인 1,000 mg/L에서는 과병열수추출물(HDFW), HDFE 순으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주름개선효과에 관한 활성은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astase에서 과병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두 효소를 모두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는 collagenase의 활성이 더 크게 저해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헛개나무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미백 및 주름개선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에서 분리한 Brazilin의 항산화 활성과 구강상피암 KB 세포주의 증식억제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n Oral Carcinoma KB Cell of the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 전미애;권현정;김용현;한국일;정하나;정성균;방인석;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65-372
    • /
    • 2010
  • 본 연구는 brazilin의 항산화 효과 및 구강암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활성산소 소거능력을 측정하고, KB cell에 brazilin을 처리하여 세포 성장억제 등을 측정하였다. 시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zilin은 소목의 다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최저 농도에서도 9%의 전자공여능 소거효과를 보이고 최고농도에서 90%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리놀레산 자동 산화 방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26%에서 66%까지 억제하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 측정 결과 1 mg/ml에서 86%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고, 0.001 mg/ml에서도 5%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2. Brazilin은 KB cell의 성장을 1시간 처리했을 경우 최저 5%에서 최대 23%까지 억제하였으며, 24시간 처리했을 경우 5%에서 최대 64%까지 억제하였고, 48시간 처리 후에는 최소 3%, 최대 79%까지 억제하였다. 3. KB cell에 LPS 처리 시 NO를 $250\;{\mu}M$ 이상 생성시켰으며, 세포증식률을 231% 증가시켰고, LPS를 처리한 KB cell에 brazilin을 처리한 결과 세포의 증식률을 -7%에서 78%까지 감소시켰다. 또한 KB cell에 $H_2O_2$를 처리한 결과 세포증식률이 감소되었으며, brazilin을 첨가하였을 때 $H_2O_2$에 대한 소거작용으로 인해 생존 억제율이 72%에서 58%로 감소하였다.

더위지기 생육 중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during Growth of Artemisia iwayomogi)

  • 황태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6-292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growth at several different growing peri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zeatin and ABA contents of Artemisia iwayomogi. Measurements of antioxidant activities,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one using PMS, NBT and lipid auto-oxidation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activities of antioxidants from Artemisia iwayomogi had much higher than BH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rtemisia leaf extract was increased from $71.06{\pm}4.36%$ in April to $90.06{\pm}4.41%$ in October. Activities of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were $33.83{\pm}3.45%$ and $45.60{\pm}3.10$ in April and then increased to $84.40{\pm}4.00%$ and $75.86{\pm}3.50%$ in October, respectively. An ELIS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zeatin and ABA in Artemisia leaves. By this method, the content changes of zeatin and ABA from Artemisia during the growth were investigated. The zeatin content in leaf was measured to be $186.86{\pm}1.40$ pmol/g dry weight in April, however, decreased to $117.93{\pm}5.83$ pmol in October. The ABA content in leaf increased from $19.00{\pm}1.26$ nmol in April to $68.20{\pm}2.52$ nmol in October.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plant hormone contents was indicated that antioxidant activity may depend on decreasing zeatin content or increasing ABA content.

구강세균에 대한 구름버섯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against oral bacteria)

  • 김별이;임근옥;한소라;김기화;오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22
    • /
    • 2017
  • Objectives: Coriolus versicolor is an edible mushroom with physiological activities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Coriolus versicolor against oral pathogens. Method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were examined by disc diffusion assa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se extracts were also was determined by broth dilution metho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xtracts was measured at 600 nm for 12 hrs against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and Actinomyces israelii. Results: Coriolus versicolor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ll nine oral pathogens through disc diffusion assay. The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differ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acetone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ctinomyces viscosus, Actinomyces israelii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0.05). These extracts exhibited MIC ranges of 2.63 to >10.50 mg/ml against the tested bacteria. The ethanol extract from Coriolus versicolor showed lower MIC values of 2.63 to 5.25 mg/ml. According to the obtained growth curve, the extracts of Coriolus versicolor were more effective against Actinomyces viscosus. Conclusions: The acetone, eth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sobrinu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ctinomyces viscosus, and Actinomyces israeli.i Therefore, they could be considered as natural oral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oral 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