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designer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19초

Past and Present Viable Pavilions Remain in Architecture: Envisioning New Directions for a Better Future Research on pavilions within the history of world fairs, from the mid-19th to the 21st Century

  • Shim, Sodahm Suzanne;Lee, Yoonhie;Yoon, Chaesh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79-90
    • /
    • 2019
  • The ephemeral and temporal nature of pavilions is the underlying motivation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is paper. From the beginning of the industrial era through contemporary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instances of architects attempting to rethink architectural design in the context of modern social, cultural, and technical imperatives. Today, the leading changes in humanity are accompanied by a revolutionary electronic digital medium. The pavilion has been in an amalgamation of architectural integration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World's Fairs/Expos have, since their establishment, served as international presentations of goods and achievements of particular nations. They became a popular stage wherein potential architectural achievements were showcased through the evocative architecture of pavilions. Due to the pavilion's "temporary nature," its coverage includes various perspectives: social, historical, geographical, post-colonial, iconographical, temporal, and ephemeral. It has also served as a receptacle due to its representational value at a given time. The pavilion has offered architectural designers, clients, and visitors a place to use their imaginations. Moreover, the architect's role in creating pavilions cannot be overestimated. Due to fact that they abound in symbolism, contemporary designs, and innovative solutions, pavilions often mirror modern mankind and plan for the next aesthetic revolutions and ideological architectural theorie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chitects' original intentions with their pavilions, this paper focuses on noteworthy pavilions that were created from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present. It explores and discusses the pavilion's characteristic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its physical form as generated by a specific theme.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코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rregular-Shaped High-rise Buildings)

  • 장인선;임자은;박상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1호
    • /
    • pp.13-24
    • /
    • 2019
  • The history of tall buildings begins in 1853with the development of elevator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high-rise buildings will be carried out in earnest as a means to efficiently use the limited land of cities. The development, which began around Chicago, extend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Asia, maximizing the high competition. However, in the 2000s, not only was it high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and digital technology, but it also became competitive in eco-friendly elements and unstructured forms. High-rise building plans that have gained elemental and morphological diversity are completed by the interrelationships of various plans. Among them, it is important that the core plan has a reasonable approach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as the basis for the vertical copper plan linking vertically-intensive functions. The cores should be designed to be clear and adequately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shape of the build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designers with a reasonable understanding of core planning by identifying core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high-rise. In particular, we want to analyze the shape of the ground layer co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and components of the ground layer cor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r use of the building. Of the atypical forms composed of double bending, the TAPER-Curve and TWIST forms are the most distributed, and the plane and core shapes of the ground floor are the most commonly u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validity of the ground floor cores by shape of the cores, the most commonly used forms for core shapes in the planning of the atypical high-rise are square, circular and Oval, and the most efficient oval cores and relatively inefficient ones when planned.

스캠퍼 기법에 따른 여성복 디자인 경향 - 2010 S/S~2020 S/S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 (The trend of women's wear design by the SCAMPER method - Focused on the 2010 S/S~2020 S/S fashion collection -)

  • 이경림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1호
    • /
    • pp.28-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assist students and industrial designers in fashion by examining the trend of designing women's wear with the SCAMPER method. In the research, the seven types of SCAMPER methods for fashion design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rom 2010 S/S to 2020 S/S, data from 5,149 photographs were collected through overlapping checks and classified by SCAMPER method typ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for frequency analysis. As a result, in the SCAMPER "combine" method, more than two items were combined, or structural details were combined with items. In the most applied "adapt" method was involved imitating similar images, or natural forms, or other objects. The "modify" method was applied by changing the shape of some details in basic fashion items. The "magnify" method was applied by enlarging, elongating, or elevating some details of fashion items. The "minify" method was applied by minimizing, shortening, or lowering some details of basic fashion. The method of "put to other use" was expressed throughout the clothing by using non-fabric or trimmings such as metal, beads, and strings. The "rearrange" method was applied by repositioning the top and bottom, front and back, or outside and inside in fashion items and in details. The "reverse" method was applied by reversing the style of fashion, mix-and-match fabric, or switching the gender of the fashion items.

헤어 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을 응용한 헤어 컬러디자인 작품연구: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ir Color Design Works using the Gradient Technique among Hair Color Design Techniques: Focusing on Women)

  • 이승주;박기원
    • 산업과 과학
    • /
    • 제2권3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이너의 헤어컬러디자인 제작물을 일관되게 제작할 수 있는 헤어 컬러 작업 계획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은 2022년부터 2023년 9월 15일까지 대중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사진 10개를 선정하여, Adobe Photoshop CS6의 Eyedropper Tool로 컬러 칩과 RGB 값을 추출하여 컬러 칩의 RGB 값을 Munsell Conversion(version 12.1.13a)의 HV/C 값으로 데이터화하였다.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색 스케일에 데이터를 표기하여 여자 대중 스타들의 그라데이션 헤어컬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서 여성 대중 스타의 배색 스케일은 부드러움보다 딱딱함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동적임 보다는 정적임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어 컬러에 따른 배색 이미지로는 고상한, 점잖은, 우아한, 은은한 과 같은 형용사로 추출되었다. 이를 적용한 주제로 3점의 헤어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지기 첸(Ziggy Chen) 남성복 디자인에 나타난 신-중국풍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in Ziggy Chen's men's fashion design)

  • 이호;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4호
    • /
    • pp.547-563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in the collection of Chinese fashion designer Ziggy Chen, analyze the inner meaning, and suggest a new direction in Chinese fashion design. As a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New-Chinese style occurrence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fashion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were summarized as cultural tradition, historical ethnicity, and pluralistic convergence. Based on these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hinese style expression in Ziggy Chen's men's fashion design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ion range was selected as the range of 20 seasons collected from 2012 S/S to 2022 A/W, which was collected on fashion sites and the brand's official Insta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cultural resistance is a retro and ragged decadence formed by combining punk elements and industrial styles based on the clothing styles of lower-class Chinese people in the 17th and 90s. Second, cultural traditionality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by mainland Chinese designers, who expressed the conservative presence of tradition and the Chinese style by looking at it from an oriental perspective. Third, historical ethnicity forms a Chinese fashion culture in which the national spirit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exist, while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social values develop in harmony. Fourth, traditional fashion develops by combining a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and lifestyle with pluralistic convergence.

백색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감성적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f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White for Designing White Based Products)

  • 나누리;석현정;이재인
    • 감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97-3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미묘한 차이가 있는 다양한 흰색의 감성을 평가하여 백색가전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제품의 감성과 적합한 흰색을 제시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연구는 3가지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문헌조사와 워크샵을 통해 수집한 60가지 감성 어휘 중, 설문을 통해 (N=30) 제품색을 평가하기 적합한 2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다른 색들과 비교했을 때 흰색의 상대적인 감성적 특성을 알기 위해 I.R.I Hue & Tone 120 system으로부터 선정한 13가지 기본색을 대상으로 실험 1에서 추출한 20개의 감성 어휘에 대해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N=30). 이를 요인 분석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4개의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추출되었으며, 또한 13색의 감성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흰색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서 얻은 4가지 감성 요인을 이용하여 미묘한 차이를 가진 25가지 흰색에 대한 감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색채 자극물은 CIE 1976 $L^*a^*b^*$로 측정되었으며, 각각의 L, a, b값이 흰색의 감성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우리는 3가지 주요 결과를 얻었다 : 첫째, 제품색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감성 요인 - 화려한, 우아한, 맑은, 부드러운 - 이 존재한다. 둘째, 흰색은 다른 색보다 우아한 감성이 압도적으로 강하게 표현된다. 셋째, 색의 감성적 특성은 색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 중 일부분의 조합에 영향을 받는다. 추가적으로, 실험 3의 회귀분석을 통해 공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공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흰색의 감성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헤어미용사 전문성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Objective research to develop evaluation scale of professionalism For hair designer)

  • 이기봉;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76-8790
    • /
    • 2015
  • 본 연구는 Lee(2015)의 질적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전문가 집단이 아닌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여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실증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예비조사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오분류 및 이상치를 나타낸 12개의 문항을 삭제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설정한 요인구조와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75문항)를 나타냈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요인들을 단계별로 투입한 4단계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요인이 추가되면서 점차 모형적합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종적으로 연구자가 설정한 헤어미용사 전문성 구인화 모형에 부합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본 평가척도는 자기평정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자기반성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급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인 전문성 측정이 가능하여 합리적인 직급체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 설계·감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Fire Protection Designing and Supervising Jobs)

  • 차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45-8752
    • /
    • 2015
  • 본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고가 일어나 많은 국민이 건강, 재산 상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러한 사고 중에는 사람이 항상 상주하는 건물에서 일어나는 화재에 의해 일어나는 피해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소방 설계 감리 산업의 비중이 타 공종에 비해 많이 경시되고 있어 부적절한 설계와 더불어 부실 시공에 대한 감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 완공 이후 화재 시에 소방설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소방시설업에 재직 중인 소방기술자 190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소방분야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설계업에서는 기술자 등록 및 인력배치기준개선, 영업범위개선, 건축허가 동의요구, 시설계구비서류 개선, 소방시설 설계자의 업무책임과 권한범위를 개선하여야 하고 감리업에서는 등록기준개선, 영업범위개선, 감리 종류, 방법, 대상 및 기준개선, 보조감리원 추가 배치기준개선, 업무내용 및 범위개선, PQ제도와 공영감리제 도입 검토, 부실 감리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을 하여 이러한 소방 설계 감리의 확고한 입지와 기반을 마련하여 타 공종과도 동등한 위치로써 국민의 재산과 안전을 추구하고자 함이다.

QFD와 FMEA를 이용한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Assessment Using QFD & FMEA)

  • 박창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8-87
    • /
    • 2017
  • 최근 제품이나 시스템의 품질은 고객만족을 의미하기에 점점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품질의 한 특성으로 인식되는 성능은 주어진 기능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객만족에 가장 접근하는 특성이다. 그러나 선박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다루는 공학자에게 있어서 안전성은 사고 시에 발생하는 파괴나 인명피해 등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구조물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성능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품질기능전개(QFD)를 이용하여 성능을 분석하고 파괴모드(Failure Mode) 및 영향 분석(FMEA)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분석함으로써 고객의 요구사항에 기반을 둔 품질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살물선(Bulk Carrier)의 화물창구(Hatchway)에 적용하여 화물창구 시스템의 품질향상을 위한 성능과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부재를 파악하였고, 성능과 안전성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파악된 중요 부재 및 부품들 중에는 공통적으로 파악된 것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성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부재 및 부품들이므로 설계자는 설계 시 이러한 부재나 부품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개선함으로써 제품 및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BIM기반의 건축설계경기 평가 및 절차에 관한 연구 -국내외 BIM기반 건축설계경기 사례를 기반으로- (A Study for BIM based Evaluation and Process for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Cas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M-based Competition)

  • 박승화;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3-30
    • /
    • 2017
  • 건설산업 분야에서 빌딩정보모델링(BIM)은 단지 설계를 보다 쉽게 지원하고, 3차원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철거에 이르는 건설 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조화된 모델을 가지고 다양한 분석 및 해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BIM의 역할은 점점 더 증대되어 가고 있다. 노르웨이 베스트바넨의 국립예술박물관 현상설계 경기를 시작으로 국내외적으로 BIM을 설계 경기 및 평가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다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기존 방식의 설계경기와는 다르게 BIM기반으로 전사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동적이며,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 BIM 도구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링 가이드가 필요하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의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논문은 건설산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BIM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설계평가 및 절차의 방향에 대해, 전력거래소 본사사옥 등의 이전 설계경기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설명함으로써 향후 발주될 BIM기반 건축설계경기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