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reased surface area crystalliz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표면적이 증가된 반코마이신 결정화 공정에서 이온성 액체의 영향 (Effect of Ionic Liquid on Increased Surface Area Crystallization Process for Vancomycin)

  • 김성재;김진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7-3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겔을 이용한 반응액 부피당 표면적(surface area per volume of reaction solution)이 증가된 반코마이신 결정화 공정에서 이온성 액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리카겔로 표면적을 증가시킨 경우에 이온성 액체([BMIm][$BF_4$])를 접목하면 결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실리카겔을 이용한 표면적이 증가된 결정화에서 이온성 액체(20%, v/v)를 첨가한 경우 결정화 4시간에 반코마이신 결정이 생성되었으며 실리카겔과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결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6배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온성 액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코마이신 결정 입자크기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결정이 균일하고 일정해짐을 알 수 있었다.

실리카겔을 이용한 반코마이신 결정화 시간 단축 (The Reduction of Crystal Formation Time of Vancomycin Using Silica Gel)

  • 김성재;김진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2-2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반응액 부피당 표면적(surface area per volume of reaction solution)이 증가된 반코마이신 결정화 공정에서 표면적 증가물질인 실리카겔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면적 증가물질로 실리카겔을 사용한 경우, 반코마이신 결정화 시간 단축 측면에서 표면적 증가물질인 실리카겔의 기공지름은 $40-60{\AA}$, 입자크기 230-400 mesh 범위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리카겔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반코마이신의 결정 크기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카겔을 표면적 증가물질로 사용함으로써 표면적 증가물질이 없을 때 보다 결정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4배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된 결정화 방법은 반코마이신 정제 효율 향상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석탈인공정의 정석재로써 폐굴껍질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ycling of Waste Oyster Shells as Seed Crystals in Phosphorous Crystallization Process)

  • 김은호;성낙창;장성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33-138
    • /
    • 1997
  • The technology of removing phosphorou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ol nutrients causing eutrophication in various water bodies, have been investigated by many researchers. Recently, phosphorous crystallization process is emerging as a new technology for phosphorous removal. In this study, waste oyster shells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ocean, were used as a seed crystal, and their effects of several physical/chemical factors on the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ies were examined by batch tests. Ca$^{2+}$ and pH affected phosphorous crystallization process using waste oyster shells. As alkalinity of wastewater increased,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ies gradually decreased.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ies were increased, as specific area and contact efficiency per unit area of waste oyster shells were increased. In case of high temperature, phosphorous crystallization process was rapidly advanced and phosphorous removal efficiencies were increased. Dependig on X-ray diffraction analysis, it was showed that generation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surface of waste oyster shells with short reaction time were dominated by $CaHPO_4\cdot 2H_2O$, but progressed to $Ca_5(OH)(PO_4)_3$. The SEM observation reveals that the evident variations were hardly seen, but particle sizes of waste oyster shells were relatively bigger and showed forms of smaller plate than before.

  • PDF

$TiO_2$를 함유한 규산염 유리의 상분리를 이용한 다공질 유리의 제조 (Preparation of Porous Glasses by the Phase-separation of the Silicate Glass Containing $TiO_2$)

  • 김병훈;최석진;박태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36
    • /
    • 1991
  • Microporous glasses in the system TiO2-SiO2-Al2O3-B2O3-CaO-Na2O were prepared by the phase-separation technique.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pore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glasses heated and leached out at various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by SEM and Porosimeter. Crystallization of glasses heated above transition temperature was also inspected by X-ray diffraction method.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the pore size and volume increased, but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The phase-separation,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size showed more sensitive change on the variation of heating temperature than of heating time.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of porous glasses prepared in this study were about 120-330$m^2$/g and 0.001-0.01cc/g, respectively. Mean pore size of porous glasses were about 20-90$\AA$. Anatase phases was deposited when the parent glass was heat-treated at 75$0^{\circ}C$ for 6hrs.

  • PDF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한 폐액으로부터 니켈 페라이트 나노 분말 제조 (Manufacture of Nano-Sized Ni-ferrite Powder from Waste Solution by Spray Pyrolysis Process)

  • 유재근;서상기;강성구;김좌연;박시현;김용수;최재하;손진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4호
    • /
    • pp.20-2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도우마스크 제조공정 중 발생되는 Fe-Ni 계 폐산용액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산용액을 자체 제작한 분무열분해 system을 이용하여 분무열분해시킴에 의해 평균입도 100nm 이하의 니켈 페라이트($NiFe_2$$O_4$)나노 분발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온도, 용액의 농도 및 용액 유입속도의 반응인자들의 변화에 따른 생성된 분발의 특성변화를 파악하였다. 반응온도가 800∼$1100^{\circ}C$ 로 증가함에 따라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해 생성된 분말의 평균입도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점점 치밀한 조직을 나타내었으며 비표면적은 크게 감소하였다.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 니첼 페라이트 상의 생성비율 및 결정성이 증가하였다. 원료용액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분말의 평균입도는 점점 증가하고 비표면적은 감소하는 반면 입도분포는 더욱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용액의 농도 증가에 따라 니켈 폐라이트 상의 생성비율 및 결정성은 현저히 증가하고 있었다. 용액의 유입속도 증가에 따라 분말들의 평균입도는 현저히 증가하고 비표면적은 감소하는 반면 입도분포는 불규칙하게 되며 조직의 치밀성도 감소하였다. 용액의 유입속도 감소에 따라 니켈 폐라이트 상의 결정성 및 생성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었다.

제산제 알루미나수화물의 콜로이드성과 제산능 (Collodial Properties and Acid Consuming Capacity of Hydrous Aluminum Oxide Suspension)

  • 이계주;이기명
    • 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7-282
    • /
    • 1991
  • Rheological, colloidal and micromeritical properties were followed to investigate aging mechanisms of hydrous aluminum oxide suspension using Zeta-meter systems, BET adsorption apparatus, Master sizer and electronmicroscope. The results indicate that hydrous aluminum oxide suspension revealed plastic flow with thixotropy. The viscosity, thixotropy and yield valu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During aging process, the viscosity and thixotropic index were increased by an addition of glycerin, however, sorbitol stabilized aging process of the suspension being accompanied with growth of particle size and reduction in specific surface area, pore area and pore volume, and consistency. Diminution of adsorptive power of the particles was also protected by addition of sorbitol to hydrous aluminum oxide suspension. From these results, one of aging mechanism of hydrous aluminum oxide suspension assumed growth and/or crystallization of colloidal particles in aqueous suspension.

  • PDF

Sol-Gel법에 의한 Al2O3-ZrO2계 분말제조에 있어서 결정화 및 Seeding 효과 (Effects of Crystallization and Seeding on Characteristics of Al2O3-ZrO2 Powder Prepared by a Sol-Gel Method)

  • 오한석;홍기곤;이홍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9
    • /
    • 1988
  • $\alpha$-Al2O3-15m/o ZrO2 powder was prepared by a sol-gel method from boehmite and zirconium acetate.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of boehmite to $\alpha$-Al2O3 in the system Al2O3-ZrO2 was increased due to the coupled crystal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from boehmite to $\alpha$-Al2O3-15m/o ZrO2 could be prepared at 110$0^{\circ}C$ for 100mi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roduct of $\alpha$-Al2O3-15m/o ZrO2 was 13.2$m^2$/g.

  • PDF

열처리 시간에 따른 메조기공 타이타니아의 비표면적 향상 연구: 가스센싱 특성 변화 (Study on the Enhanced Specific Surface Area of Mesoporous Titania by Annealing Time Control: Gas Sensing Property)

  • 홍민희;박창순;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26
    • /
    • 2015
  • 낮은 열전도도 및 높은 비표면적 특성으로 흡착제 및 가스센서 등 여러 응용 분야로 연구되고 있는 규칙적 메조기공 세라믹 소재는 폐기공 메조기공 구조와 개기공 메조기공 구조로 나뉜다. 이중 폐기공 메조기공 세라믹 소재는 개기공 메조기공 세라믹 소재보다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가짐에도 내부에 존재하는 기공을 이용한 비표면적 증가에 한계가 있어 응용에 제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팀은 규칙적 폐기공 메조기공 타이타니아($TiO_2$)의 열처리 시간 변화에 따른 입자성장으로부터 폐기공 연결의 도입을 통하여 비표면적을 변화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열처리 시간 증가시 타이타니아 결정상의 변화는 없었으며 입자성장이 일어나게 되면서 기공구조의 무너짐 및 기공의 연결성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24시간 열처리 시료의 경우, 기공률은 36.3%에 34.1%로 감소하였으나 기공의 연결도 증가로 인해 비표면적은 $48m^2/g$에서 $156m^2/g$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비표면적의 증가는 CO 가스의 감응도 측정을 통하여 감응도가 약 7.4배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었다.

나일론 66 나노섬유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1) -균염성 산성염료- (Study on Dyeing Properties of Nylon 66 Nano Fiber (1) -Levelling Type Acid Dyes-)

  • 이권선;이범수;박영환;김성동;김용민;오명준;정성훈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
    • /
    • 2004
  • In recent, development of nano fiber has been one of the most active subjects in the world. Nano fiber is defined as a ultra fine yarn with a diameter unit of $10-100\times10^{-9}meter$, which is possible to be produced by an electro-spinning technology. In this stud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yeing properties of nylon 66 nano fiber were investigated. Nylon 66 nano fiber was dyed with levelling type acid dyes. X-ray diffraction method and DSC analysis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Analysis of amino end groups was also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amino groups and its dyeing property as well as water absorption behavior. The maximum exhaustion % of dyes and dyeing rate under various dyeing conditions, such as dyeing temperature and pH in dye bath, along with build-up properties for 2 acid dyes were evaluate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nano fiber was smaller than that of regular fiber, and amino end groups of nano fiber were less than regular fiber. Half dyeing time of nano fiber was shorter than regular fiber because of the bigger specific surface area. Effect of pH on exhaustion % was small in case of nano fiber. Exhaustion of nano fiber increased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dye.

Struvite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 Seed 물질, Seed 입자크기, $G{\cdot}t_d$ Value의 영향 (Effect of Struvite Crystallization Kinetics; Seed Material, Seed Particle Size, $G{\cdot}t_d$ Value)

  • 김진형;김금용;박형순;김대근;이상철;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7-2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eed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struvite 결정핵의 생성 및 성장단계를 단축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eed 물질의 성상(모래, 안트라사이트, struvite)별, 입자의 크기(44$\sim$63 $\mu$m, 63$\sim$88 $\mu$m, 88$\sim$114 $\mu$m)별, 교반조건($G{\cdot}t_d$)에 따라 결정핵의 생성속도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모래와 안트라사이트는 seeding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암모니아성 질소제거효율이 각각 9%, 11%로 향상되었으며, struvite로 seed한 경우는 암모니아성 질소제거효율은 20% 이상 향상되었다. Seeding에 따른 struvite 결정화 효율은 seed 입자의 비표면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Seed 물질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struvite 핵생성 및 성장을 향상시켰다. 또한 struvite 결정화 반응시 동질의 seed 물질(struvite seeds)을 사용하여 2차 핵생성을 유도하면 struivte 결정의 핵생성 및 성장을 위한 $G{\cdot}t_d$값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입자크기에 대해서는 seed 입자크기에 대한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Struvite 결정핵 생성속도론에서 $G{\cdot}t_d$값은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