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방정숙;선우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335-353
    • /
    • 2014
  • 본 논문은 1992년도부터 2013년까지 대한수학교육학회에서 발간한 두 학술지에 실린 논문 중 수학 교사교육 관련 논문 111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측면에서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시기 측면에서는 2000년대 후반 이후로 관련 논문의 편수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전체 논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교사 지식이나 지향과 관련된 논문도 비중있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 중 특히 사례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초등교사와 중등교사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한다.

  • PDF

무리지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A study on the in-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irrational exponent)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3-6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K 광역시 관내에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무리지수에 대한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의 정답률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들은 논리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직관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셋째, 현직교사들의 판단의 근거는 밑의 형태보다는 지수의 형태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 PDF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문제제기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예비수학교사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제기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문제제기 수업 경험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제기 이론에 대한 교육, 문제제기 활동 체험, 문제제기 수업 지도안 작성 및 수업 수행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 면담, 수업 일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문제제기 수업은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 및 문제제기 전략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제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제기 수업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과 문제제기 수업 수행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이해 및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함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from the Van Hiele Theory Perspective

  • Afonso, M. Candelaria;Camacho, Matias;Socas, Martin 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349-377
    • /
    • 2009
  • In this work we present a study undertaken with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where we describe and analyze the didactical competences needed to implement an innovative design in geometry applying Van Hiele's models.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competences and an ideal teacher profile is also studied. Teachers' epistemology is established in terms of didactical competences and we can see that this epistemology is an element that helps us underst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face in practice when implementing an innovative curriculum, in this case, geometry based on the Van Hiele theory.

  • PDF

실제 수업 및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lass and learning community)

  • 정혜윤;서유민;한주호;서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79-30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 및 수업 전후 진행된 학습공동체 회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징의 변화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초등 예비교사와 연구진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분석 자료로 초등 예비교사의 실제 수업과 학습공동체 사전, 사후회의 과정 전체에 대한 녹화 및 녹음 자료와 이들에 대한 전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일지와 사후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학생의 학습지 등이 수집되었으며, 분석 방법으로 해석적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의 특징이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의 각 요소에서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학습공동체가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주의 기울이기 대상이 과제 결과물에서 학생의 통계적 사고로 변화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해석하기가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근거의 다양성과 구체성이 갖추어진 상태로 변화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의 반응 결정하기가 생산적이지 못한 반응 결정하기에서 생산적인 반응 결정하기로 변화하였다.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서의 사회적 측면 (Social aspects of computer based mathematics learning)

  • 류희찬;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63-278
    • /
    • 1999
  • Computer with various powerful functions has profound potential for mathematics instruction and learning. As computer technology progress, its applicability to mathematics education become more comprehensive. Not only its functional development but various psychological positions also changed the way computer technology utilized in mathematics education. In behaviorist's perspective, computer viewed as a teaching machine and constructivist viewed computer as microworld where students could explore various mathematical contents. Both theoretical positions emphasized individual aspect of learning because behaviorist tried to individualize learning using computer and constructivist focused on the process of individual construction. But learning is not only a individual event but also a social event. Therefore we must take social aspect into account.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computer based learning. So far, mathematics loaming with computer weighed individual aspect of loaming. Even in microworld environment, learning should be mediated by teacher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In this aspect, the roles of teacher and peers are very importa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heds light on the computer based learning. In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idea of scaffold is very important in learning and students gradually internalize the social dimension and scaffolding is gradually faded. And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eacher and more competent peers guide students to formulate their own understanding. In sum, we must take following points into account. First of all, computer should not be viewed as a medium for individualized teaming. That is, interaction with computer should be catalyst for collaborative activities with peers. So, exploration in computer environment has to be followed by small group activities including small group discussion. Secondly, regardless of the role that computer would play, teacher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computer based learning. This does not mean teacher should direct every steps in learning process. Teacher's intervention should help student construct actively. Thirdly, it is needed to conceptualize computer in learning situation as medium. This would affect learning situation and result in the chan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mputer to be used effectively in mathematics classroom, researches on assessment of computer based learning are needed.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uperivs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8
    • /
    • 2008
  •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수업장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의 수업기술 향상과 이로 인한 수업의 효과 증대에 필요한 수업장학의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사범대학에서 수학 수업장학을 받고 교육실습을 다녀온 7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4명의 예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하여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에 관한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및 개별 면담을 분석한 결과와 수업장학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수업장학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조사 결과, 사범대학의 예비 수학교사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발표수업과 수업장학은 예비 수학교사가 수업 기술을 발전시키고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실질적인 하나의 방법이었다. 한편, 효과적인 수업장학을 위하여 교육실습 기간의 수업장학은 현장과 대학의 협동장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 Lee, Joong-Kwo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23-31
    • /
    • 2000
  • This research elaborated five componen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1)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2)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 Pedagogical reasoning, 4) System of training, and 5)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For the effect teaching, mathematics teacher program should be reformed. The key to improvement should be concerntrated on developing knowledge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translating it into algorithms those teachses can learn and incorporate in their planning prior to teaching. A theory of instruction should specify the most effective sequences in which to present the materials to be learned.

  • PDF

MQI를 이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성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397-41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with observations using the instrument, MQI(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Class recording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 pre-service teachers and 4 in-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corded and analyzed 3 or 4 classes for each mathematics teacher by using revised MQI. There were a total of 8 raters: 2 or 3 raters analyzed each class. MQI has four dimensions: Richness of the Mathematics,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 Errors and Imprecision,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In the dimension of 'Richness of Mathematics', all teachers had good scores of 'explanations of teacher' but had lower scores of 'linking and connections', 'multiple procedures or solution methods' and 'developing mathematical generalizations.' In the dimension of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s',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ve worked and having more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than others. In the dimension of 'Errors and Imprecision', all teachers had high scores. In the dimens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two pre-service teachers had contrast and also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dn't worked not long had contrast. Implications were deducted from finding to improving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