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effect

검색결과 6,043건 처리시간 0.043초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ilting Day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Grass Silage)

  • 김종근;정의수;서성;함준상;김맹중;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4
    • /
    • 2006
  • 본 시험은 예건기간이 목초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연구소에서 2년간 수행되었다. 사일리지 조제전 목초를 수확하여 비예건, 반나절 예건 및 1일 예건 등 3처리를 두고 각각 3롤의 라운드베일 사일리지를 조제하였다. 일반성분중 조섬유 함량은 예건으로 증가되었으나 나머지 성분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섬유소 함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는 1일 예건구가 비예건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건물함량은 예건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23.7%에서 40.0%로 높아졌으며 pH도 증가되었다. 사일리지의 유기산 함량은 예건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사일리지의 품질 점수 및 등급이 약간 개선되었다. 건물 손실에 있어서는 예건으로 약 $4{\sim}10%$ 줄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고품질의 목초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조제를 위해서는 1일정도 예건하는 것이 권장되었다.

Licochalcone E의 항염증 효과와 그 기전에 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cochalcone E, a Constituent of Licoric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s)

  • 박근묵;전종갑;김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56-663
    • /
    • 2011
  • Licochalcone은 감초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감초로부터 licochalcone E가 분리, 동정 되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licochalcone E의 합성을 위해 다양한 합성법이 개발되고 있다. 반면, licochalcone E의 생리활성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licochclcone E의 항염증 활성과 그 기전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생쥐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licochalcone E를 처리한 한 결과, licochalconeE는 LPS 처리에 의한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NO와 $PGE_2$ 생합성효소인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licochalcone E의 항염증 활성의 기전을 밝히기 위해 염증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의 활성을 관찰한 결과, licochalcone E의 처리가 NF-${\kappa}$B의 DNA결합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licochalcone E가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의 매개물질인 NO, $PGE_2$,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 항염증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Herbal extract THI improves metabolic abnormality in mice fed a high-fat diet

  • Han, So-Ra;Oh, Ki-Sook;Yoon, Yoo-Sik;Park, Jeong-Su;Park, Yun-Sun;Han, Jeong-Hye;Jeong, Ae-Lee;Lee, Sun-Yi;Park, Mi-Young;Choi, Yeon-A;Lim, Jong-Seok;Yang, 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198-204
    • /
    • 2011
  • Target herbal ingredient (THI) is an extract made from two herbs, Scutellariae Radix and Platycodi Radix. It has been developed as a treatment for metabolic diseases such as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hypertension. One component of these two herbs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hyperlipidem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about the effects of the mixed extract of these two herbs on metabolic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abolic effects of THI using a diet-induced obesity (DIO) mouse model. High-fat diet (HFD)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with 250 mg/kg of THI. After 10 weeks of treatment, the THI-administered HFD mice showed reduction of body weights and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weights as well as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addition,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in the serum was markedly reduc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metabolic effects of THI in vitro,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THI, after which the mRNA level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EBP{\alpha}$ and $PPAR{\gamma}$,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ression of these two transcription factors was down regulated by THI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examined the combinatorial effects of THI and swimming exercise on metabolic status. THI administration simultaneously accompanied by swimming exercise had a synergistic effect on serum cholesterol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 could be developed as a supplement for improving metabolic status.

식물병원균에 대한 몇가지 저급지방산의 항균특성 (Antifungal Properties of Some Short Chain Fatty Ac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박종성;갑원계개;서촌정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86
  •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5종의 저급지방산인 isobutyric(C-4), butyric(C-4), isovaleric(C-5), valeric (C-5), caproic(C-6) acids등이 그들 사이에 항균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시한 25종의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생장에 대하여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지방산의 항균력은 포자발아검정이나 균사신장검정에 있어서 공시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자발아검정에 공시한 17종의 병원균과 균사신장검정에 공시한 16종의 병원균은 그들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제각기 완전히 저해하는 각각의 지방산의 최저저해농도(MIC)에 따라 3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도 이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1) Caproic acid는 공시균의 균사신장보다 포자발아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였으나 약간의 예외는 있었지만 그 밖의 지방산은 이와같은 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2) 지방산의 사슬이 길수록 항균력도 강하다. 3) n-Butyric acid와 n-Valeric acid는 그들의 이성체보다 항균력이 강하다. 4) 각각의 지방산은 부생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에 대한 것보다 활물기생균이나 몇가지 조건적 기생균의 그것들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 PDF

전이금속 갈륨(Ga(NO3)3)을 이용한 biofilm을 형성하는 어류질병세균의 억제 (Inhibitory Effect of Transition Metal Gallium [Ga(NO3)3] on Biofilm Formation by Fish Pathogens)

  • 김동휘;수브라마니안 다라니드다란;장영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5-539
    • /
    • 2016
  • 제주도 넙치 양식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어류질병세균인 S. parauberis, S. iniae, E. tarda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자 갈륨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세균을 억제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Sp, Si, Et의 생육도와 biofilm 형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세균의 성장도와 biofilm 형성능간의 특정한 패턴은 없었으며 세균의 성장도가 높다 하더라도 biofilm을 활발히 형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어류질병세균이 형성하는 biofilm을 저해하기 위해 갈륨을 2.0, 4.0, 8.0 mg/ml로 첨가하여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72시간째 biofilm의 형성이 크게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iofilm을 저해하는 동시에 균주의 사멸능을 확인하기 위해 resazurin assay와 propidium iodide를 이용하여 염색한 결과 갈륨의 농도에 따라 균주의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in vitro 상에서 갈륨이 어류질병세균의 biofilm을 억제하는 동시에 균주를 사멸시키는 물질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Yield and Quality in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Dates)

  • 김수곤;김종덕;권찬호;하종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04
    • /
    • 2006
  • 본 연구는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4월 20일과 4월 30일의 수확시기를, 세구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으로 하였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함량은 각각 17.8%로 만기수확시의 20.0% 보다 낮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건물,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DF, NDF, ADL 및 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낮았으나, hemi-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의 섬유소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조단백질, IVDDM 및 TDN 수량은 각각 7,839, 1,468, 6,077 및 5,128kg/ha로 만기 수확시의 11,003, 1,813, 8.032 및 6,857kg/ha 보다 낮았으며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시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사초용 호밀의 수확시기를 고려할 때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조생호밀품종에 만기수확을 조합하는 사초생산기술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Peptide YY의 혈관 평활근 수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ptide YY on Vascular Smooth Muscle Contractility)

  • 이광윤;김원준;하정희;권오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3
    • /
    • 1990
  • 가토의 적출동맥평활근 절편에 대한 peptide YY(PYY)의 수축작용을 관찰하고, PYY의 수축기전상 동원되는 칼슘의 기원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동맥의 나선형 절편은 PYY의 실험조내 첨가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인 수축반응을 보였다. 그중 대퇴동맥이 가장 강력하고 예민한 수축경향을 보였으며, 그 다음은 대뇌의 기저동맥, 총장골동맥, 상장간막동맥, 신동맥, 총경동맥의 순으로 예민하였다. PYY에 대한 반응성을 Norepinephrine(NE)에 대한 반응성과 비교해볼때, 총경동맥과 신동맥은 PYY보다 NE에 대해서 유의하게 $(p{\leqslant}0.05)$예민하였고, 기저동맥은 NE보다 PYY에 더 예민하였다$(p{\leqslant}0.05)$. 대퇴동맥 절편에서 칼슘통로봉쇄제인 verapamil과 세포내 저장칼슘유리를 억제하는 3,4,5-Trimethoxybenzoic acid 8-(diethylamino)octyl ester ${\ulcorner}TMB-8{\lrcorner}$는 각각 PYY에 의한 수축을 억제하였는데 $(p{\leqslant}0.05)$, verapamil과 TMB-8이 동시에 존재할 때는 PYY에 의한 수축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고, ethyleneglycol-bis-(beta-aminoethyl ether), N,N,N‘,N’-tetraacetic acid${\ulcorner}EGTA{\lrcorner}$0.5mM를 첨가한 칼슘배제용액 내에서도 PYY에 의한 수축은 거의 완전히 억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혈중 PYY가 증가했을 때는 교감신경계흥분시보다 강한 뇌혈관의 수축이 일어날 수 있으며, 뇌동맥압은 교감신경계 흥분시보다 더 높을 수가 있으리라 추정된다. 또 PYY에 의한 혈관 평활근 수축에는 세포외액의 칼슘과 세포내저장칼슘의 이용이 공히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THE ENERGY VALUE OF RICE STRAW FOR RUMINANTS AS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ANHYDROUS AMMONIA OR MIXING WITH ALFALFA

  • Han, I.K.;Ha, J.K.;Garrett, W.N.;Hinman,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15-121
    • /
    • 1989
  • A comparative slaughter feeding experiment with steer calves weighing 280 kg and a concurrent digestion trial with wether lambs was conducted to study the energy value of rice straw as influenced by ammonia treatment and mixing with alfalfa hay. Steers were ad libitum fed one of nine completely mixed experimental diets: basal (high concentrate); 25 or 50% of untreated rice straw (URS) or ammoniated (plastic covered bales, 4.6% $NH_3$ by weight) rice straw (ARS) proportionately replacing part of the basal; a 50:50 % mixture of URS or ARS and alfalfa replacing a proportion of the basal at 25 and 50%. Digestibility of the nine complete diets (pelleted to prevent sorting) was determined with four ad libitum fed lambs. Ammoniation increased crude protein level (from 3.6 to 10.8%)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the rice straw by 15%. The improvement in DE, NEm and NEg by ammoniation of rice straw was 20, 52 and 117%, respectively. Ammoniation of rice straw fed as 50% of the diet improved gains over the diet containing 50% URS,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nimal performance was observed when rice straw was fed at the 25% level. Each 10% addition of URS to basal diet decreased empty body gain of steers by 116 gram per day compared with a decrease of 70 gram per day when rice straw had been ammoniated. There was no beneficial effect of ammoniation when the roughage component of the diet was a 50:50 mixture of rice straw and alfalfa. Ammoniation of straw and inclusion of alfalfa general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in rumen fluid. Ammoniation resulted in reduced concentrations of acetic and propionic acid, but increased concentration of butyric acid. Digestibility of URS was improved by mixing with alfalfa. However, alfalfa hay did not influence digestibility of ARS. Diets in which ARS replaced the basal mixture at 25 and 50% had higher NEm and NEg values than comparable URS diets.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the straw: alfalfa mixtures, but differences between URS and ARS were significant only for the 50% roughage diets.

Construction of fat1 Gene Expression Vector and Its Catalysis Efficiency in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 Liu, Boyang;Yang, Runjun;Li, Junya;Zhang, Lupei;Liu, Jing;Lu, Chunyan;Lian, Chuanjiang;Li, Zezhong;Zhang, Yong-Hong;Zhang, Liying;Zhao, Zhihu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21-628
    • /
    • 2012
  • The FAT-1 protein is an n-3 fatty acid desaturase, which can recognize a range of 18- and 20-carbon n-6 substrates and transform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into n-3 PUFAs while n-3 PUFAs have beneficial effect on human health. Fat1 gene is the coding sequence from Caenorhabditis elegans which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on lipometabolism. To reveal the function of fat1 gene in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and gain the best cell nuclear donor for transgenic bovines, the codon of fat1 sequence was optimized based on the codon usage frequency preference of bovine muscle protein, and directionally cloned into the eukaryotic expression vector pEF-GFP. After identifying by restrictive enzyme digests with AatII/XbaI and sequencing, the fusion plasmid pEF-GFP-fat1 was identified successfully. The pEF-GFP-fat1 vector was transfected into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mediated by Lipofectamine2000$^{TM}$. The positive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were selected by G418 and detected by RT-PCR. The results showed that a 1,234 bp transcription was amplified by reverse transcription PCR and the positive transgenic fat1 cell line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Then the expression level of fat1 gene in positive cells was detected using quantitative PCR, and the catalysis efficiency was detected by gas chromatograph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atalysis efficiency of fat1 was significantly high, which can improve the total PUFAs rich in EPA, DHA and DPA. Construction and expression of pEF-GFP-fat1 vector should be helpful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egulation of fat1 in vitro. It could also be the first step in the production of fat1 transgenic cattle.

Influence of barley grain treated with alkaline compounds or organic extracts on ex vivo site and extent of digestion of starch

  • Naseroleslami, Reza;Mesgaran, Mohsen Danesh;Tahmasbi, Abdolmansour;Vakili, Seyed Alireza;Ebrahimi, Seyed Had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230-236
    • /
    • 2018
  • Objective: Two ex viv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barley grain (Nusrat cultivar) treated with alkaline compounds (AC) including alum, ammonium, and sodium hydroxide or cation-exchanged organic extracts (OE) prepared from alfalfa hay, sugar beet pulp and Ulva Fasciata, on extent and digestion of starch. Methods: In the first study, the in vitro first order disappearance kinetic parameters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starch were estimated using a non-linear model ($D_{(t)}=D_{(i)}{\cdot}e^{(-k_d{\cdot}time)}+I$, where: $D_{(t)}$ = potentially digestible residues at any time, $D_{(i)}$ = potentially digestible fraction at any time, $k_d$ = fractional rate constant of digestion (/h), I = indigestible fraction at any time).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ruminal and post-ruminal disappearance of DM, CP, and starch were determined using in situ mobile nylon bag. Results: Barley grains treated with alum and alfalfa extract had a higher constant rate of starch digestion (0.11 and 0.09/h) than others. Barley grain treated with OE had a higher constant rate of CP digestion and that of treated with AC had a higher constant rate of starch digestion (0.08 and 0.11/h)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The indigestible fraction of starch treated with alum and sugar beet pulp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0.24 and 0.25 vs 0.21). Barley grain treated with AC and OE had significant CP disappearance in the rumen, post-rumen and total tract, and also starch disappearance for post-rumen and total tract compared with the untreated (p<0.001).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C and OE migh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tarch degradation of the barley grain. In addition, treating barley grain with alum and sugar beet pulp extract could change the site and extend digestion of protein and st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