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methods of teaching-learning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9초

디키-3000을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A Study on the Programming Education using Diki-3000 for Elementary School)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27-635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자 특성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육방안 마련을 위해 구체적 조작활동 교구인 디키-3000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후 Grasha와 Reichmann(1974)가 제안한 6가지 학습양식 유형별 프로그래밍 성향 및 성취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향은 의존형보다는 독립형, 협동형 보다는 경쟁형, 회피형 보다는 참여형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도 측면에서 는 독립형, 경쟁형, 참여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학습자와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습양식 유형별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요구사항의 차이를 알게 되었으며 교육환경, 학습교구, 학습내용, 교수방법 측면의 디키-3000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Problems of Teaching Pupils of Non-Specialized Classes to Program and Ways to Overcome Them: Local Study

  • Rudenko, Yuliya;Drushlyak, Marina;Osmuk, Nataliia;Shvets, Olh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105-112
    • /
    • 2022
  •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IT-technologies has raised interest in teaching programming pupils. The article deals with problems related to programming and ways to overcome them. The importance of programming skills is emphasized, as this process promotes the formation of algorithmic thinking of pupils. The authors determined the level of pupils' interest to programing learning depending on the age. The analysis has showed that the natural interest of younger pupils in programming is decreasing over the years and in the most productive period of its study is minimized. It is revealed that senior school pupils are characterized by low level of interest in the study of programming; lack of motivation; the presence of psychological blocks on their own abilities in the context of programming; law level of computer science understanding.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the second stage of the experiment, which was based on a change in the approach to programing learning, which involved pupils of non-specialized classes of senior school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study of programming,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motivational and psychological component, as well as the use of game technologies and teamwork of pupils. The results of the pedagogical experiment on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programming for pupils of nonspecialized classes are presented. Improvement of the results provided the use of social and cognitive motives; application of verbal and non-verbal, external and internal means; communicative attacks; stimulation and psychological setting; game techniques, independent work and reflection, teamwork. The positive effect of the implemented methods is shown by the results verified by the methods of mathematical statistic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pupils.

기능성 게임을 통한 집중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through Serious Games)

  • 조승주;윤형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5
    • /
    • 2011
  • 집중력은 학습능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집중력 개선은 학습능력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키즈(digital kids)는 어려서부터 게임과 같은 중독적인 미디어에 익숙해져 있어서 기존의 교수학습방법만으로는 그들에게 관심을 끌기는 어려워졌다. 따라서 집중력이 약한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본 실험은 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정 기능성 게임을 통한 훈련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진행되었고, 초등학생 4명씩 집중력 훈련 훈련집단, 명상음악 훈련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QEEG-4 장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정 기능성 게임을 통하여 집중력 향상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결과 집중력 훈련 게임과 명상 음악은 피험자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기능성 게임은 보통 사람은 집중하기 어려운 명상과는 달리 호기심, 도전과제, 경쟁과 보상 등의 재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게임은 청소년들에게 더 이상 부정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사회에 도움을 줄 것이다.

국내대학의 건축시공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혁신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 김재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7-465
    • /
    • 2019
  • 기술과 사회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발전하는 사회를 선도하는 대학교육도 끊임없이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대학 건축시공 분야의 교육혁신실태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대학의 건축시공분야에서도 교육혁신 강의가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개 대학 중에서 5개 대학에서 혁신강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입되고 있는 혁신교수법은 팀기반학습과 플립러닝이었다. 혁신강의와 전통적인 강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평가방법, 주별 강의일정, 학습을 위해 지원되는 도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대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n Information Scienc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 김호숙;김형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29-540
    • /
    • 2014
  • 우리는 수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과학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현실적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정보과학 팀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팀워크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과정과 응용과정으로 구성되는 2단계 정보과학 수업 방법과 체계적 프로젝트 수행 단계를 설계하고, 소규모 협력 학습 전략과 입체적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보과학 창의성의 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목표 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인터넷 윤리 학습 모형 (An Internet Ethics Learning Model based on PBL)

  • 박정미;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9-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 기반한 인터넷 윤리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다. 새로운 학습 모형은 토론과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새로운 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한 후 인터넷 윤리의식의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율, 존중, 참여, 책임 영역에서 학습자의 인터넷 윤리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자율과 책임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 박준식;표용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9-37
    • /
    • 2013
  • P대학에서는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업성취도 고양을 위하여,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미적분학의 선수과목으로 운영되며, 수준별 학급을 편성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표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공학인증 지원을 위해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강의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30개 학급에서 수강한 1,106명의 취득 성적과 및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담당교수가 제출한 강의 포트폴리오의 강의개선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과 그 개선방안을 찾아본다.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Recognition and Teaching methods in Housing of Home Economics Text Book of Middle School)

  • 이은순;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3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recognition and teaching methods in Housing of Home Economics Text Book of Middle School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its curriculum. Home Economics teachers of the 433 schools responded in nationwide to the mailed questionaire. The selected data were manipulated by percent and verified in the way of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Home Economics teachers have ever taken teacher training but there are few who have never taken any teacher training in Housing. And even those who have ever taken the training in Housing are not satisfied with the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ous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and that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and that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helpful for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2. It is necessary to allot more houres for Housing, in that most teachers actually allot more time for Housing than presented in teachers’guide, and to develop more teaching aids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 of Housing. In terms of the suitability of Housing to the students’learning development levels, the degree of suitability is in the order of the significance of housing, housing sanitation, the types of housing, the space for housing, the ground plan of housing,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The contents about the interior decoration and gardening of the existing text book have turned out not to be appropriate..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curriculum, Housing is suitable for the city, but not for the farming, mining, and sea village, Teachers suggest tha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bout Housing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chool. 3. The number of the teaching aids for Housing is in the order of picture, charts and pamphlet but not sufficient.

  • PDF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igital Literacy)

  • 이철승;백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51-356
    • /
    • 2022
  •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디지털 혁명 위에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디지털 문제 해결력 확대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은 쌍방향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협업·공유를 바탕으로 연계 및 융합형 교육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모델을 쉽게 설계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연결된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한, 소통과 협업 기반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음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부산지역 중등교사의 현직교육 요구 분석 (In-service Education Need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Busan City)

  • 장한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5-323
    • /
    • 2005
  • To reveal secondary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nee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ndividual teachers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s were adopted. They wanted to have; a. more knowledge of one's subject, subject related information, culture and common sense, counseling psychology, foreign language, and the 7th curriculum, b. better skills of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good use of computers, and educational evaluation, c. improved attitudes regarding democratic problem solution processes, conversation with and service to students from their viewpoints, commitment to preparations for teaching, education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elimination of improperness, and pride of teaching j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