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bulb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제3기 유충의 종 동정 (Identification of larval Gnathostomn obtained from imported Chinese loache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3호
    • /
    • pp.161-168
    • /
    • 1996
  •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종 동정하고자 하였다. Early third-stage larva($EL_3$)는 중국산 미꾸리의 내장에서 분리 수집하였고 advanced third-stage larva($AdL_3$)는 $EL_3$를 마우스에 실험감염시킨 후 4주에 회수하였다 미꾸리 및 마우 스로부터 획득한 충체들을 10% formalin으로 고정하였고 alcohol-glycerin 용액을 거쳐 glycerinfelly로 봉입한 후 관찰 및 계측하였다. 총 9 493마리의 중국산 미꾸리를 조사하였던 바 총 369마리의 $EL_3$가 검출되었다. $EL_3$는 평균 0.624{\;}{\times}{\;}0.101 mm 크기이었고 체표면에 약 190 줄의 가로주름(transverse striation)이 나 있었으며 각 주름에는 미세한 가시(cuticularspine)들 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전단에는 1쌍의 구순이 돌출되어 있었고 그 뒤로 근 육성의 인두(평균 0.229 mal)와 갈색의 장이 이어졌으며 후단 근처의 복측에 항문이 개구하였다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34{\;}{\times}{\;}0.071 mm)에는 소구(hooklets)가 평균 36 7개, 39.5개, 41.6개 및 44.3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고 head bulb 바로 뒤에는 2쌍의 cervical sac(평균 0.133 mm)이 인두를 따라 길이로 배열되어 있었다. AdLB는 평균 $2.660{\;}{\times}{\;}0.346{\;}mm$ 크기이었고 충체 전단의 구순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97{\;}{\times}{\;}0.193{\;}mm$), 근육성의 인두(평균 0.755 mm), 2쌍의 cewicalsac(평균 0.355 mm). 갈색의 장 등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충체 head bulb에는 소구가 평균 39.0개, 41 9개, 43.9개 및 45.6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으나 몇 몇 충체에서는 5번째 줄에 3~7개의 소구가 배열되어 있었다. 이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계측치를 토대로 하여 중국산 수입 미꾸리와 실험감염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악구충을 돼지악구충 (Gnathostoma hispidum)의 제3기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 PDF

중국산 수입 미꾸리에서 검출한 Gnahostoma nipponicum 유충의 형태 (Larval Gncthostoma nipponicum found in the imported Chinese loaches)

  • 손운목;고원규;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47-352
    • /
    • 1993
  • 1992년 3월에 부산시 중구 남포동 소재 자갈치시장에서 구입한 중국산 미꾸리 376마리에서 6마리의 악구충 유충을 검출하였다. 유충들은 크기가 평균 $674{\;}{\times}{\;}114{\;}\mu\textrm{m}$이었고 특징적인 head bulb와 2쌍의 cervicalsac(평균 $188{\;}\mu\textrm{m}$)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표면에는 미세한 가시가 질서정연하게(평균 229열)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전단에는 구순이 돌출되어 있었고 그 뒤로 식도(평균 $306{\;}\mu\textrm{m}$)와 장이 이어졌으며 충체 후단 근처의 복측에 항문이 개구하였다. Head bulb에는 소구 (hooklet)가 평균 34.5개. 36.7개 및 39.7개씩 3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계측치 및 형태학 적 특징을 근거로 Gnakhostoma nipponicum의 제3기 유충으로 동정하였으며 중국산 미꾸리가 이 선충의 제2중간숙주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수입 식용동물들이 국내에는 없는 새로운 기생충 질환의 감염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연도별 생산성과 지대별 적응성 (Annual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of Growing Area in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 조용조;이종태;박유경;정병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7
    • /
    • 2011
  • 새로운 노지 월동작물과 수출유망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1995년도에 shallot을 도입하였다. 적응력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 비대기의 고온에 의한 식물체의 조기 고사현상 및 습해 발생으로 수량이 점차 감소되었다. 또한 영양번식체로 세대를 진전시키는데 기인한 종구의 퇴화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도별 생산성과 지대별 적응성에 따른 shallot의 재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도별 생산성은 1995년에는 평균 구중이 18.7 g, 10a당 수량은 4,113 kg이었다. 재배 2차년(1996년)의 평균 구중은 25.8 g으로 무거워졌으나 수량은 10a당 2,013 kg으로 48.9%로 낮아졌다. 재배 3차년의 평균 구중과 10a당 수량은 1996년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재배 4차년(1998년)의 평균 구중은 21.1 g으로 증가하였으나 수량은 10a당 1,246 kg로 도입 당시의 30.3%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Shallot의 고랭지, 준고랭지, 평야지, 해안 지대의 지대별로 적응력을 시험한 결과 식물체 생육은 월동 전 후 및 생육성기인 4월까지는 해안 지대에서 생육이 왕성하였다. 하지만 수확기인 7월에 가까워질수록 준고랭지가 해안 지대에 비해 수량이 57%가 많았다.

Analysis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production of lily bulbs in Korea

  • Jang, Hyundong;Kim, Soung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81-495
    • /
    • 2016
  • Lily, which is one of Korea's main flower expor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product in the country. Korean lily farmers have difficulty earning more profit from producing lilies, because of the high cost of lily bulbs. Most lily bulbs used in Korea are imported from the Netherlands. Thus, the Korean government has kept trying to supply more and better Korean lily bulbs. However, many experts have questioned the efficiency and economic value of the Korean lily produc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conomic value of the production of lily bulbs in Korea.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s the economic value of the production systems of Korean lily bulbs and compares the results from several cas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esents some useful findings, as follows: first, two Korean production areas (Gangneung and Jeju) show a positive economic value but one Korean production area (Taean) presents problems causing a negative economic value. Second, the Korean production area in Vietnam currently has trouble in the view of economic value but will likely overcome that problem. Third, the production area in the Netherlands shows the best economic value. Thus, Korean lily bulb producers need to benchmark that system.

정식시기가 오리엔탈 나리의 절화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Flower Yield and Quality of Lilium Oriental Hybrids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 조우석;박유경;박지은;정병룡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29-34
    • /
    • 2011
  • 절화 나리의 고랭지 여름 재배시 정식시기에 따른 절화의 품질과 수확시기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식시기를 5월 15일, 6월 5일, 6월 15일, 7월 15일로 나누어 정식하고, 종구원을 수입과 국내에서 양구된 종구로 나누어 30% 차광망을 피복한 비가림하우스내에 정식하였다. 재배한 결과 5월 15일과 6월 25일이 수량 및 품질이 가장 좋았으며 정식시기가 가장 늦은 7월 15일의 경우는 정식시기 시 고온에 영향을 받아 수량 및 품질이 매우 떨어졌다. 전체적인 생육 및 수량에서 수입종구와 국산종구는 수입종구가 다소 우수하나 유의차는 없었다. 정식시기에 따른 수확기가 8월 중순경부터 10월 하순까지 계속되어 대일 수출시 분산정식에 의한 월별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7월 초순 이후의 고온기에는 차광 외에 다른 방법을 추가하여야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Basic study on a garlic (Alliumsativum L.) upright planter

  • Lee, Sang Yoon;Park, Hyo Je;Kweon, Gi Yo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341-350
    • /
    • 2019
  • Garlic is one of the most popular seasoning bulb vegetables in Korea and is the most commonly used food ingredient. However, the cultivation areas are decreasing every year as the price drops due to imported garlic, and labor is insufficient to produce garlic by conventional methods. Cultivation requires various tasks until garlic is harvested. Seeding is one of the important and laborious tasks; thus, mechanization is necessary. When seeding garlic, the sprout should face upwards; otherwise, it may rot or produce poor quality garli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growth of northern- and southern-type garlic in eight different positions. The results show when the roots were not planted properly, the stems were weak, and the garlic bulbs were small. A simple garlic planter was manufactured with a crank-press mechanism to plant garlic in an upright position. Using this machine, a three-fo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100 strips of garlic.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99.4% of the planted garlic strips were positioned upright or close to being upright, and 0.6% failed to take root.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locate the root part of the garlic, and the result showed a success rate of 81%. A future study will develop an automatic garlic upright planting system with a viewing system.

국내 산지별 마늘의 향기성분 및 항균활성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 신정혜;김라정;이수정;강민정;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7
    • /
    • 2011
  • 마늘의 산지별 품질특성 비교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 주산지로부터 수집된 마늘 및 중국산 마늘의 물리적 특성, 향기성분과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구의 폭은 난지형 마늘이 50mm 이상으로 한지형 마늘에 비하여 넓었으며 평균 인편수도 난지형 마늘에서 6.38~9.31개로 더 많았다.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0.73~87.40의 범위였으며, a값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남해산과 무안산에서 가장 낮아 각각 $20.97{\pm}1.20$$20.91{\pm}1.62$였으며, 제주산이 $26.38{\pm}2.08$로 가장 높았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5~30개의 피크를 얻었으며, 이 중 GC-MS로 17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고, 동정된 화합물 중 황화합물이 15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총 피크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diallyl disulfide는 검출된 총 화합물 중 34.90~60.54%로써 타성분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는데 중국산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무안산에서 그 함량이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diallyl trisulfide가 17.55~38.72%였다. Strep. mutans, B. subtilis, E. coti, V. parahaemolyticus, Asp. flavus, C. albicans에 대해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모든 마늘 시료에서 E. coli와 C. albicans에 대해 비교적 활성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활성이 높았던 태안, 제주 및 남해마늘을 농도별로 가하여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남해산 마늘에서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다.

RT-PCR법을 이용한 백합 바이러스 LSV, LMoV, CMV의 검출 (Detection of Lily symptomless virus, Lily mottle virus, and Cucumber mosaic virus from Lilium Grown in Korea by RT-PCR)

  • 임지현;배은혜;이용진;박성한;이규준;김새로미;정용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1-256
    • /
    • 2009
  • 2008~2009년에 강원, 충남, 제주 지역의 백합 재배 농가에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이는 백합의 잎과 구근을 채취하였으며 RT-PCR 방법으로 Lily mottle virus (LMoV), Lily symptomless virus (LSV), Cucumber mosaic virus (CMV) 등 3 종류의 바이러스를 검출 하였다. LSV 12주, LMoV 20주, CMV 1주가 검출 되었으며 LSV에 감염된 12개의 식물체 중 7개에서는 LMoV도 검출되어 복합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LMoV와 LSV에 의한 복합 감염은 엽맥투명화, 잎말림, 반점, 모자이크, 황화 줄무늬 등 단독 감염보다 심각한 병징을 나타내었으며 좋지 않은 환경에서 저장된 구근에서도 복합 감염이 관찰되었다. 채집된 식물체는 LMoV 감염이 가장 많았으며 Lily virus X(LVX)에 의한 감염은 검출되지 않았다. 7개 분리주의(LMoV 4주, LSV 2주, CMV 1주) 외피 단백질 유전자를 증폭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백합 바이러스 염기서열(LSV:AJ516059, CMV: AJ296154)과 비교 하였으며 LMoV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기존에 보고된 염기서열(AJ564636)과 비교하였다. 분리주는 기존에 보고된 바이러스와 95~99%의 뉴클레오티드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으며, 이들 분리주의 분자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고 신속하고 정확한 바이러스 진단을 위해서는 전체 염기 서열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