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on time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7초

염소이온 노출개시시기를 고려한 기존 확산계수 모델 수정제안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Model Considering the Initiation Time of Exposure to Chloride Environment)

  • 김기현;차수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377-386
    • /
    • 2009
  • ACI life-365 기준확산계수 모델은 NT build 443 방법에 의한 시험 결과들로부터 만들어졌다. 이 방법은 침지기간 동안의 시간평균 확산계수를 구하는 방법이므로 ACI에서는 침지기간 동안의 시간평균 확산계수를 기준확산계수로 정의한 것이다. ACI 모델에서는 재령에 따른 감소효과를 지수함수 형태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ACI 기준확산계수 모델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염소이온 노출개시기를 고려한 확산방정식의 해석해를 유도하고, 이를 사용하여 NT build 443 방법의 시간평균 확산계수를 기준재령의 확산계수로 변환하였다. 연구결과 life-365 기준확산계수 모델은 기존 값 보다 10% 정도 증가되고 수정되어야 함을 밝혔으며, 이에 따라 NT build 443 방법과 NT build 492 방법의 기존관계를 수정하여 내구수명 평가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JCI 확산계수모델과 ACI 확산계수모델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하여 JCI 확산계수모델에 대응하는 기준확산계수를 유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JCI 모델보다 ACI 모델이 더 보수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사 웹툰에서 템포 연출의 재미 요소에 대한 연구 -<묘진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mpo Direction of Narrative Webtoons -Focusing on -)

  • 김성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193-215
    • /
    • 2017
  • 이번 연구에서는 템포가 서사 웹툰의 재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점을 연구하였다. 서사 웹툰에서 재미를 만들어 내는 요소는 많지만 본 연구에서 주목한 이론은 긴장의 축적과 해소이다. 이현비는 그의 저서 <재미의 경계>에서 긴장의 축적과 해소가 재미를 만들어내는 요소라고 말하였다. 이야기에 있어 긴장감은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끌어 들여 몰입감을 만들어 낸다. 하지만 이야기 진행 내내 긴장감을 유지시킨다면 독자들은 긴장감에 무감해지기 때문에 긴장의 축적과 해소를 번갈아가게 사용하여 몰입감을 유지시켜줘야 한다. 서사 웹툰에서 긴장의 축적과 해소를 만들어내는 연출 중 하나가 템포 연출이다. 장편구조를 가진 서사 웹툰을 창작함에 있어 사건이 발생하는 순간부터 끝나는 순간까지 시간의 순서대로 사건 전체를 모두 서술하는 건 쉽지 않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사 웹툰을 진행함에 있어 스토리시간과 서술시간의 차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 시간의 차이를 템포라고 한다. 이런 템포는 서사웹툰 연출에서 이야기의 호흡을 조절하여 독자들을 작품에 몰입시켜 재미를 만들어낸다. 템포연출이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은 템포연출의 발생이 이야기의 정보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실질적으로 진행시키는 정보는 재미형성의 필수요소인 긴장의 축적과 해소를 만들어내고, 템포는 완급을 조절하여 긴장의 축적과 해소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것이다. 서사 웹툰에서의 템포연출은 칸과 칸새를 이용한 연출이 사용된다. 칸과 칸새를 이용한 장면연출은 완급과 강약을 고려하여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건 칸과 칸새가 가지는 시간성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묘진전> 1화의 분석을 통해 서사웹툰에서 템포연출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템포연출이 서사웹툰에서 재미를 만들어 내는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향후 재미를 창출해 내는 연출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한국전통발효음식과 전문가 치아미백을 시행한 자연치의 색조변화와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Discoloration on Bleached Tooth)

  • 강현경;임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717-4724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전통발효음식과 미백치아의 색조변화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전문가 치아미백을 시행한 자연치아를 한국전통발효음식에 일정기간 침전 후 치과용 측색기를 이용하여 치아색조변화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치아시편은 30개로 한 치아당 30회 측정되었으며, 전체 측정 횟수는 900회 실시되었다. 측정은 치과용 측색기 ShadeEye NCC$^{(R)}$ Dental Chroma Meter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백 전, 후 명도와 황색채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용액침전 후 명도와 황색채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p<0.001). 침전용액에 따른 색조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백 후부터 1주 동안, 2주에서 3주까지의 기간 동안 각 침전용액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01). 한국전통발효음식은 침전기간과 침전용액에 따라 미백치아의 색조변화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구강 내의 상태 그대로를 재연하지 못하였기에 구강 내 상태, 섭취빈도, 구강위생관리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Stability of the growth process at pulling large alkali halide single crystals

  • V.I. Goriletsky;S.K. Bondarenko;M.M. Smirnov;V.I. Sumin;K.V. Shakhova;V.S. Suzdal;V.A. Kuznetzov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4
    • /
    • 2003
  • Principles of a novel pulse growing method are described. The method realized in the crystal growing on a seed from melts under raw melt feeding provided a more reliable control of the crystallization process when producing large alkali halide crystals. The slow natural convection of the melt in the crucible at a constant melt level is intensified by rotating the crucible, while the crystal rotation favors a more symmetrical distribution of thermal stresses over the crystal cross-section. Optimum rotation parameters for the crucible and crystal have been determined. The spatial position oi the solid/liquid phase interface relatively to the melt surface, heaters and the crucible elements are considered. Basing on that consideration, a novel criterion is stated, that is, the immersion extent of the crystallization front (CF) convex toward the melt. When the crystal grows at a <> CF immersion, the raised CF may tear off from the melt partially or completely due to its weight. This results in avoid formation in the crystal. Experimental data on the radial crystal growth speed are discussed. This speed defines the formation of a gas phase layer at the crystal surface. The layer thickness il a function of time a temperature at specific values of pressure in the furnace and the free melt surface dimensions in the gap between the crystal and crucible wall. Analytical expressions have been derived for the impurity component mass transfer at the steady-state growth stage describing two independent processes, the impurity mass transfer along the <> path and its transit along the <> one. The heater (and thus the melt) temperature variation is inherent in any control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when random temperature changes occur causing its lowering at a rate exceeding $0.5^{\circ}C/min$, a kind of the CF decoration by foreign impurities or by gas bubbles takes place. Short-term temperature changes at one heater or both result in local (i.e., at the front) redistribution of the preset axial growth speed.

PCB 표면처리에 따른 Sn-3.0Ag-0.5Cu 무연솔더 접합부의 in-situ 금속간 화합물 성장 및 Electromigration 특성 분석 (Effects of PCB Surface Finishes on in-situ Intermetallics Growth and Electromigration Characteristics of Sn-3.0Ag-0.5Cu Pb-free Solder Joints)

  • 김성혁;박규태;이병록;김재명;유세훈;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7-53
    • /
    • 2015
  • 인쇄회로기판 솔더 상부 및 하부 접합부의 서로 다른 표면처리 조건에 따른 Sn-3.0Ag-0.5Cu (SAC305) 접합부의 열처리 및 전류 인가에 따른 금속간 화합물 성장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in-situ 미세구조분석 및 electromigration (EM) 수명평가를 실시하였다. 솔더 접합 직후, 상부 접합부의 electroless nickel immersion gold (ENIG) 표면처리에서는 $(Cu,Ni)_6Sn_5$, 하부 접합부의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OSP) 표면처리에서는$ Cu_6Sn_5$, $Cu_3Sn$ 금속간 화합물이 접합 계면에서 생성되었다. EM 수명평가 결과 온도 $130^{\circ}C$, 전류밀도 $5.0{\times}10^3A/cm^2$ 하에서 평균파괴시간이 약 78.7 hrs으로 도출되었고, 하부 OSP 표면처리에서 전자가 솔더로 빠져나가는 부분에서 Cu의 소모에 의한 단락이 주 손상기구로 확인되었다. In-situ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계면 미세구조 분석 결과 상부 접합부 ENIG 표면처리에서 전자의 방향에 따른 미세구조의 큰 차이가 없고 뚜렷한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하부 접합부 OSP 표면처리의 경우 전자가 솔더로 유입되는 부분에서 빠른 Cu 소모로 인한 보이드 성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SAC305무연솔더 접합부에서 ENIG 표면처리가 OSP 표면처리보다 보다 우수한 EM확산방지막 역할을 하여 금속간 화합물 성장을 억제하고 보다 우수한 EM 신뢰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을 이용한 황화수소의 제거 (Removal of Hydrogen Sulfide by Using Sodium Carbonate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Fiber)

  • 정헌석;원용선;;;임준혁
    • 청정기술
    • /
    • 제23권1호
    • /
    • pp.113-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섬유활성탄에 탄산나트륨을 첨착제로 이용하여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을 제조하고 동일조건에서 제조한 탄산나트륨 첨착입상활성탄과 황화수소 제거 성능을 비교한 후 그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첨착용액의 농도와 첨착시간을 변수로 하여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과 탄산나트륨 첨착입상활성탄의 흡착능을 구하였는데 먼저 두 경우 모두 첨착용액의 농도에 비례하여 탄산나트륨의 첨착되는 양도 증가하나 3 wt%이상에서는 기공충전(pore filling) 현상으로 첨착양에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황화수소 제거를 위한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과 탄산나트륨 첨착입상활성탄의 제조시 최적의 탄산나트륨 용액 농도는 3 wt%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의 경우 탄산나트륨 첨착을 위한 담지시간이 탄산나트륨 첨착입상활성탄에 비하여 2배 가까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 제거효율은 탄산나트륨 첨착섬유활성탄이 탄산나트륨 첨착입상활성탄에 비하여 30% 이상 증가하였고 이는 비표면적의 측정결과로 설명되었다. 결과적으로 향상된 비표면적을 가진 섬유활성탄에 황화수소와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탄산나트륨을 첨착하여 제조상 시간적 이점과 향상된 황화수소 흡착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ive Heat Treatment Techniques for Control of Mung Bean Sprout Rot, Incorporable into Commercial Mass Production

  • Lee, Jung-Han;Han, Ki-Soo;Kim, Tae-Hyoung;Bae, Dong-Won;Kim, Dong-Kil;Kang, Jin-H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74-179
    • /
    • 2007
  • Seedlot disinfection techniques to control mung bean sprout rot caused by Colletoricum acutatum and C. gloeosporioides were evaluated for commercial production scheme. Soaking seedlots in propolis (100 X) and ethanol (20% for 30 min) appeared promising with control values of 85.5 and 80.8 respectively, but still resulted in up to 20% rot incidence. None of the C. acutatum conidia survived through hot water immersion treatment (HWT) for 10 min at temperatures of 55, 60 and $65^{\circ}C$, whereas the effective range of the dry heat treatment (DHT) was $60-65^{\circ}C$. Tolerance of mung bean seedlot, as estimated by hypocotyl elongation and root growth, was lower for HWT than for DHT. Germination and growth of sprouts were excellent over the range of $55-65^{\circ}C\;at\;5^{\circ}C$ intervals, except for HWT at $65^{\circ}C$ for 5 min. At this marginal condition, heat damage appeared so that approximately 2% of seeds failed to sprout to normal germling and retarded sprouts were less than 5% with coarse wrinkled hypocoty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HT would be more feasible to disinfect mung bean seedlots for commercial sprout production. Heat treatment at above ranges was highly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epiphytic bacterial strains associated with marketed sprout rot samples. HWT of seedlot at 55 and $60^{\circ}C$ for 5 min resulted in successful control of mung bean sprout rot incidence with marketable sprout quality. DHT at 60 and $65^{\circ}C$ for 30 min also gave good results through the small-scale sprouting system. Therefore, we optimized DHT scheme at 60 and $65^{\circ}C$ for 30 min, considering the practical value of seedlot disinfection with high precision and accuracy. This was further proved to be a feasible and reliable method against anthracnose incidence and those bacterial strains associated with marketed sprout rot samples as well, through factory scale mung bean sprout production system.

고속전단 시험을 이용한 Sn-37Pb BGA solder joints의 기계적 신뢰성 특성 평가 (Mechanical reliability of Sn-37Pb BGA solder joints with high-speed shear test)

  • 장진규;하상수;하상옥;이종근;문정탁;박재현;서원찬;정승부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5-7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BGA(Ball Grid Array) 솔더 접합부에 high impact가 가해졌을 경우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시편은 ENIG(Electroless Nickel Immersion Gold) 표면 처리된 FR-4 기판 위에 직경이 500 ${\mu}m$인 Sn-37Pb 솔더볼을 BGA 방식으로 배열하고 리플로우(Reflow)를 통하여 제작하였다. HTS(High Temperature Storage) 테스트를 위해, 시편을 일정한 온도의 $120^{\circ}C$에서 250시간 동안 시효처리(Aging)를 실시하였다. 시효처리 후, 각각의 시편은 고속 전단 시험기(Dage-4000HS)를 이용하여 속도 변수는 0.01, 0.1, 1, 3 m/s로 설정하여 고속전단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단시험 후, 솔더 접합 계면과 파면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솔더 접합 계면에는 $Ni_3Sn_4$의 금속간 화합물이 성장하였으며, 시효처리 후, 솔더 접합 계면에 생성된 금속간 화합물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전단 시험 결과, 전단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전단 강도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솔더 접합부의 파단은 전단 속도와 시효처리 시간에 따라 다양한 파괴 모드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괴 모드는 연성파괴 형상을 보이다가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취성 파괴 형상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비의 항산화활성 증가를 위한 효율적인 추출조건 탐색 (Screening of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s for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from Fronds of Osmunda japonic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4-180
    • /
    • 2011
  • 본 연구는 고비의 성엽으로부터 항산화 물질 추출과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정 추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동결건조 한 다음 분쇄한 고비 성엽 1 g을 메탄올, 80% 에탄올, 물 등 3종류의 용매와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침지, $60^{\circ}C$의 항온 수조에서 가열, 200 rpm에서 교반하여 6시간동안 추출하거나 42 kHz의 초음파 수조에서 15, 30, 45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다음 최종 볼륨을 50 mL로 정량하여 가용성고형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의 함량을 구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0.15 mM의 DPPH와 7.4 mM의 ABTS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고비 성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메탄올과 8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수조에서 15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45.15 $mg{\cdot}g^{-1}$ db)과 DPPH radical 소거활성($RC_{50}$=0.35 $mg{\cdot}mL^{-1}$)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메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38.10~38.10 $mg{\cdot}g^{-1}$ db),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RC_{50}$=0.21~0.22 $mg{\cdot}mL^{-1}$). 연구의 결과, 초음파 수조를 이용한 추출은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고비의 성엽은 메탄올을 용매로 15~30분 동안 초음파 수조에서 추출하는 것이 추출물의 다양한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Biomechanical evaluation of dental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s: Removal torque an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in rabbits

  • Koh, Jung-Woo;Yang, Jae-Ho;Han, Jung-Suk;Lee, Jai-Bong;Kim, Sung-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권2호
    • /
    • pp.107-112
    • /
    • 2009
  • STATEMENT OF PROBLEM. Macroscopic and especially microscopic properties of implant surfaces play a major role in the osseous healing of 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s with modified surfaces have shown stronger osseointegration than implants which are only turned (machined). Advanced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s such as anodic oxidation and Ca-P application have been developed to achieve faster and stronger bonding between the host bone and the implan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f titanium dental implant on implant stability after insertion using the rabbit tibia model. MATERIAL AND METHODS. Three test groups were prepared: sandblasted,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implants, anodic oxidized implants, and anodized implants with Ca-P immersion. The turned implants served as control. Twenty rabbits received 80 implants in the tibia. Resonance frequencie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implant insertion, 2 weeks and 4 weeks of healing. Removal torque values (RTV) were measured 2 and 4 weeks after insertion. RESULTS.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of implants for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increased significantly (P <. 05) during 2 weeks of healing perio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st and control groups (P >. 05). The test and control implant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SQ values during 4 weeks of healing period (P < .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were found among all the groups. All th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SQ values between 2 and 4 weeks after implant insertion (P >. 05). The SLA, anodized and Ca-P immersed implants showed higher RTVs at 2 and 4 weeks of healing than the machined one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 The surface-modified implants appear to provide superior implant stability to the turned one. Und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however, we suggest that neither anodic oxidation nor Ca-P immersion techniques have any advantage over the conventional SLA technique with respect to implant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