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체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의 생균제 특성 연구 (Probiotic Property of Lactobacillus pentosus Miny-148 Isolated from Human Feces)

  • 정민영;박용하;김현수;부하령;장영효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7-184
    • /
    • 2009
  • 우수한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성이 알려진 유산균을 대상으로 인체의 분변으로부터 300여 균주를 분리하고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항균력,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균주들을 선발하여 생균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에서 분리한 여러 균주 중 Miny-148 균주는 낮은 pH 및 높은 담즙산에 대한 내성, 열처리에 대한 열안정성을 지녀 기초적인 probiotic 특성을 가진 균주로 선발되어, Lactobacillus pentosus (99.9% 상동성)로 동정되었다. 항균력 실험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을 비롯한 Shigella flexneri, Bacillus anthracis,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Vibrio cholerae, V. vulnific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및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균주 8종 등 총 16종의 병원성세균을 억제하였다. 또한 Miny-148은 결장암 세포인 HT-29 cell을 억제하였을 뿐 아니라,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의 생육을 저해하여 세포변성 억제효과를 가진 우수한 probiotic 특성을 지닌 균주로 분석되었다.

가금류 생균제 개발을 위한 Lactobacillus fermentum YL-3의 분리 및 생리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YL-3 as a poultry probiotic.)

  • 조문경;김경;김정호;이태근;김광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79-284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lactic acid bacteria poultry for the probiotic use. Among the previously obtained acid tolerant, 139 strains, 111 strains were selected with MRS medium containing 0.3% oxgall. 34 strains of 111 was re-selected by Gram-staining and acid producing ability. These strains was identified by MIDI Sherlock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Among the identified 34 strains Lactobacillus fermenum YL-3 was selected for the final pro-biotic use because of the good growth and high survival rate at pH 2.0. 60%, 50% and 40% cells of Lactobacillus fermentum YL-3 survived at pH 3.0, 2.5 and 2.0, respectively. More than $10^{7}$ / CFU/ml survived when exposed with the number of $10^{8}$ CFU/ml at pH 2.0 after 12 hr. L.fermenum YL-3 maintained growth in MRS broth containing 0.3, 0.5, 1.0 and 2.0% oxgall for 24 hr. L.fermenum YL-3 showed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pathogenic strains of Sal. enteritidis and E. coli O157:H7. In mixed culture with L.fermenum YL-3 Sal. enteritidis lost ability com-pletely in 15 hrs and E. coil O157:H7 in 16 hrs.

  • PDF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ruminus SPM0211 Isolated from Healthy Korean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Pathogens

  • Yun Ji-Hee;Yim Dong-sool;Kang Jin-Yang;Kang Byung-Yong;Shin Eun-ah;Chung Myung-Jun;Kim Soo-Dong;Baek Dae-Heoun;Kim Kyungjae;Ha Nam-J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660-666
    • /
    • 2005
  • The intestinal microbiota are important to the host with regard to resistance they impart against bacterial infections and their involvement in mediating metabolic functions.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play an important physiological role in these matt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solate Lactobacillus sp. that inhibits enteric pathogens. Initially, 17 isolates from healthy Koreans were collected on Lactobacillus selective medium. Resistance of the isolates to antibiotics including rifampicin, streptomycin, clindamycin and vancomycin was measured. One of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ruminus on the basis of bacterial cell morphology, cultural characteristic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16S rRNA sequence analysis and PCR-RAP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bacterium against Vancomycin Intermediat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ISA)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was measured. About $10^4$ cells of VISA or VRE were mixed with 1, 5, and 9 mL of L. ruminus SPM 0211 and the final volume was adjusted to 10 mL with brain heart infusion (BHI) broth. The cell suspension was incubated for 3, 6, 9, and 24 h, serially diluted and then plated on BHI agar plates. As numbers of L. ruminus SPM 0211 were increased, viable cell count of VISA and VRE decreas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of SPM 0211 was observed after 9 h incubation in any mixture, almost completely inhibiting the growth of these two bacteri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reshly isolated L. ruminus SPM 0211 may be used as a pro-biotic microbe that prevents the colonization of enteric pathogens and can thereby promote good gastrointestinal health.

관능이 개선된 발효두유 제조를 위한 젖산균 분리·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oduction of Fermented Soymilk which Has Improved Sensory Quality)

  • 정민기;김수인;허남윤;성종환;이영근;김한수;정헌식;김동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4-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행 발효두유에서의 산미 이취를 개선시키기 위해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리된 89주의 균주 중 두유 발효 시 산미 이취를 생성하지 않는 균 3주(Strain No. R53, R83, R84)를 임의로 분리하였다. 생물학적, 형태학적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등과 같은 생화학적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3주의 균은 W. koreensis 동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이 3주의 균 중 가장 산미 이취를 적게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Strain No. R83을 최종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이 균주를 W. koreensis KO3로 명명하였다. W. koreensis KO3을 이용하여 최적 발효두유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30^{\circ}C$에서 12시간 발효시켰을 때 생균수가 $8.71{\times}10^8CFU/ml$로 가장 생육이 뛰어났으며, 이때의 pH와 산도는 각각 6.02, 0.33%를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은 수분 94.06%, 조회분 0.18%, 조단백 2.71%, 조지방 1.16%, 조섬유 0.01%로 측정되었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27종의 아미노산과 유도체들이 확인되었다. 단맛을 가지는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serine, glycine, threonine, alanine, aspartic acid 함량이 증가하였고 발효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던 ornithine이 생성되었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선행 발효두유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개선된 평가를 얻었다. 따라서 관능검사, pH 및 산도 그리고 아미노산 분석을 결과를 토대로 볼 때 W. korensis K03로 제조한 발효두유는 음료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연구를 통해 기능성 성분이 탐색 된다면 새로운 형태의 건강식품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Identific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s Derived from Low Molecular Weight Casein Hydrolysates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by Bifidobacterium longum KACC 91563

  • Ha, Go Eun;Chang, Oun Ki;Jo, Su-Mi;Han, Gi-Sung;Park, Beom-Young;Ham, Jun-Sang;Jeong, Seok-G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38-747
    • /
    • 2015
  •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was evaluated for the low-molecular-weight fraction (<3 kDa) obtained from milk fermentation by Bifidobacterium longum KACC91563. The ACE inhibitory activity in this fraction was 62.3%. The peptides generated from the <3 kDa fraction were ide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quantitativ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the 28 peptides identified, 11 and 16 were identified as β-casein (CN) and αs1-CN, respectively. One peptide was identified as κ-CN. Three peptides, YQEPVLGPVRGPFPIIV, QEPVLGPVRGPFPIIV, and GPVRGPFPIIV, from β-CN corresponded to known antihypertensive peptides. We also found 15 peptides that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antihypertensive peptides because they included a known antihypertensive peptide fragment. These peptides were as follows: RELEELNVPGEIVE (f1-14), YQEPVLGPVRGPFP (f193-206), EPVLGPVRGPFPIIV (f195-206), PVLGPVRGPFPIIV (f196-206), VLGPVRGPFPIIV (f197-206), and LGPVRGPFPIIV (f198-206) for β-CN; and APSFSDIPNPIGSENSEKTTMPLW (f176-199), SFSDIPNPIGSENSEKT- TMPLW (f178-199), FSDIPNPIGSENSEKTTMPLW (f179-199), SDIPNPIGSENSEKTTMPLW (f180-199), DIPNPIGSENSEKTTMPLW (f181-199), IPNPIGSENSEKTTMPLW (f182-199), PIGSENSEKTTMPLW (f185-199), IGSENSEKTTMPLW (f186-199), and SENSEKTTMPLW (f188-199) for αs1-CN. From these results, B. longum could be used as a starter culture in combination with other lactic acid bacteria in the dairy industry, and/or these peptides could be used in functional food manufacturing as additive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duct with beneficial effects for human health.

Identification of the ${\beta}$-Glucosidase Gene from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and Its Expression in B. bifidum BGN4

  • Youn, So Youn;Park, Myeong Soo;Ji, Geun 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714-1723
    • /
    • 2012
  • ${\beta}$-Glucosidase is necessary for the bioconversion of glycosidic phytochemicals in food. Two Bifidobacterium strain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SH5 and B. animalis subsp. lactis RD68) with relatively high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selected among 46 lactic acid bacteria. A ${\beta}$-glucosidase gene (bbg572) from B. lactis was shotgun cloned, fully sequenced, and analyzed for its transcription start site, structural gene, and deduced transcriptional terminator. The structural gene of bbg572 was 1,383 bp. Based on amino sequence similarities, bbg572 was assigned to family 1 of the glycosyl hydrolases. To overexpress bbg572 in Bifidobacterium, several bifidobacteria expression vector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several promoters and a terminator sequence from different bifidobacteria. The maximum activity of recombinant Bbg572 was achieved when it was expressed under its own promoter and terminator. Its enzyme activity increased 31-fold compared with those of its parental strains. The optimal pH for Bbg572 was pH 6.0. Bbg572 was stable at $37-40^{\circ}C$. It hydrolyzed isoflavones, quercetins, and disaccharides with various ${\beta}$-glucoside linkages. Bbg572 also converted the ginsenosides Rb1 and Rb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new ${\beta}$-glucosidase-positive Bifidobacterium transformant can be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specific aglycone products.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 유진주;박형주;김수곤;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9-345
    • /
    • 2009
  •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0~7.0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6%와 99.7%의 서열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Weissella koreensis OK1-4와 Weissella koreensis OK1-6로 각각 명명하였다. 이들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력은 1% 아르기닌이 첨가된 MRS 배지에서 각각 27.01와 31.41 mg/L/h 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김치로부터 분리된 Weissella 속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케피어그레인으로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Enterococcus faecalis OA18 균주의 분리 및 특성규명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nithine-Producing Enterococcus faecalis OA18 from Kefir Grain)

  • 유진주;김수곤;서경원;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8-224
    • /
    • 2011
  • 케피어그레인을 이용하여 제조한 요쿠르트로부터 젖산균 OA18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구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균주는 MRS 배지에서 $30-37^{\circ}C$ 온도 범위와 pH 7.0-9.0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7^{\circ}C$와 pH 7.0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은 리보오스, D-글루코오스, cellobiose, D-trehalose 등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L-xylose, D-melibiose, inositol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OA18 균주는 유전자은행(NCBI)에 등재되어 있는 Enterococcus faecalis (AB012212)의 염기서열과 99.8%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Enterococcus faecalis OA18로 명명하였다. E. faecalis OA18균주는 오르니틴 생성능력과 Streptomyces coelicolor subsp. Flavus, S. coeruleorubidus, S. coeruleoaurantiacus, S. coelicolor, S. coeruleoprunus 대한 항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0-7% NaCl을 함유하는 MRS 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효 온도에 따른 김치의 산도 변화와 Vancomycin 내성 젖산균의 분포 (Changes in Acidity and Distributions of the Vancomycin-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in the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정의숙;김기환;신원철;송광영;윤성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9-255
    • /
    • 2004
  • 배추김치를 담근 직후 $4^{\circ}C$, $10^{\circ}C$, 그리고 $20^{\circ}C$에서 최고 50일까지 발효시키면서 매일 시료를 취하여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pH 와 산도는 발효온도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효 김치중의 미생물학적 성상이 발효 온도에 따라서 상당하게 달라진다는 점을 암시하였다. 각 발효 온도별로 숙성 김치의 상미범위로 알려진 적정산도 0.6~0.8%(pH 4.2)에 도달하여 유지되는 시간을 보면 $4^{\circ}C$에서는 20~30일, 1$0^{\circ}C$에서는 3~5일 그리고 $20^{\circ}C$에서는 1~2일이 소요되었다. 각 김치 시료로부터 vancomycin(300$\mu$g/m1)이 함유된 modified Lactobacilli MRS agar를 이용하여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127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저온에서 분리한 균주를 중심으로 13개를 선택하여 생화학적 동정(API 50 CHL kit)을 실시함으로서 분리균 중 Leuconostoc 속 균주가 차지하는 비율을 검토한 결과 Leuconostoc 속과 Lactobacillus 속은 각각 6 균주로 나타났으며, 한 균주는 생화학적 동정이 불가능하여 아직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균종으로 추정되었다. 생화학적 방법의 재현성이 문제가 되어 다시 ITS-PCR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8 균주는 크기가 564 bp인 1개의 DNA 밴드를 형성하였으며,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dextraniucm로 동정되었다. 또 3개의 DNA밴드를 나타낸 4개의 균주는 L. brevis로 동정 되었으나 1 균주는 ITS-PCR법으로도 동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4~$10^{\circ}C$ 발효초기에는 Leuconostoc 속이 우점 세균으로 지목되었고 발효기간이 경과 할수록 L. brevis도 김치의 균총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반해서 $20^{\circ}C$에서는 Leuconostoc속 균주가 우세하게 출현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발효 초기부터 L. brevis와 같은 세균이 발효를 주도하는 균종으로 생각되었다.

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 김미형;최남기;김선미;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4-356
    • /
    • 2005
  • 우리 인체에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기능을 가진 세균들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구강내에도 독특한 기능을 나타내는 세균들이 상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한 유산균 2주가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과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고, API 50 CHL medium kit를 이용한 생화학적 검사와 16S rDNA sequencing으로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리균주는 2주 모두 그람양성 간균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성하였다. 2. 인공치태의 무게는 Streptococcus mutans의 단독 배양시 $124.4{\pm}30.4mg$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5.2{\pm}2.0mg,\;10.6{\pm}6.6m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3.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는 단독 배양시 ml당 $3.4{\times}10^9$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각각 ml당 $4.6{\times}10^8$$2.4{\times}10^8$으로 감소하였다. 4. Fusobacterium nucleatum을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1.286이었으나, Fusobacterium nucleatum과 분리균주를 병합으로 30분간 진탕한 후 측정한 상청액의 흡광도는 각각 0.628과 0.497로 감소하였으며, 상호 결합 정도는 29.4%와 57.8%이었다. 5. Fusobacterium nucleatum의 단독 배양시 cysteine과 $FeSO_4$를 첨가한 배지를 가한 후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794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 측정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각각 1.144와 0.915로 감소하였으며, Porphyromonas gingivalis 단독 배양시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는 1.932이었으나 분리균주와 병합 배양시에는 침전물의 배지 흡광도가 각각 1.170과 1.266으로 감소하였다. 6. 분리균주를 API 50 CHL medium kit로 탄수화물 발효검사를 시행한 결과, 분리균주 1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로, 다른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로 동정되었다. 7 분리균주를 16S rDNA partial sequencing으로 동정한 결과, 2주 모두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