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lipidemic effect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3초

고지혈증 랫트를 이용한 수종 전통 한약제의 항고지혈 효과(II) (Antihyperlipedimic activity of several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on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 노환성;고우경;김운자;박건구;조영환;박형섭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1-69
    • /
    • 1995
  • Hyperlipidemia is a major predisposing factor of atherosclerosis and cerebrovascular accidents. In effort to develope a hypolipidemic drug from medicinal herb, We tested three prescriptions of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lipid lowering effect on 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GyejI-Bokryung-Hwan, Ohyak-Sunki-San, and Shihoga-Yongol-Moryu-Tang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mnon prescriptions for patients with hyperlipidemia-related diseases. Water extract from each prescriptions was made by the method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and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once a day, for 4 weeks. Fenofibrate and lovastatin were given by the same method as the control drugs.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TC), high density lipoprotein(HDL),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triglyceride(TG)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after starting the drug administration. All of the traditional prescriptions did not show lipid lowering effect, while fenofibrate lower the blood cholesterol levels(TC;from 215mg/dl before to 182m41 at 4 weeks-point of drug administration, and LDL ;from 203mg/dl before to aut 161, and 163mg/dl at 3 and 4 week-point respectively). Oyak-Sunki-San increased the level of TC (from 283mg/dl to over 350mg/dl starting from the first week of drug administratin). Effects on TG variable in the cases of traditional medicines and control drug In conclusion, any of the three traditional medical prescriptions did not decrease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 PDF

대두유와 쌀눈기름의 급여가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Supplementary effect of Soybean oil and Rice germ oil on Lipid Metabolism in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 이성현;전혜경;박홍주;이연숙;김해리;승정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9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s of soybean oil and rice gem oil compared with lard on lipid metabolism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were fed three kinds of experimental diets with 20% lipid from lard(L), soy bean oil(SBO) and rice gem oil(RGO) for 7 weeks, respectively. Diet intake, body weight, organs weights and lipids levels of serum, liver and feces were measu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 intake, body and organs weights among experimental groups. But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of SBO and RGO groups, and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lower in RGO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hepatic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of RG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excreted in feces of SBO and RGO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L group, and the significance was shown only in RGO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oy bean oil and rice germ oil can reduce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and hepatic total lipid concentration of insulin dependent diabetic mice compared with lard as a animal fat source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of these groups. But the significant reducing effects 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were shown only in RGO group, and we need to investigate the hypolipidemic effect of this oil by supplementary level and period.

  • PDF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흰쥐에서 곤달비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Rat)

  • 최종원;김원배;남정환;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2-366
    • /
    • 2007
  • 곤달비 메탄올 추출물은 100mg/kg 및 200mg/kg의 경구투여로 STZ로 유도된 당뇨병의 제반 증상을 완화하였다. 즉, STZ의 투여는 흰쥐의 체중, 수분 섭취, 식이섭취를 증가시켰으며, 혈당량, 혈청 triglyceride 량, 동맥경화 위험지수를 증가시켰으나, 곤달비 추출물의 투여는 이러한 당뇨병에 관련된 증상을 개선하였다. 이와 더불어, 위의 당뇨병 모델 쥐에서 당내성 실험에서도 곤달비 추출물이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혈당의 세포내 이행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곤달비 추출물은 당뇨병 및 그에 따르는 고지혈증에 유효하였으므로 당뇨병 질환의 완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산채 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곤달비의 활성 물질의 입증과 그 이용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식이단백질조성이 흰쥐의 성장과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Metabolism in Growing Rats)

  • 김유숙;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2호
    • /
    • pp.119-128
    • /
    • 1982
  •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lipid levels of plasma and liver was studied in weanling male rats fed diets differing protein sources and amino acid balance. Rats were devided into 9 experimental diets which were grouped into 3 categories ; 1) Simple protein category includes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containing diet groups, 2) Supplemented category includes casein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soy protein isolate supplemented with methionine, and gluten supplemented with lysine and methionine, 3) Mixed protein category includes diet groups containing gluten (2/3),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2/3) and casein (1/3), and casein (1/3), soy protein isolate (1/3) and gluten (1/3). The experimental diets composed of 15% protein, 65.8% carbohydrate, 10% fat and 1% cholesterol. The body wt. gain and P.E.R. were greater in rats of supplemented and mixed protein groups than simple protein group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lasma cholesterol among gluten, soy protein isolate and casein groups. Consumption of diets supplemented with limiting amino acid to gluten or soy protein isolate reduced the plasma cholesterol level by 23.2% and 34.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asein and the supplemented casein groups. The mixed protein groups shows relatively high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low liver cholesterol levels. On the other hand gluten group showed low plasma cholesterol and high liver cholesterol levels, which means body cholesterol pool may not have been changed by the dietary protein. Feeding soy protein meal and the supplemented soy protein isolate resulted in lower plasma cholesterol, plasma triglycerides, liver cholesterol and liver triglycerides levels. This hypolipidemic effect is considered to see unique to soy protein isolate. Rats in gluten and the supplemented gluten groups showed lower plasma protein levels and a tendency of fatty liver.

  • PDF

뽕나무 품종별 오디추출물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 김현복;김선여;류강선;이완주;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4-108
    • /
    • 2001
  • 뽕나무 품종별(대륙뽕, 국상20호, 수봉뽕, 야상오디, 카타네오)오디 메탄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뽕나무 품종별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함량과 더불어 GOT, GPT, 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건조시킨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 수율은, 대륙뽕 50.9%, 국상20호 62.0%, 수봉뽕 64.6%, 카타네오 49.8% 및 야생오디 43.5%로 수봉뽕 품종이 가장 높았고, 품종간 차이가 비교적 컸다. 2.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중성지질함량을 감소시켜 정상의 85% 수준까지 회복되었고,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함량은 국상20호 >카타네오 > 야삼오디 >수봉뽕 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 순으로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3.간장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의 GOT, GPT및 LDH활성을 측정한 결과,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GOT치를 감소시켜 정상의 86% 수준으로 회복시켰고, 국상20호는 68%, 수봉뽕은 66%, 카타네오는 50% 수준으로 GOT치를 감소시켰다.

  • PDF

과루인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신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ic Seed Extract of Trichosanthes kirilowii on Angiogene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박신형;박현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75-180
    • /
    • 2022
  • The seeds of Trichosanthes kirilowii (STK)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ry cough and constipation have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hypolipidemic, antioxidant, immunosuppressive, and anticancer effects. However, the effect of STK on angiogenesis has not been studied y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thanolic extract of STK (ESTK) can regulate the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nd explored the underlying mechanism. Results of transwell assay showed that ESTK treatment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migration of HUVECs. The conditioned medium collected from H1299 human lung cancer cells was used as a chemoattractant. Our observation suggests that ESTK would inhibit the recruitment of endothelial cells into tumors. In addition, ESTK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tube formation of HUVECs. As a molecular mechanism, we found that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induced phosphorylation of VEGF receptor 2 (VEGFR2) was completely blocked by ESTK treatment.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including VEGFA,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2), angiopoietin, placental growth factor (P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angiogenin,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was commonly decreased by ESTK treatment in H1299 cells, indicating that ESTK would reduce the production of angiogenic factors from cancer cel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ESTK exhibited anti-angiogenic effects in HUVECs, which provides another possible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STK.

C57BL/6 Mice에서 이소플라본의 지질강하, 항산화, 항염증효과를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Anti-atherogenic Effect of Isoflavone through Hypolipidemic,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in C57BL/6 Mice)

  • 조혜연;양정례;노경희;김진주;김영화;허경혜;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6-283
    • /
    • 2007
  • 5주령의 C57BL/6 mice종 암컷 40수를 2주간의 적응기를 거쳐, 평균 체중 $17.9{\pm}0.9\;g$인 실험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수씩 4군으로 나누어 실험식이는 동맥경화식이(control)에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각각 8주간 급여하면서 사육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은 식이 100 g 당 10 mg(IF-10)과 40 mg(IF-40) 및 100 mg(IF-10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는 체중증가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섭취에 의한 혈장 TG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주 후의 농도 변화는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세포부착물질인 MCP-1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의 생성량은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의 TG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이소플라본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간의 항산화 영양소인 glutathione 함량은 이소플라본을 100 mg 제공한 IF-100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간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소플라본 100 mg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IF-100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혈장의 중성지방을 저하하고 항염증, 항산화효과를 보여 동맥경화예방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사료된다.

저농도 레반 공급이 혈중 지질 및 체지방 형성과 UCP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Level of Levan Feeding on Serum Lipids, Adiposity and UCP Expression in Rats)

  • 강순아;홍경희;장기효;김소혜;조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8-795
    • /
    • 2002
  • 본 연구는 프락토즈 중합체인 레반의 지질 감소 효과와 비만 유전자인 UCP를 통한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장기 6주간 AIN-76A diet로 사육한 흰쥐에게 레반을 식이 섭취량의 1%, 2%로 5주간 경구투여하여, 혈중 지질 수준과 체지방 형성 및 혈중 인슬린, 렙틴 농도와 갈색 지방 조직, 백색지방 조직, 골격 근육, 시상하부에서 의 UCP mRNA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레반군에서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 1%와 2% 레반 공급이 지질 대사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 1%와 2% 레반군에서 내장 지방 무게가 감소하여 적은 양의 레반 공급으로 체지방 축적이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 갈색 지방 조직과 부고환 지방, 복막 지방 무게는 그룹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혈청 인슬린 농도는 1% 레반군에서, 혈청 렙틴 농도는 1% 레반군, 2% 레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5) 1%와 2% 레반 공급에 의하여 갈색 지방 조직과 골격근육, 시상하부에서의 UCP mRNA발현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6) 백색 지방 조직의 UCP 2 mRNA 발현량이 레반 공급에 의해 증가하여 1%와 2%레반 공급에 의해 에너지 소비율이 증가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농도의 1%와 1% 액상 레반 공급은 총 식이의 ,3%~5% 레반 공급과 비교하여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감소 효과에는 차이가 있으나 UCP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농도의 1~2% 액상 레반 공급으로 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체지방 축적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임상 연구로 레반의 고지혈증과 비만을 조절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검색이 요망된다.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의 지질강하와 항산화 작용을 통한 항동맥경화 효과 (Anti-atherogenic Effect of Green Tea Product through Hypolipidemic and Anti-oxidative Action in Ovariectomized Rats)

  • 조미경;노경희;김진주;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63-1270
    • /
    • 2007
  • 난소절제 흰쥐에서 녹차가공품(GTP)의 항동맥경화 효과를 분석하여 폐경기 증후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GTP는 경남하동 소재 화개제다(花開製茶)로부터 제공받았다. 실험 동물은 10주령의 Sprague-Dewley 암컷 흰쥐로 평균 체중 $279{\pm}2g$인 실험 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양쪽 난소를 절제한 후(OVX) 실험 식이를 제공하였다. Sham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난소 절제 후 2주간 배합사료를 급여한 후 Sham-대조군(Sham-C)과 OVX-대조군(OVX-C)은 AIN' 76에 기초해서 제조한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를, OVX 실험군은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에 GTP 5%(OVX-G 5%)와 20%(OVX-G 20%)로 함유한 실험 식이를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식이 조제시 Ca함량은 총 식이의 0.4%수준으로 GTP첨가량 5%(Ca 함량 50%와 $CaCO_3$ 50%)와 GTP 첨가량을 20%(Ca함량 0.4%)로 조정하였으며 Sham-E와 OVX-C는 20% GTP 수준의 Ca 함량과 동일한 양으로 $CaCO_3$로 조정하여 첨가하였다. 혈청의 TG농도는 OVX-C군에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은 수준을 보였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C 농도비(%)는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TNF-{\alpha}$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간의 TG와 TBARS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첨가가 간에서의 GSH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중의 총 지방 및 TG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OVX-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OVX-C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난소 절제 흰쥐에서 5% GTP를 제공받은 군에 비해 20%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혈액과 간에서의 지질농도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GTP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 첨가가 변의 총지질과 TG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TG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항 동맥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수용성 키토산의 SD 랫드에 대한 4 주 반복 경구 투여 독성시험 (A 4-week Oral Toxicity Study of Water-soluble Chitosan in Sprague-Dawley Rats)

  • 장범수;임종환;윤효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5-202
    • /
    • 2003
  • Chitosan is known to have antibacterial, antitumorogenic, hypolipidemic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hence finding diverse uses as a component in varying functional foodstuffs. However, some investigators reported it caused mineral absoiption inhibition and excess coagulation. From the chemical viewpoint, conventional chitosans are high-molecule polymers lacking water solubility, which could be related with their possible toxicity. A newly developed low- molecule water soluble chitosan is thought to have low toxicity compared to conventional chitosans. But no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its toxicity. In this study, a 28-day subacute oral toxicity study of the water-soluble chitosan was performed in Sprague-Dawley rats of both sexes. Each 36 male and fe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500, 1,000 and 2,000 mg/kg/day for 28 consecutive days, respectively. Clinical parameters (growth rate, feed and water consumption, daily inspection, urine analysis) during the 28 days indicated the water-soluble chitosan did not induce any abnonnal changes.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due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test substance in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We had not found alteration in absolute and relative organ weight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with only exception in the liver but lacking dose-dependency. The results of hematology and serum biochemistry examination revealed that no treatment related changes were between control and all dose group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subacute toxicity of the water-soluble chitosan was low and the no-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was considered to be over 2,000 mg/kg in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