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salvatio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52초

의 구원관 연구: '인류보완계획'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Soteriology of the Film : Focusing on the 'The Human Complementation Project')

  • 이길용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1-16
    • /
    • 2010
  • 이 글은 1997년도에 개봉된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The End of Evangelion>에 나타난 구원관 연구를 주목적으로 한다. 구원을 이야기 할 때에는 지금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제로 한다. 역사 종교들이라 할 수 있는 그리스도교, 불교, 이슬람 등도 예외는 아니다. 그들 역시 인간의 원죄를 이야기 하고, 또 인간의 어두움(無明)을 지적한다. 그러한 원죄와 무명이 인간을 보다 더 완벽한 경지로 가지 못하도록 한다고 본 것이다. <에바>의 구원관도 그런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에바>에서 구원을 요청하는 그룹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젤레>와 겐도, 그리고 신지 등은 각자의 희망에 따라 구원을 요청하고 실현하려 애쓴다. 하지만 이들 역시 인류 전체를, 혹은 개인을 결핍의 존재라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구원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원의 완성을 '지금', 그리고 '이곳'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현세적 특징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점에서 <에바>의 구원관은 기존 종교들과 공유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이 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선행(善行)과 구원(救援)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good deed and salvation)

  • 김재천
    • 대순사상논총
    • /
    • 제18권
    • /
    • pp.135-148
    • /
    • 2004
  • Why do religions emphasize good deeds like charity or love? What kind of relation are there between good deeds and salvation? Early Buddhism stresses that the deed of mortal cannot escape retribution. And deeds are intentional act, so those are representation of mind. Therefore an issue of mind raises its head before action. The extinction of ignorance and thirsty gives rise to good mind, and the good mind produces good deed. Mahāyāna Buddhism accentuates charity. It signifies that the mind of oneself sympathizes the mind of others. That is impossible unless one throws away attachment to oneself. The alms deed makes that possible. In Roman Catholicism Ten Commandments assert absolute worship to god. The transcendental merits devaluate worldly ones, so the mind can obtain calmness. Protestant claims the one can acquire salvation only by faith. And the salvation leads human to good deed. In conclusion good deeds are not ways and means to mokṣa or grace, but identical with them in Early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and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

  • PDF

大巡「济生医世」宗教救治特色及其与道教思想關係探微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in Daesoon Jinrihoe, Religious Healing, and its Relations to Daoist Thought)

  • 盖建民;刘浩然
    • 대순사상논총
    • /
    • 제34집
    • /
    • pp.27-48
    • /
    • 2020
  • 「济生医世者, 圣人之道也」, 「济生医世」的医疗思想是大巡真理会 《典经》 中蕴含的重要思想内容之一。道教经典 《灵宝无量度人上品妙经》 (以下简称 《度人经》) 中的亦有与「济生医世」思想类似的「济世度人」思想, 二者皆围绕个体与社会的救治, 旨在治愈身体疾病与社会弊病, 具有一定内在思想关联。二者都受到了道教易学思想的影响, 具有借医弘道的特点, 同时又注重宗教信仰疗法对于病患的作用。虽然这两种思想产生于不同的年代, 不同的国家, 但我们仍可以从中窥得其共通性的一面。本文主要从三个维度来探讨大巡医疗思想特色及其与道教「济世度人」思想之關係 : 分析大巡真理会「济生医世」思想产生的背景, 主要包括社会群体与生命个体两个因素分析 ; 剖析大巡「济生医世」作为一种宗教医疗手段, 主要包括「济生」之法和「医世」之法 ; 通过大巡「济生医世」与 《度人经》 「济世度人」思想对比, 指出二者在宗教思想层面内在融通性。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북한의 현대적 수용 방식 고찰 (A Study on the North Korean's Modern Adaptation of the Classic Folktale)

  • 박재인;한상효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193-224
    • /
    • 2016
  • 북한에서는 한민족의 전통 구비설화를 개작하여 아동들을 위한 동화로 활용한다. 한민족의 대표적인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역시 그들의 사관에 따라 변형되었다. 북한 애니메이션 <오누이와 나무군>은 본래의 설화형태에서 오누이가 하늘로부터 구원되고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다른 모습으로 대체되어 있다. <오누이와 나무군>의 각색은 북한의 문예사관이 반영된 형태이자, 북한의 옛이야기 수용문화를 잘 이해하게 한다. 이에 본고는 분단이전의 설화자료를 통해 이 설화의 원형을 파악하고, 남북의 현대적 매체로 재창작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서사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의 독특한 관점이 발견되는 애니메이션의 개작 범위와 그로 인해 전환된 의미에 대해 분석하여 서사적 가치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오누이가 위압적인 호랑이의 공격을 이겨내고 승리하는 과정을 충실히 담아내어, 여타 남북의 현대적 창작물에 비해 이 설화의 본래 의미를 풍요롭게 구현하고 있다. 다만 본래 설화의 결말 속 하늘의 상징성이 축소되어, 아무도 지켜주지 못할 때 오누이의 내면에서 긍정적 신념이 발동되는 가능성의 정도가 약화되는 한계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성공과정으로 오누이의 역량에 대해 사실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특장을 지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으며, 오누이 성공의 또 다른 형상으로 본래 설화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는 색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된 미래사회에서 이 애니메이션은 당시 북한의 사회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하는 중요한 자료이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핵심을 잘 담고 있으면서도 오누이의 성공을 실제 삶과 가까운 범위로 이해하고 능동적 실천력을 공감하게 하는 아동문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A Study on the Soteriology of Daesoon Thought)

  • 박인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30집
    • /
    • pp.95-130
    • /
    • 2018
  • 구원론은 종교가 제시하는 치유, 해방, 구원 등의 교리체계로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보상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신념체계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신종교 중 하나인 대순진리회의 구원론을 살펴보아 그 교리체계를 이해하며 그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순사상의 구원론의 증산의 천지공사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천지공사론은 지고신인 증산께서 인간의 몸으로 화현하여 세계와 창생을 구하기 위한 종교적 작업을 하였다는 교리체계이다. 또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증산-정산-우당으로 계승되는 종통론과 연결되어 있다. 증산의 구원의 작업은 정산에 이르러 수행법으로 체계화 되고 우당에 이르러 구현된다. 곧 대순진리회의 신도들은 증산의 유지와 정산께서 세우신 진법 그리고 우당의 인도하심에 따라 수행할 때 도통에 이를 수 있다고 신앙한다. 이러한 대순사상의 구원론은 기존의 종교전통과는 다른 독특한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인격적 지고신에 의한 구원을 제시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둘째, 증산께서 우주 법칙을 변화시켜 세계와 창생이 구원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셨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원한을 푸는 해원의 원리를 통해 세계와 창생을 구원한다는 논리이다.

「좋은 사람은 찾기 어렵네」에 나타난 기독교 담론 (Christianity in "A Good Man Is Hard to Find")

  • 박재영
    • 영어영문학
    • /
    • 제54권4호
    • /
    • pp.511-530
    • /
    • 2008
  • In "A Good Man Is Hard to Find," Flannery O'Connor describes a striking journey of a family, in which all the members dramatically get killed. Through the tragic death of Bailey's family, O'Connor evokes the reader to think about life and the life after death. Growing up in the communities of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O'Connor herself had agonized with the same ques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Christian belief throughout her life. In the story, O'Connor embodies her anguish with the major characters and questions the reader about the meaning of Christian salvation. More specifically, Bailey's family represent the people who get lost in life. They live without any direction and purpose. Red Sammy and his wife, on the other hand, provide travellers with rest, food, and the necessaries. The Tower is a shelter of travellers in life; however, it is not everlasting but temporary. The Misfit, exemplifying religious stragglers, has been completely frustrated with the variance of Christian salvation theories, and no longer practices the religion but knows enough to justify his cruel behaviors. Finally, the grandmother is the manipulator and opportunist of the religion. All those characters are fragments of human characters and their life - obscene and transitory. In the story, there is little God's grace on the surface even though the writer claims "all my stories are about the action of grace." Nonetheless, the reader should be able to identify with those characters because they are the mirror images of themselves. While visualizing the characters, O'Connor wants the reader to have a moment to think about the "Righteousness," and ultimately to seek out God's grace that she essentially wishes to show the reader. Instead of showing God's grace directly, O'Connor ultimately leads the reader to consider about God and the grace as she/he reads the work.

융, 상징적/직관적 상징이해, 그리고 종교간의 대화 (Jung, the Symbolical/Intu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ymbol, and the Interreligious Dialogue)

  • 김승철
    • 심성연구
    • /
    • 제26권2호
    • /
    • pp.189-208
    • /
    • 2011
  • 칼 융의 심리학은 "종교의 시녀"(제임스 하이직)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인간의 무의식을 종교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융의 접근을 잘 나타내는 말일 것이다. 융에 의하면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이분법은 세계의 여러 종교에 등장하는 상징들에 의해서 극복된다. 또한 그는 종교적 상징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종교적인 상징이 문자적이고 교의적으로 이해된다면, 상징들은 인간에게 구원을 가져다줄 수 있는 그들의 역동적인 힘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 소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배타성에 대한 상징적이고 직관적인 이해에 대해서 논하였다. 오직 그리스도만이 유일회적으로 모든 인류에게 구원을 가져다 준다는 기독교의 고백은 상징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는 그가 구원자로 고백될 때마다 언제나 새로운 존재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징으로서의 그리스도는 결코 역사적인 과거태가 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불교철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부처이해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리스도에 대한 상징적이고 직관적인 이해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논구하기 위함이다.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and that of Buddhism)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46집
    • /
    • pp.33-68
    • /
    • 2023
  • 대략 11~12세기에 등장한 심우도는 동아시아에서 특정 종교의 가르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이후 등장한 한국의 종교들도 소를 찾거나 기르는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교가 대순진리회다. 이 종교는 독창적인 6폭(또는 7폭, 9폭)의 심우도를 별도로 제작해 자신의 교리와 세계관을 설명한다.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선(禪) 수행의 과정을 담은 불교 심우도와는 그 내용과 의미가 다르다. 소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는 양자가 같지만, 불교 심우도의 소는 인간 본성을 상징하고,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소는 증산이 펼치고 정산이 완성한 상생의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상징한다. 찾는 대상은 소지만, 그 소의 상징과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불교 심우도는 오염된 인간의 본성을 청정하게 회복하여 중생제도에 나서는 그림으로,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증산과 정산의 가르침을 찾아감에 따라 인간은 신선이 되고, 세상은 구제되어 지상천국으로 완성되는 그림으로 각각 설명된다. 불교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세상 구제를 위해 내딛는 수행자의 발걸음인 데 비해서,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인간과 세상의 구제와 완성을 동시에 성취함이라는 것은 두 그림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차이는 불교와 대순진리회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데에서 나타난 결과다.

멜로드라마, 그 근대적인 모럴의 형식 (Melodrama as a Form of the Moral)

  • 우수진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49-71
    • /
    • 2013
  • Melodrama emerged as a form of the moral in the early modern age. As an approach 'the moral' not only means that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but also refer to a principle of spiritual life and a way of life. -Melodrama theatricalizes a new vision of human life and society through a new type of the virtuous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This allows melodrama to be a dominant cultural form in this modern age, beyond the borders of the theater, mass-media, and literature. Virtue and sentiment/-ality are the core elements of melodrama, which differentiate it from tragedy and comedy especially in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drama. Actually virtue and sentiment/-ality have been a main target of criticism. Virtue has been regarded as a trite quality of the stereotypical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as a banal emotion which paralyzes an audience's recognition of reality. -However, this thesis regards both virtue and sentiment/-ality as vehicles for showing and sharing the morals of the modern age. First, the virtues of the protagonist included the general and universal ones of the bourgeois -at that times, the bourgeois represented themselves as a human being- such as the responsibility and obedience of a father, a mother, a wife, a husband, a daughter and a son. They also included the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ourage, honesty, and justice and so on. The fall or salvation of the protagonist is largely determined by his/her private individual virtue. Second, sentiment/ality is a theatrical device that makes the audience internalize the protagonist's virtue. The protagonist expresses his/her universal virtue sentimentally, and the audience also expresses their virtue by sympathizing with the protagonist's virtue sentimentally. However, the melodramatic protagonist as an individual, is not connected with society, but remains isolated. As a result, s/he has no influence on the society, where s/he can only ends her/his play alone with a happy-ending. S/he is happy alone, or at best happy with his/her own family. On the contrary to this, tragic protagonist usually fixes social disorder through his/her fall. In that sense, we can say that melodrama presents only the half of the human life.

영화의 의상과 분장에 나타난 색채와 상징성에 관한 연구 - 박찬욱의 복수극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박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 and Symbolism of Costume and Make-up Image Shown in Chan-Wook Park's Films - Forcing on the Series of the Revenge Movies , , -)

  • 김태미;최인려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1-16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ner symbolic meaning of the revenge movies, forcing on , , by producer Chan-Wook Park. This study was analyzed with theoretical frames of Greimas's and Lacan's desir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ain characters of these films were tangled each their with love, desire, angry, hate and revenge. They also had desires and needs of revenge caused by deficiency. These films represented blue as sorrow, depression, frigidness, loneliness and deficiency, red as love, desire, angry, hate and revenge, black as strong will, till-eat, death, violence and bloody-mindedness and white as forgiveness, expiation and salvation. The function of colors in conveying meaning was very effected to analyzing the visual power implications and psychological effects on human feelings that colors have in the movi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