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the Soteriology of the Film : Focusing on the 'The Human Complementation Project'

의 구원관 연구: '인류보완계획'을 중심으로

  • 이길용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ing the soteriology of the film 'The End of Evangelion'(1997). In many religions the human being is recognized as negative and defect existence, on this count human being needs the salvation. Therefor the word salvation implies the meaning of liberation or overcoming. On this point Christianity, Buddhism, and Islam are of one accord. The christianity sees the original sin as the human limits, and the buddhism points out the ignorance(無明, ajnana) of human being. The soteriology of the film 'The End of Evangelion' is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religions. For that the terminology of 'the Human Complementation Project' is used in film. In many religions the salvation is fulfilled in this world, in other words 'now' and 'here' are emphasized fot the accomplishment of the salvation. In this point the film 'the End of Evangelion' stands on the same road with the other religions.

이 글은 1997년도에 개봉된 <신세기 에반게리온 극장판: The End of Evangelion>에 나타난 구원관 연구를 주목적으로 한다. 구원을 이야기 할 때에는 지금 상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전제로 한다. 역사 종교들이라 할 수 있는 그리스도교, 불교, 이슬람 등도 예외는 아니다. 그들 역시 인간의 원죄를 이야기 하고, 또 인간의 어두움(無明)을 지적한다. 그러한 원죄와 무명이 인간을 보다 더 완벽한 경지로 가지 못하도록 한다고 본 것이다. <에바>의 구원관도 그런 구조적 특징을 공유한다. <에바>에서 구원을 요청하는 그룹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젤레>와 겐도, 그리고 신지 등은 각자의 희망에 따라 구원을 요청하고 실현하려 애쓴다. 하지만 이들 역시 인류 전체를, 혹은 개인을 결핍의 존재라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구원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원의 완성을 '지금', 그리고 '이곳'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 현세적 특징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점에서 <에바>의 구원관은 기존 종교들과 공유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이 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