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and that of Buddhism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 Cha Seon-keu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3.06.28
  • Accepted : 2023.09.15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Simwudo (尋牛圖), known as Ox Seeking Pictures, originated in the 11th-12th century and have consistently played a guiding role in the teachings of various religions in East Asia. Some Korean religions that emerged during modern times conveyed their teachings through depictions of ox seeking or herding. Among them, Daesoon Jinrihoe stands out as a representative religion. The belief system of this particular religion elucidates its distinct doctrine and worldview by reimagining Simwudo, into a new set of six panels (seven or nine panels in some variation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iffers from that of Buddhism, particularly in its treatment of meditation (禪), both in terms of context and significance. While they share similarities in the aspect of ox-seeking, the Buddhist Simwudo symbolizes human nature,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represents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propagated by Kang Jeungsan and brought into completion by Jo Jeongsan. In the Buddhist context, the subject of the search is the Ox, signifying the restoration of a deluded human's pure nature in order to achieve personal salvation and in some version of Simwudo, reenter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for ot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depicts the process of a human attaining immortality and following the teachings of Jeungsan and Jeongsan. This culminates in the final image which is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e final phase of the Buddhist Simwudo, depending on the version, is either enlightenment (personal salvation) or reentering society to perform salvific actions (as a bodhisattva), whereas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show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the perfection of humanity and the redemption of the world. This distinction highlight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Simwudo of these two distinctly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These differences arise from the contrasting purposes pursued by Buddhism and Daesoon Jinrihoe.

대략 11~12세기에 등장한 심우도는 동아시아에서 특정 종교의 가르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이후 등장한 한국의 종교들도 소를 찾거나 기르는 그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종교가 대순진리회다. 이 종교는 독창적인 6폭(또는 7폭, 9폭)의 심우도를 별도로 제작해 자신의 교리와 세계관을 설명한다.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선(禪) 수행의 과정을 담은 불교 심우도와는 그 내용과 의미가 다르다. 소를 찾는다는 측면에서는 양자가 같지만, 불교 심우도의 소는 인간 본성을 상징하고,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소는 증산이 펼치고 정산이 완성한 상생의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상징한다. 찾는 대상은 소지만, 그 소의 상징과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불교 심우도는 오염된 인간의 본성을 청정하게 회복하여 중생제도에 나서는 그림으로, 대순진리회 심우도는 증산과 정산의 가르침을 찾아감에 따라 인간은 신선이 되고, 세상은 구제되어 지상천국으로 완성되는 그림으로 각각 설명된다. 불교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세상 구제를 위해 내딛는 수행자의 발걸음인 데 비해서, 대순진리회 심우도의 최종 단계가 인간과 세상의 구제와 완성을 동시에 성취함이라는 것은 두 그림이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차이는 불교와 대순진리회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데에서 나타난 결과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3.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도전 훈시」, 미발행 자료.
  4. 대순진리회, 「도헌(道憲)」, 1985.
  5. 대순진리회 기획부, 「대순 연혁」, 내부 자료, 1988.
  6. 종단 대순진리회 포천수도장, 「종단 대순진리회 화보(소)」, 포천: 포천수도장 교무부, 2016.
  7. 태극도 본부, 「태극도 월보」 3, 1967.
  8. 태극도 본부 교화부, 「태극도 안내서」, 부산: 태극도 본부 교화부, 1966.
  9. 「明嘉興楞嚴寺方冊本大藏經」
  10. 「遺敎經論」
  11.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2003.
  12. 박소현.이정한, 「불가(佛家) 목우도(牧牛圖)와 유.도(儒.道) 십마도(十馬圖) 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2022. https://doi.org/10.14700/KITLA.2022.40.4.067
  13. 신명희, 「깨달음과 교화에 관한 소고(小考) : 십우도(十牛圖)의 입전수수(入纏垂手)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80, 2016. http://uci.or.kr/G704-001245.2016..80.004
  14. 신명희(정운),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34, 2018.
  15. 신현경, 「심우도(尋牛圖)의 분석과 포스트 모더니즘적 재해석」,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5, 1999.
  16. 양경곤, 「중국사회 속의 종교: 대륙을 움직인 숨겨진 얼굴」, 중국명저독회 옮김, 의왕: 글을 읽다, 2011.
  17. 오세권, 「'차용' 표현으로 본 불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우도(尋牛圖)'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60, 2020. https://doi.org/10.18555/kicpd.2020.60.08
  18. 윤원철.강은애, 「종교언어로서의 공안」, 「종교와 문화」 7, 2001.
  19. 이정섭, 「간화선 수행의 현대화를 위한 시론」, 「종교학연구」 28, 2009.
  20. 장순용, 「십우도」, 서울: 세계사, 2000.
  21. 차선근, 「조석(潮汐)의 이해」, 「상생의 길」 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4.
  22.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개벽과 지상선경」, 「신종교연구」 29, 2013. https://doi.org/10.22245/jkanr.2013.29.29.217
  23.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 (II): 15신위와 양위상제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241
  24. 차선근, 「숫자 3, 그리고 연원과 종통」, 「대순회보」 189, 2016.
  25. 차선근, 「신축년에 천지대도를 열으시고 上」, 「대순회보」 240, 2021.
  26. 차선근, 「선천에는 105염주, 후천에는 108염주」, 「대순회보」 264, 2023.
  27. 吳汝鈞, 「十牛圖頌所展示的禪的實踐與終極關懷」, 「中華佛學學報」 第4期, 1991.
  28. Daisetz Teitaro Suzuki, Essays In Zen Buddhism (first Series), London: Rider & Company, 1958.
  29. David Morgan, "Visual Narrative.",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2,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30. John E. Cort, "Image.",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14,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31. S. Brent Plate, "Material religion: An introduction," in S. Brent Plate, eds., Key Terms in Material Religion,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2015.
  32. William J. F. Keenan and Elisabeth Arweck, "Introduction: Material Varieties of Religious Expression," in Elisabeth Arweck and William Keenan, eds., Materializing Religion: Expression, Performance and Ritual, Aldershot, England; Burlington, VT: Ashgate, 2006.
  33. 《THE MET》 https://www.metmuseum.org
  34. 《대순진리회 포천수도장 홈페이지》 http://www.daesoo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