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price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9초

주택유통산업에서의 주택가격과 기대주택가격간의 관계분석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s and Expected Housing Prices in the Real Estate Industry)

  • 최차순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9-46
    • /
    • 2015
  • Purpose - In Korea, there has been a recent trend that shows housing prices have risen rapidly following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crisis. The rapid rise in housing prices is spreading recognition of this as a factor in housing price volatility. In addition, this raises the expectations of housing prices in the future. These expectation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current housing prices and expected housing prices in the real estate industry. By perform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validity of the claim that an increase in current housing prices can be correlated with expected housing pric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xpected housing prices and existing housing prices. If such a relationship exists, the recovery of equilibrium from disequilibrium is analyzed to derive related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housing prices and expected housing prices was analyzed empirically using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co-integration test, the long-term equilibrium equation among variables, and the causality test. The housing prices used in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National Housing Price Trend Survey released by Kookmin Bank. Additionally,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were also used and were obtained from the Bank of Korea ECOS. The monthly data analyzed were from January 1987 to May 2015. Results - First, a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s one co-integration between current housing price distribution and expected housing prices. Second, the sign of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variable wa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sign, with the elasticity of housing price distribution to expected housing price,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the consumer price volatility revealed as 1.600, 0.104,and 0.092,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the long-term effect of expected housing price volatility on housing price distribution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consumer price volatility. Third, the sign of the coefficient of the error correction term coincided with the theoretical sign. The absolut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the correction term in the industrial production equation was 0.006,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efficients for the expected housing price and the consumer price equation. In case of divergence from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the state of equilibrium will be restored through changes in the interest rate. Fourth, housing-price volatility was found to be causal to expected housing price, and was shown to be bi-directionally causal to industrial produc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relieve the association between current housing price distribution and expected housing price by using property taxes and the loan-to-value policy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 distribution and expected housing price can be examined and tested using a sophisticated methodology and policy variables.

주택구입능력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Affordability on Housing Prices Variation in Korea)

  • 정헌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13-118
    • /
    • 2023
  • 본 연구는 주택구입능력을 포함한 거시경제변수와 은행 대출 관련 변수들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총통화 증가율 및 주택구입부담지수 증가율은 전국 주택가격의 변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의 상승기와 하락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주택가격 상승 기간 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총통화 증가율은 전국, 서울 및 경기의 주택가격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주택가격 하락 기간 동안 GDP 성장률은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주택가격에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대출증가율도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주택가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반면에 주택담보대출증가율은 주택가격 상승기와는 달리 전국, 서울 및 경기의 주택가격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구입부담지수 증가율은 주택가격 상승기에는 주택가격에 대해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결정 변수들은 주택가격 상승기와 주택가격 하락기에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유행 시기 전후 주택유형에 따른 주택실거래가와 우울감 경험률 (Housing Transaction Prices and Depression Experience Rates According to Housing Typ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이강재;김윤영;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1호
    • /
    • pp.59-70
    • /
    • 2024
  • Objectives: This research analyzed and compared housing transaction prices and depression rates according to housing typ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Data on housing transaction prices and depression rates from 2018 to 2022 in 25 districts of Seoul, South Korea, were utilized. Dummy variables were employed to account for potential confounde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rates and housing transaction prices was examined through Ordinary Least Squares (OLS) and panel data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OLS and one-way random effects models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p<.05) and officetel (p<.001) transaction prices and depression. However, detached/semi-detached and row/townhouse transaction prices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as apartment and officetel transaction prices increased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depression rates also increased. Considering that changes in housing prices by housing type in South Korea may impact the mental health of local resident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healthy housing and housing prices as comprehensiv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금융위기 이후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과 주택가격의 동태적 관계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Loans of Depository Institutions and Housing Pric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 한규식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189-203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s in analyz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loans and housing pr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ory institutions after the financial crisis, identifying the recent trends between them, and making policy suggestions for stabilizing house pric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monthly data used in this study are household loans, household loan interest rates, and housing prices ranging from January 2012 to May 2020, and came from ECOS of the Bank of Korea and Liiv-on of Kookmin Bank. This study used vector auto-regression,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with the data so as to yield analysis results. Findings - The analysis of this study no more shows that the household loan interest rates in both deposit banks and non-bank deposit institu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housing prices. Also,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i-directional causality between housing prices and household loans in neither deposit banks nor non-bank deposit institutions. Rather,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housing prices to household loans in deposit banks, which is considered that housing prices have one-sided effects on household loans due to the overheated housing market after the financial crisi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s a result, Korea's housing market is closely related to deposit banks, and housing prices are acting as more dominant information variables than interest rates or loans under the long-term low interest rate trend.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housing prices, the housing supply must be continuously made so that everyone can enjoy housing services equally. In addition,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ocial security net should be realized systematically so as to stop households from being troubled with the housing price decline.

주택하부시장 특성을 고려한 신규 분양가와 입주후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between Sale Prices and Lotting Prices in New Multi-family Housing Considering Housing Sub-Market)

  • 최열;김형수;박명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523-531
    • /
    • 2008
  •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가격의 규제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격과 입주 시점의 매매가격의 차이 즉 프리미엄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은 기존의 주택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아파트의 층수가 고층이고 타워형 아파트인 경우에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형태도 더 많은 베이를 가진 아파트가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신규 아파트의 가격은 주거한 후에 평가되는 가격이 아니므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단지정보가 가격상승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녹지율과 아파트 세대수, 브랜드 및 도심지 접근성 등과 같은 변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기존의 중고 아파트에 대한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신규 아파트 중에서도 대단지의 규모를 가지며 건설업도급순위 상위에 위치하는 건설회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지역 건설 업체의 불리한 상황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넷째, 변수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파트 분양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종 선행연구들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으로 정부의 분양가격 규제정책을 지목하였는데, 분양가격의 규제로 인해 주택의 초기 분양가가 시장가격보다 낮게 책정되어 아파트 입주시에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하부시장 특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중고주택시장의 상승률, 제1선호구와 제2선호구, 아파트 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율 변동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est Rate Variability on Housing Prices)

  • 한명훈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3호
    • /
    • pp.71-80
    • /
    • 2022
  • 부동산 시장은 한 나라의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관련 산업의 성장을 통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자율의 변동은 자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주택가격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이자율의 변동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적인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택가격을 전국, 지방, 서울 주택가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2011년 1분기부터 2021년 4분기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DOL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자율은 전국 주택가격에 대해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자율의 하락은 전국 주택가격을 유의하게 상승시키고 이자율의 상승은 전국 주택가격을 유의하게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지수와 대출증가율도 전국 주택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높지 않았다. 둘째, 이자율은 전국 주택가격의 경우와는 달리 지방 주택가격에 음(-)의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에 소비자물가지수와 대출증가율은 전국 주택가격에 비해 지방 주택가격에 더 크고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자율은 서울 주택가격에 유일하게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전국과 지방 주택가격에 대한 영향보다 더 크고 더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결국 이자율이 한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율은 전국 주택가격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지방 주택가격에도 음(-)의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자율은 서울 주택가격에 가장 크고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시경제변수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과 서울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서로 다른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부동산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할 때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Effects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on Housing Prices in Seoul from an Accessibility Perspective

  • Sung, Minki;Ki, Jungh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29-544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A great deal of previous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valu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embedded in housing prices, by taking a large spatial area as the focus, such as the city or district level.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influence the formation of housing prices from an accessibility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embedded in the housing pric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the residents' neighbourhood and accessibility. Methods: To this end, this research used a spatial regression model with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housing price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model assessed the accessibility of cultural and educational facilities by considering geographic effects.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error model was found to be the best fit for multi-unit housing, while the spatial lag model was more appropriate for single-unit housing and apartments. Second,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and art museums had positive effects on single- and multi-unit housing prices, while historical sites had a negative effect. Finally,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positively influenced apartment prices, whereas public libraries and urban park areas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ccessibili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reflects residents' preferences and needs, which will ultimately influence housing prices.

은행 대출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nk Loans on Housing Prices in Korea)

  • 한명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83-89
    • /
    • 2022
  • 본 연구는 은행 대출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은행 대출을 은행 총대출금, 가계대출금, 부동산담보대출금으로 구분하였고, 주택가격을 전국, 지방, 서울 주택가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행 총대출금의 증가는 전국, 지방, 서울 주택가격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계대출금은 지방 주택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은행 대출이 지방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전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은행 대출이 지방 주택가격과 서울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플레이션과 은행 총대출은 1분기의 시차를 가지고 지방 주택가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단기금리는 1분기의 시차를 가지고 서울 주택가격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으로는 은행 대출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지방보다는 서울에 약 2배 정도 더 큰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토지 공급 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hinese Land Supply Policies on the Real Estate Market)

  • 유의박;이연재;신승우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225-237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and land prices, with a specific emphasis on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ies on these factors such as land supply quantity and the ratio of residential land to total land supplied. The goal i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both housing and land pric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Data from 70 primary and medium-sized cities in China spanning from 2003 to 2017 ar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analysis employs a panel vector autoregressive (PVAR) model, with a primary focus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housing prices, land price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policies. Findings - Housing and land price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Through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it is observed that both housing and land prices are predominantly influenced by their internal dynamics, with comparatively weaker effects attributed to policy intervent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ies on housing and land prices,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effective price control measures. Our study advocates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hina's land supply mechanism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athways through which government policies influence the markets.

서울시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Regional Housing Prices in Seoul)

  • 양혜선;서원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125-141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5대 권역을 대상으로 주택소비심리와 주택매매가격 간 시계열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소비심리 변동이 권역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그랜저인과(Granger Causality)모형과 VEC (Vector Error Correction)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소비심리는 주택가격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소비심리는 단기적으로 서울시 권역별 주택매매 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동남권 주택가격은 서울 주택소비심리 변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른 영향은 비동남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남권 이외 권역은 주택심리가 긍정적임에 따라 장기적으로 주택가격을 상승시키지만, 동남권은 보합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권역별 상대적 기여도의 경우 대체로 아파트가격 변동은 인접권역 또는 경쟁권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택소비심리와 서울시 권역별 주택가격이 상호 간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과 권역 간에도 차별적인 주택소비심리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