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el culinary staff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호텔 식음료 종사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근속연수와 성별의 조절효과 (Impact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Perceiving by Hotel F&B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n Staff's Career and Gender)

  • 변재우;고재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4-81
    • /
    • 2012
  • 본 연구는 특급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0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차원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종사원들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는 종사원들로 하여금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속연수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호텔주방의 HACCP 시스템적용 유무에 따른 조리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만족, 몰입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Job Stres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Cooking Employees in Hotel Kitchens with and without HACCP Systems)

  • 민경천;홍완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job stres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cooking employees working in hotel kitchens with and without HACCP systems. Methods: Culinary employees of 12 five-star hotels were surveyed and 504 valid data were used for SPSS analysis. Sub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factor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were examin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hotels that implemented the HACCP system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for the five sub factors of employee job stress (job demand, relationship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job autonomy, and job instability; p<0.001). For the sub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ternal and external satisfaction) statistic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in hotels that did not implement the HACCP system (p<0.001). Job attachment and job importance, which are sub factors of job commitment, showed no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and job responsibility showed a higher p-value in hotels that did not implement HACCP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ulinary employees working at venues with HACCP systems have more job related stress, lower job satisfaction and partially less job commitment. Based on this outcome, venues that have already implemented or are planning to implement HACCP systems should consider the implications regarding their management of employees. Managerial policies that enhance autonomy, job stability, achievement, self-development, promotion, and compensation should also be implemented. Finally, meticulous attention and high investments into the work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are necessary.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급호텔 조리사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cused on Deluxe Hotel Culinary Staff)

  • 유지용;박지수;박기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4-208
    • /
    • 2013
  • 본 연구는 특급호텔 조리사가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모형을 도출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해 가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245개의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a를 이용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사용 하였으며, 본 연구 모델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ver. 18.0 통계패키지를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여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p< 0.01)와 개별적 배려(p<0.1)만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계수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상사의 지적자극만이 조리사의 직무성과에 영향(p<0.0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통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변혁적 리더십의 증가를 위한 시스템적 지원과 동기적측면의 지속적인 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 PDF

청소년의 패스트푸드 메뉴 선택 속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enagers' Selection Attribute and Satisfaction of Fast Food Menu)

  • 제갈윤희;홍기운;류경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20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패스트푸드 메뉴의 선택 속성 및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경남 창원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 중 306부의 유효한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친 후 SPSS 12.0을 활용하였다.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에 8개, 2사분면에 6개, 3사분면에 5개, 4사분면에 8개의 변수가 포함되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총 5개의 요인(분위기, 음식, 종사원, 편안함, 보상)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중 '음식' 요인만이 패스트푸드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속도로 휴게소의 메뉴전략을 위한 외식서비스실태연구 (A Study on Foodservice Operation for a Menu Strategy in Expressway Rest Areas)

  • 배영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
    • /
    • 2012
  • 고속도로 휴게소의 메뉴전략을 위한 실증적 재조명을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 직원들과 이용객 대상으로 외식서비스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 휴게소의 주된 외식 메뉴는 평균 10-30개 정도의 한식이 가장 많았고, 브랜드업체의 입점 필요성은 퓨전/패스트푸드업체, 스낵/즉석식품, 음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휴게소 외식조리에서 전문조리사 참여비율은 10-30%이고, 주로 한식으로서 조리 시 중요시하는 음식속성은 주로 '맛'이었다. 외국인 고객은 한식, 음료. 일식/중식보다 퓨전패스트, 스낵/즉석식품을 더 선호하고 관심을 보였으며, 주문 시 질문을 '전혀 안한다(55.5%)'와 '가끔 한다(34.8%)'로 답해 질문없이 구매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휴게소에서는 외국인의 메뉴 이해를 위해 메뉴의 80-100% 정도를 사진/그림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나 메뉴의 외국어 표기 정확도는 매우 낮았다. 휴게소 이용객들은 고속도로 이용 시 평균이용횟수 1-2회, 평균 체류시간 10-20분(43.6%), 20-30분(38.6%)이고, 주된 교통수단은 자가용(77.7%)이며, 휴게소 방문 이유는 휴식/화장실 이용(61.1%)이 가장 높았다. 많이 이용하는 외식분야는 한식(32.7%)과 즉석/스낵(33.0%)이고, 1회 평균 지출은 5천원-1만원(51.3%), 3천원-5천원(25.8%)이었다. 또한 만족도는 성별, 연령, 교육정도와 직업에 무관하게 "보통"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로 보아 고속도로 휴게소는 문제점을 분석 후 고객만족을 위한 메뉴전략과 대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 PDF

패스트푸드 전문점 이용객의 라이프스타일과 동기, 속성만족과의 인과관계 - 강원도 영동권 대학생들 위주로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life-style and motivation, satisfaction of attributes at fast-food restaurant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eastern area of Kangwon Province)

  • 윤태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67-876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life-style and motivation of eating-out, and 2) to research the causal nexus between motivation of eating-out and satisfaction of attributes to choose the restaurant.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SEM) were adapted by Windows SPSS 10.0 and Amos 4.0. Life-style was divided into 7 factors and eating-out motivation into 5. Life-style influenced significantly each motivation of eating-out.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eption and congratulation', 'Change of dietary life', 'Economic saving', "'Preference motivation', and 'Advertisement and companion's need', but negative influence on 'Reception and congratulation', 'Change of dietary life', and 'Preference motivation'. Customer's motivation of eating-out also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attributes. Factorl 'Reception and congratul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all attributes except for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distance to the shop'. Factor 2 'Change of dietary life' had negative influence on 'Food's taste, quantity, price', 'Sanitation and cleanness', and 'Staff's service quality' Factor 3 "Economic saving' had positive influence on 'Food's taste, quantity, price'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distance to the shop'. factors 'Advertisement and companion's need' had positive influence on 'Atmosphere of restaurant' and negative influence on 'Food's taste, quantity, price'.

급식 서비스 만족도가 구전에 미치는 영향 -경기 지역 유료 실버 타운을 중심으로- (Silver Town Satisfaction with Food Service Effect on Word of Mouth - With Charged Silver Town in Gyeonggido Area -)

  • 신미경;김하윤;김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9-16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ood servic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in three charged silver towns in Gyeonggido. Food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silver town residents' included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For this study, 210 silver town residents were surveyed; however, 16 of these resident did not complete the survey. Therefore, the results of 194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ll results were conducted using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procedure of SPSS 12.0.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ilver town feeding service included food service, food feeding, emotional,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citizens. Among these, food service, food feeding, emotion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was affected by word of mouth.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f the food service is well-arranged by hiring professional worker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while considering the needs of senior citizens, feeding servi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f the feeding service is focused on providing better service with more trained and educated staff members so that the clients perceive that they receive more personalized care and differentiated concern, it would be possible to enhance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continuously and to induce potential customers' residence in the silver town.

패밀리 레스토랑 주방 종사원의 직장 내 따돌림 지각이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tchen Employee in Family Restaurant)

  • 나태균;전인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7-4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종사원의 인적서비스 의존도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지각 정도가 직무 태도인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패밀리 레스토랑의 주방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25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50부 중 9부를 제외한 총 241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내 따돌림 지각요인의 군집별 직무 만족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 따돌림, 인간적 따돌림과 심리적 괴롭힘의 지각이 낮은 군집이 높은 군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직무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따돌림, 인간적 따돌림과 심리적 괴롭힘의 지각이 높은 군집이 낮은 군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요인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식산업 총사원의 직장내 집단 따돌림 지각 요인이 직무 만족 요인에 전체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산업 주방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지각 요인이 이직 의도 요인에 전체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들의 식품 위생 및 안전 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taurant Workers' Knowledge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 어금희;함문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8-281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패밀리 레스토랑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식품 위생과 식품 안전 지식 수준을 2008년 10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조사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149부(회수율 82.8%)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정기 교육 이수는 79.9%, 정기 교육 이수의 경우 국내 기업 직원 76.7%, 국외 기업 82.9%로 조사되었다. 식품 위생 및 식품 안전 영역별 전체평균 점수는 식중독과 식품은 3.95점/5점, 개인 위생은 2.37점/3점, 식품 위생 및 환경위생은 6.41점/9점, 식품 안전은 1.86점/3점으로 전체 평균은 14.03점/20점(71.5점/100점)으로 나타났다. 전체점수 비교에서는 국내 기업이 13.74점/20점, 국외 기업이 14.3점/20점으로 국외 기업이 높게 나타났는데, 국내 기업과 국외 기업 비교 시 식중독과 식품 영역이 주방 직원과 홀 직원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기 교육 이수자그룹이 네 영역 모두 높은 점수를 보여 정기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지식 수준에서 낮은 정답율을 보인 항목으로 '위험 온도 범주', '세균의 증식', '해동 방법', '냉각 방법', '온도 관리'로 시간-온도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으로 본 차이검증에서는 소속, 학력, 직장 경력(현재, 전체), 정기 교육 수혜 여부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특히 정기 교육 수혜에서는 교육 이수자 그룹이 네 영역 보두 높은 점수를 보여 정기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 PDF

간호자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구취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Nursing Staff on Halitosis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in a Long-term Care Facility)

  • 박경애;최스미;박명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7권3호
    • /
    • pp.243-25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or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 providers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long-term care fac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long-term care facility located in K metropolitan cit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Fifty-four nursing home residen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assigned either to the intervention group (n=27) or the control group (n=24).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oral health care from the care providers' intervention group, who provided oral health care for 6 weeks after 6 weeks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ontrol group and intervention group at the baseline 6 and 12 weeks after oral care education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6.0. The halitosis was low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t 12 weeks (P<0.01). Body mass index of the intervention group at 12 weeks was higher than that at 6 weeks. Iron intake of the intervention group at 12 weeks was lower than that at baseline. At baseline, the intakes of riboflavin, folate, and potassium were lower than 75%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In conclusion, an or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 provider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ral hygiene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dietary plans are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