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extracts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5초

Assessment of Antioxidant and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s as well as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Properties of Different Extracts of Pleurotus citrinopileatus Fruiting Bodies

  • Alam, Nuhu;Yoon, Ki-Nam;Lee, Kyung-Rim;Kim, Hye-Young;Shin, Pyung-Gyun;Cheong, Jong-Chun;Yoo, Young-Bok;Shim, Mi-Ja;Lee, Min-Woong;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12-19
    • /
    • 2011
  • Cellular damage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has been implicated in several diseases, thus establishing a significant role for antioxidants in maintaining human health. Acetone,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Pleurotus citrinopileatu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beta}$-carotene-linoleic acid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reducing power, ferrous ion-chelating abil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In 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also analyzed. Methanol and acetone extracts of P. citrinopileatus showed stronger inhibition of ${\beta}$-carotene-linoleic acid compared to the hot water extract. Methanol extract (8 mg/mL) showed a significantly high reducing power of 2.92 compared to the other extracts. The hot water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acetone and methanole extracts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The strongest chelating effect (92.72%) was obtained with 1.0 mg/mL of acetone extract.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detected eight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naringenin, hesperetin, formononetin, and biochanin-A, in an acetonitrile and hydrochloric acid (5 : 1) solvent extract.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acetone,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ruiting bodies of P. citrinopileatus can potentially be used as a read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생약복합물 용매추출물과 조다당획분의 생리활성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olvent Extracted from Herbal Medicine Mixture)

  • 신현영;김훈;신지영;이수정;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6-46
    • /
    • 2021
  • After ethanol (BM-E and RW-E) and hot-water (BM-HW and RW-HW) extracts were fractionated from two herbal mixtures (BM and RW),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ll extracts consisted of more than 50% of neutral sugar, with their total polyphenol levels higher than flavonoid level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OH extracts remained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hot-water extracts, and in particular, RW-E showed consiste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BM-E. When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by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t 10~500 μg/mL non-cytotoxicity doses, BM-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NF-α, IL-1β, IL-6, and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y than those of hot-water extracts and RW-E. Murine peritoneal macrophage cells were shown to be enhanced in crude polysaccharides (BM-CP and RW-CP fractionated from BM-HW and RW-HW) compared to hot-water extracts and polysaccharide K (PSK, positive control). Especially, RW-CP exhibited higher activity than BM-CP, and component sugar analysis showed that BM-CP mainly contained galacturonic acid, glucose, arabinose, galactose, and xylose (34.5%, 33.9%, 16.1%, 7.1%, and 6.3%, respectively), whereas RW-CP showed different measurements (29.5%, 59.2%, 5.0%, 4.5%, and 0.2%). In conclusion, two herbal mixtures could contain varying sets of physiological activities dependent on different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methods.

복령균핵,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F.A. Wolf) Ryvarden & Gilb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안기홍;조재한;김옥태;이찬중;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3
    • /
    • 2020
  • 복령 발달단계인 균사체(mycelium), 균핵(sclerot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한 열수(hot-water), 70% 주정(70% EtOH) 및 70% 메탄올(70% MeOH) 용매별 생리활성 성분과 발달단계별 건조시료의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단계별 시료 중에서 균사체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균핵과 자실체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별 결과, 균사체의 경우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균핵은 70% 주정추출물(70% EtOH)에서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자실체는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 균핵 및 자실체 건조시료 중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균핵에서 균사체와 자실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자실체와 균사체에서 균핵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중 알기닌(Arg)과 페닐알라닌(Phe)이 높게 검출되었다.

주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와 Tyrosinase, Xanthine Oxidase, ACE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 권상철;전태욱;박정섭;곽준수;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191-1196
    • /
    • 2012
  • 주박 추출물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tyrosinase와 xanthine oxidase, ACE, 아질산염 소거능을 실험하였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85% 이상이었다. 아질산염의 경우에는 pH 4.2과 pH 6.0보다 pH 1.2가 높았으며, pH 1.2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90% 이상의 소거능을 가지고 있었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매우 낮았고,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에 의해 차이가 없었다. 주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각각 약 43~53%와 36~47%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주박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yrosinase저해, ACE 저해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박은 화장품 원료로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알코올 분해능 (Antioxidant and Alcohol Degrada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cer tegmentosum Maxim.)

  • 최준혁;이소희;박윤희;이성규;정영태;이인선;박준홍;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78-383
    • /
    • 2013
  • 벌나무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in vitro 및 in vivo에서의 알코올 분해능을 검토하였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1.93{\pm}2.2{\mu}g/mg$, $152.69{\pm}1.25{\mu}g/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1{\pm}1.34{\mu}g/mg$, $5.01{\pm}0.83{\mu}g/mg$이었고, FRAP값은 각각 $1.75{\pm}0.32{\mu}M/{\mu}g$, $1.67{\pm}0.28{\mu}M/{\mu}g$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벌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알코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고, 또한 알코올을 투여한 rat에서 벌나무 추출물을 투여하면 알코올 투여 30분이 경과한 후 알코올 투여군보다 혈중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따라서 벌나무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알코올 분해 작용 및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Screening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Paulownia coreana Bark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an Edible Oil

  • Lee, Nam Gull;Jeong, Kap Seop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7-1325
    • /
    • 2013
  • Paulownia coreana is a medicinal, edible and industrial plant with the largest leaf, and is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reducing power activitie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SAs),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NSAs)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SAs by solvent extraction of P. coreana bark by using $50^{\circ}C$ hot water and $25^{\circ}C$ methano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 coreana bark extract on corn seed oil was evaluated using the Rancimat test. The extraction yields on dry weight basis with 15 folds of hot water and methanol were 23.88% and 5.30%, respectively; further the flavonoid content in the hot water extract was over 2.5 times more than that in the methanol extract. The DPPH RSA of the methanol extract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whereas the NSA of the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thanol extract at pH 1.2. The ABTS RSAs of the two extracts were almost the same as that of ascorbic acid and 2,6-ditertiarybutyl hydroxytoluene. The two extracts of P. coreana bark in this study were found to slightly improve the oxidation stability of corn seed oil.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한 소비실태 조사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Purchasing Realities of Consumers for Onion Hot-Water Extracts)

  • 김수렴;김창순;오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5-405
    • /
    • 2009
  •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정도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설문조사에 참여한 소비자는 총 433명이었으며 여자가 53.3%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40대(35.1%)가 가장 많았다. 양파열수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대부분(84.5%)이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효능에 대한 인식정도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문항이 가장 높았고,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다', '고혈압 개선 효과가 있다',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특정기능 강화회복에 좋다', '항산화 효과가 있다', '다이어트에 좋다'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는 여자가(p<0.001), 학력이 대졸 이상일수록(p<0.05) 양파음료의 효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2. 소비자들은 주로 '중탕업소'(67.3%)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을 구매하였으며 '가족.친지 권유'에 의해 양파열수추출물 구매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는 응답(47.4%)이 많았다. 1회에 '$1{\sim}3$개월' 분량을 구입한다는 응답(51.8%)과 구입 시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33.1%)이 가장 많았다. 구매 시에는 '건강성'을 가장 고려하였고, 그 다음이 '맛과 향'이었으며, 가장 선호하는 포장용기는 '파우치팩'(60.3%)였고, '개봉하기 쉽고 마시기 편리하며 안전한 것'(42.0%)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다수(37.2%)가 양파열수추출물을 섭취하지 않고 있었고, 남자는 19.3%, 여자는 52.8%가 전혀 마시지 않는다고 하여 남녀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20대와 30대는 각각 69.7%, 42.9%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기피하는 경항을 보였다. 소득이 낮을수록 섭취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고, 소득이 높을수록 섭취비율이 증가하였다. 양파열수추출물 섭취빈도는 1주일에 $2{\sim}3$회 정도가 23.3%로 가장 많았고, 1회 섭취분량은 '70 mL'가 가장 많았고, 섭취시간은 '시간에 상관없이 섭취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3. 양파열수추출물의 만족도 조사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다소 만족을 하고 있으나, 향미와 색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효능 광고에 대해 '조금 신뢰한다'(72.5%)는 의견이 많았으며, 확대되고 있는 양파열수추출물 판매시장에 대해 '유사제품이 많아 선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맛과 향에 대한 개선요구가 우선순위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열수추출물의 구체적 효능에 대한 인식정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잘 인식하고 있지만 양파열수추출물을 섭취하지 않는 응답자중 여자의 비율이 남자보다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양파열수추출물의 강한 향미의 뒷맛이 여성들이 섭취를 기피하게 된 이유가 아닌가 생각된다. 결과에서 양파열수추출물의 향미증진 요구가 높았고, 구매 시에는 건강성뿐만 아니라 맛과 향을 고려하고 있어 소비자의 관능적 기호성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서 생리적 효능이 나타날 수 있는 양파열수추출물의 적정 하루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차별화된 양파열수추출물 제품개발에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범위가 경남지역 거주자에 국한된 것과 비 섭취자의 수가 많았던 한계점이 있어 향후 양파열수추출물에 대해서 보다 일반화 시킬 수 있는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복분자(Rubus coreanum F.)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 조영제;천성숙;권효정;김정환;윤소정;이경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90-796
    • /
    • 2005
  • 복분자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 활성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1.4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60\%$에서 41.3 mg/g으로 높았다.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ABTS가 $60\%$ 에탄을 추출물에서 99.8$\%$, 열수추출물에서 $99.3\%$로 나타났으며, PF는 1.3, 1.2, DPPH가 $93.3\%$, $91.1\%$, TBARS가$ 0.03(\times\;100\mu M),\;0.04(\times\;100\mu M)$로 나타났다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는 XOase 활성억제 효과와 pancreatin $\alpha$-amylase 활성억제효과가 열수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ACE 활성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과과 $60\%$ 에탄올 추출물이 같은 활성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복분자 추출물로부터 생리활성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페놀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4가지 페놀화합물인 protocatecuic acid, caffeic acid, courmaric acid, rosemarinic acid를 선정하여 HPLC로 분석해 본 결과 $60\%$ 에탄을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protocatecuic acid가 12.5 mg/g, 10 mg/g으로 4가지 페놀화합물 가운데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는 천연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띠미로 버섯 추출물의 항암효과

  • 양규호;양정희;류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8-182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particutarly focusing on the antitumor effects of extracts obtained from mushroom,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Hep $G_{2}$, cell, L 929 cell and Sarcoma-180. Antitumor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showed at the highest level of 70% when adi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1.5 mg/100 ml, however Hep $G_{2}$, cell inhibited 40%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hot water extracts. Antitumor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indicated at the highest level of 60% when 4 mg/ml was administerated. Antitumor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Daedalea dickinsii inhibited 51.03% against L929 cell. The solid tumor sarcoma-180 growth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 of Deadalea dickinsii inhibited 45.67% when ad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60mg/kg, and the life prolongation was higher 30.88% than that control group.

  • PDF

Evaluation of Secondary Acid and Enzymatic Hydrolysis of Hemicellulose in Hot Water Pre-Pulping Extract of Mixed Hardwoods

  • Um, B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123-132
    • /
    • 2012
  • Pre-pulping extracts were found to contain a dilute amount of xylo-oligosaccharides and acetic acid as the major components, and many minor components including other organic acids, lignin-derived phenolics, and sugar degradation products. Once separated from the pulp, a secondary hydrolysis step was required to hydrolyze oligomeric hemicellulose sugars into monomeric sugars before fermentation. The following study detailed the extent of hemicellulose recovery by pre-pulping using hot water extraction and characterized the hydrolysis of the extract with respect to comparing acid and enzymatic hydrolysis. The secondaryhydrolysis of hot water extracts made at an H-Factor of 800 was tested for a variety of acid and enzyme loading levels using the sulfuric acid and xylanases. The maximum fermentable sugar yield from acid and enzyme hydrolysis of the extract was 18.7 g/${\ell}$ and 17.7 g/${\ell}$ representing 84.6% and 80.1% of the maximum possible yield,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