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5초

수비전(壽脾煎)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에 관한 연구 (Antidepressant effect of the extracts of Subi-jeon, a Korean medicinal prescription)

  • 한윤승;이상택;심상민;김근우;;;;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1-183
    • /
    • 2005
  • Objective : The Korean famous medicinal prescription of Subi-jeon was investigated for their antidepressant effects by tail suspension test, hot plate test, reserpine-induced hypothermia test. In addition, the monoamine oxidase activity was determined in vivo. Methods : The methanol extract reduced dose-dependently the duration of immobility in the tail suspension test, by 31.4 and 34%(p<0.05) at doses of 500mg/kg and 1g/kg,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omparison with this,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was very weak. Results : 1. In the hot plate test, the methanol extract potently increased the jump latency time(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xhibiting the inhibition rate of 197% and 256% at doses of 500mg/kg and 1g/kg(per os), respectively,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water extract. 2. Both extracts suppressed the fall of body temperature induced by reserpine(reserpine-induced hypothermia) in a dose-dependent manner, showing the less effect at lower doses and better effect at higher doses compared to the water extract. 3. Both extracts inhibited the brain monoamine oxidase activity in an in vivo assa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methanol extract. Conclusion : The prescription of Subi-jeon can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 PDF

수산물 및 수산 발효식품의 암세포 억제효과 (Anticancer Effect of Extracts from the Marine and Salted Fish Products.)

  • 임현수;김수현;유은정;강동수;최명락;송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53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ytotoxic effect of the various salted fish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using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ethod. Urechis unicinctus was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among any other traditional salted fish produ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Urechis unicinctus hot-water extracts was 94.5%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alted fish methanol extracts, salt-fermented shad gizzard wa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salt-fermented shad gizzard methanol extracts was investigated 90%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 PDF

가자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단백질 섬유의 염색과 항균효과 (Dyeing Proper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tein Fiber Using Terminalia chebula Retzius Extract)

  • 남기연;이정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6-48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eing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bility of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Terminalia chebula Retzius(TCR) extract using two extraction solvent, hot water and methanol. Dyeing properties of fabrics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ant, changes in dye uptake under different dyeing conditions, and by investigating color change when mordants were applied. Also, color fastnes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dyed fabrics were estimated. Regardless of extraction solvent type, colorant showed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at 280 nm and 578 nm, which implied that tannin was the major pigment component of TCR. Also, through FT-IR spectrum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annin of TCR methanol extract was hydrolysable tannin. But for the hot water extract, it was only assumed that its tannin was condenced tannin. Fabric dyed with hot water solvent extract showed higher dye uptake than fabric dyed with methanol solvent extract, dye uptake increasing by higher concentration of the dye, longer dyeing time and higher dyeing temperature. And the absorption curve between TCR extract and protein fiber was shaped in the form of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Fabric dyed without mordant was yellow in color, and when dyed with mordant, fabric showed various colors depending on mordant types except Sn. Color fastness to washing was generally fine and color fastness to light was moderate. But color fastness to rubbing and dry cleaning was outstanding. Lastly, dyed fabrics showed very good antimicrobial activity of 99.9%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Kiebsiella pneumoniae.

녹차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Component of Green Tea Extracts)

  • 여생규;염동민;이동호;안철우;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7-292
    • /
    • 1994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as one of biological actions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exhibited remarkable nitrite-scavenging action. Among the green tea extracts, steamed green tea showed high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roasted green tea. Nitrite-savenging actions of gren tea extracts were hardly influenced until three times extraction with hot water. Furthermore , the nitirte-scavenging action of green tea extracts showed ph dependent ,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 6.0. The nitrite -scavenging rate in sample extracts /amine /nitrite systems exhibited faster than that in amine/nitrite systems. In order to screen the nitirte-scavenging factors, samples extracts were fractionated with methanol. in both samples, methanol-soluble fractions possessed great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methanol-insoluble fraction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of methanol-soluble fractions increased with proportion to absorbance at 420nm and at 280nm, while that of green tea extracts increased with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absorbance at 280nm.

  • PDF

흑도라지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lack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 이수진;방우석;홍주연;권오준;신승렬;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0-517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일반 도라지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흑도라지는 도라지를 $60^{\circ}C$ 항온기에서 15일간 증숙한 후 $30^{\circ}C$ dry oven에서 3시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이 28.38 mg/g으로 가장 높았다. 흑도라지가 생도라지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메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흑도라지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2000{\mu}g/mL$의 농도까지는 흑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이 소거능이 좋았으나, $8000{\mu}g/mL$의 농도에서는 흑도라지 열수 추출물이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라지 추출물의 항균활성 결과는 균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흑도라지 열수 추출물이 일반 세균 2종을 포함하여, 기관지염 관련 미생물 3종에서도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흑도라지는 생도라지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입버섯의 추출 용매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of Cryptoporus volvatus)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6-143
    • /
    • 2019
  • 국내 자생하는 한입버섯의 생리활성 및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열수 및 70% 에탄올, 7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NO 생성률 및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입버섯의 열수추출물과 70% 메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70%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6.1%), 아질산염 소거능(29.5%), 총 폴리페놀 함량(9.17 mg GAE/g)이 가장 높았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NO 생성률은 70%에탄올 추출물이 37.8%로 가장 낮아 NO 저해효능이 우수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81.4%로 열수추출물이 가장 높아 열수추출에 의한 세포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37.8%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야생버섯 중의 하나인 한입 버섯이 건강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 가능성이 큰 버섯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차의 형태로 우려 마실 경우 여러 질병들에 대한 예방학적 차원에서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상황버섯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효과 (Chemic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baumii)

  • 손미예;서권일;최선영;성낙주;이상원;박석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4-529
    • /
    • 2006
  • 상황버섯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황버섯의 화학성분과 그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의 총 무기질 함량은 534.3 mg%였으며, K는 224 mg%로 가장 높았고, 총당과 환원당은 각각 56.2%와 9.8%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16.9{\sim}765.5mg%$범위였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phenyl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serine 및 valine이었는데, 그 중에서 phenylalanine의 함량이 765.5 mg%로 가장 높았다. 상황버섯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33.3 mg/100 mL와 20.7 mg/100 mL로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H_2O_2$ 소거효과는 methanol 추출물 10 ${\mu}g/mL$에서 30분간 반응하였을 때 80%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tocopherol 83.1%와 비슷하였다.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낮은 pH에서 높았으며, pH 1.2에서 물과 methanol추출물 500 mg/mL은 각각 57.3%와 51.8%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상황버섯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H_2O_2$와 아질산염 소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령균핵,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F.A. Wolf) Ryvarden & Gilb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안기홍;조재한;김옥태;이찬중;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3
    • /
    • 2020
  • 복령 발달단계인 균사체(mycelium), 균핵(sclerot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한 열수(hot-water), 70% 주정(70% EtOH) 및 70% 메탄올(70% MeOH) 용매별 생리활성 성분과 발달단계별 건조시료의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단계별 시료 중에서 균사체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균핵과 자실체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별 결과, 균사체의 경우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균핵은 70% 주정추출물(70% EtOH)에서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자실체는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 균핵 및 자실체 건조시료 중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균핵에서 균사체와 자실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자실체와 균사체에서 균핵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중 알기닌(Arg)과 페닐알라닌(Phe)이 높게 검출되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on extraction solvent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8-7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페놀성물질 및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아로니아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 추출 및 50%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열수 및 50% 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당 함량은 35.56~37.68 g/100 g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50% 메탄올 추출물이 395.10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0%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각각 318.61 mg/100 g과 252.82 mg/100 g이었다. 50% 메탄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조성은cyanidin-3-O-galactoside, cyanidin-3-O-arabinoside 및 cyanidin-3-O-glucoside순이었으며, 100 g당 각각 364.65 mg, 163.06 mg 및 35.69 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21.38 mg/g 및 122.43 mg/g으로 열수추출물 80.14 mg/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ORAC은 열수 추출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15.66{\mu}M/g$, $768.15{\mu}M/g$$780.77{\mu}M/g$로 나타나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조건의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7.96~70.01% 및 8.90~69.2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는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57.14{\sim}817.87{\mu}M$이었고 50% 메탄올 추출물이 $67.32{\sim}812.78{\mu}M$로 나타나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의 농도에서 23.03~33.82%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에 암세포생육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6.58~76.86%로 유의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방법이 아로니아의 생리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뇌경색유발(腦梗塞誘發) 흰쥐의 국소뇌혈류량(局所腦血流量)과 뇌부종(腦浮腫)에 대한 이진탕(二陳湯)의 수(水) 및 메탄올추출엑스의 효과(效果) (Effect of Ijintang - hot water & methanol extracts -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cerebral edema in MCA occlusioned rats)

  • 윤상협;민병일;류재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67
    • /
    • 1996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new drug against cerebral infarction, we chose Ijintang which is frequently applied in the field of Jung Pung of traditional medicine. From this formula,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were prepared respectively.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water extract medicated group, methanol extract treated group. water extract was given 195mg/kg orally and methanol extract, 165mg/kg for 2 weeks in case of cerebral edema and 1 month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the drug medicated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s compared gith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erebral edema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it is suggested that oral medication of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from Ijintang have no effect on the change of rCBF and edema after acutely induced cerebral infarcti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modification of administra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new animal model for traditional medicine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