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queous extrac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Identification of Anticoagulant Components in Korean Red Ginseng

  • Wee, Jae-Joon;Kim, Young-Sook;Kyung, Jong-Soo;Song, Yong-Bum;Do, Jae-Ho;Kim, Dong-Chung;Lee, Sung-D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55-362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coagulant compounds in Korean red ginseng (KRG) were investigated. KRG powder was extracted using hot methanol, and the m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by solvent partitioning. The remains from the methanol extraction were further extracted with water and then dialyzed to obtain low and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The anticoagulant activities of the seven fraction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rombin time, prothrombin time,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mong these fractions,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most potent anticoagulant activity. The active components in the ethylacetate fraction were identified as the phenolic compounds vanillic, caffeic, ferulic, and p-coumaric acid via TLC and HPLC.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nticoagulant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contribute to the cardiovascular effects of KRG.

Anthelmintic and Analgesic Activities of Trachyspermum Khasianum H. Wolff

  • Sutnga, Innocent;Marbaniang, Balari;Hazarika, Gautom;Goswami, Priyanka;Choudhury, Ananta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0-236
    • /
    • 2020
  • Objectives: Trachyspermum khasianum H. Wolff is a rare medicinal plant characteristically used by the traditional healers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throat-pain, toothache, and stomach ache.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nthelmintic and analgesic properties of the aerial parts of Trachyspermum khasianum H. Wolff (Family: Apiaceae). The aqueous and ethanol extract of T. khasianum H. Wolff was prepared and subjected for evaluation to determine the possible therapeutic effects. Methods: Anthelmint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determined by observing the time taken to paralyze and the time taken for the death of earthworms (Eisenia foetida) as compared to the standard drug-Albendazole (20 mg/ml) and control. Analgesic potential of the extracts was evaluated using Eddy's hot plate method to understand the analgesic activity in rats (Wistar rats) at 100 mg/kg and 200 mg/kg body weight doses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reference (Diclofenac sodium: 10 mg/kg of animals). Results: The extracts showed a significant dose-dependent anthelmintic effect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10, 20, and 40) mg/ml, compared to that of the standard drug (20 mg/ml). Also,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lant extracts possess significantly analgesic activity in rats. Conclusion: The studies indicate that Trachyspermum khasianum shows anthelmintic and potent analgesic activiti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specific phytoconstituents responsible for both analgesic and anthelmintic activities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식용 해조류에서 항산화 물질의 분리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 박재한;강규찬;백상봉;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6-261
    • /
    • 1991
  • 본 실험은 동해 주문진 해안에 생육하는 12가지의 식용 해조류에서 새로운 천연 항산화물질을 분리하고자 여러 용매로 추출,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활성측정(AOM법, DPPH법), UV-spectrophotometer 측정, HPLC, GC/MS 분석 등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12가지의 식용 해조류를 hot-methanol로 추출하여 AOM법으로 활성측정한 결과 김>미역, BHT>다시마>넓미역>지누아리>서실 눈으로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해조류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클로로포름 추출액과 메탄올 추출 혼합액을 석유 에테르,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등의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 색소제거, 농축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queous-methanol 가용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추출분획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때 김>미역>다시마>BHA>파래>Tocopherol>넓미역>BHT의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특히 김, 미역, 다시마, 파래는 같은 양에서 BHA, BHT보다 높거나 대등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활성물질의 회수율은 1.82%였다. 이들이 극성 용매에서 분리된 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극성을 띤 물질로 보여진다. 또한 이들 활성분획 각각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에서 분리된 물질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분리 정제된 항산화성 물질의 UV 흡수특성을 측정한 결과 BHA나 BHT의 흡수파장 보다 단파장인 $235{\pm}5\;nm,\;270{\pm}5\;nm$에서 극대흡수(${\lambda}_{max}$)의 이동을 보였는데, 이는 활성물질 분자에 전기음성도가 비교적 큰 분자가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분석에서는 다시마, 미역, 파래의 경우 retention time이 8.5분, 10분인 극성물질이 분리되었고, 김에서는 25분인 대체로 비극성에 가까운 물질이 분리되었다. 이것이 BHA, BHT와 거의 같은 RT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물질로 해석 되어진다. 분리된 항산화성 물질의 분자량은 GC/MS 분석으로 얻은 mass spectrum을 해석한 결과 181, 238의 두 가지 물질로 비교적 작은 안정한 항산화성 물질로 사료되어 진다.

  • PDF

Antiviral activity of Herba Patrinea (a Chinese medicinal herb) agains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vitro

  • Li, Hong-Yuan;Li, Shan-Shan;Liu, Dian-Li;Dong, Yan-Mei;Tian, Wen-Ji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2호
    • /
    • pp.106-110
    • /
    • 2003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has long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cause of sever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out the world. Unfortunately, no effective treatment of RSV exists. Therefore, New agents are needed to reduce the impact of RSV. We have studied the anti-viral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idicinal herbs for over ten years and find Herba Patrinea (a Chinese medicinal herb) has the anti-RSV effect in vitro. In this study, the Herba Patrinea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condensed and sterilized. The cytotoxicity of the aqueous extract was tested by adding the diluted extract directly to HeLa cells and its effect on anti-RSV was estimated by the CPEI assay. As a result, the median cytotoxic concentration $(CC_{50})$ of Herba Patrinea was 32 mg/ ml by morphological observation, the median effective concentration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of the Herba Patrinea against replication of the Long strain of RSV in HeLa cells were 1.25 mg/ml. The selectivity index $(SI=CC_{50}/EC{50})$ is 25.6. Moreover, Herba Patrinea gave a dose-dependent response in inhibiting RSV. In time of addition experiment, Herba Patrinea inhibited replication of RSV in HeLa cells when it was added at 0h, 2h, and 4h after virus infection.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erba Patrinea may be a novel anti-RSV drug and it is worthy of further studying.

홍삼 수용성 추출물이 PC12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on PC12 Cell Death Induced by Serum Deprivation)

  • 이상현;윤용갑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Korea Red Ginseng aqueous extract (KRGE) on serum-deprived apoptosis of neuronal-like pheochromocytoma PC12 cells and to investigate its underlying action mechanism. Methods : KRGE was prepared by extracting Korea Red Ginseng with hot water and concentrating using a vacuum evaporator.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after incubation of cells with KRGE or chemical inhibitor in serum-deprived medium for 60 h by counting intact nuclei following lysing of the cell membrane. Caspase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chromogenic substrates and signal-associated protein phosphorylation and cytochrome c release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es using their specific antibodies. Results : Serum deprivation induced PC12 cell death, which was accompanied by typical morphological features of apoptotic cell, such as nuclear fragmentation, caspase-3 activation, and cytochrome c release. This apoptotic cell dea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KRGE and caspase-3 inhibitor, but not by the addition of NMA, ODQ, and PD98059. KRGE promoted phosphorylation of Akt and Bad, and this phosphorylation was inhibited by the PI3K inhibitor LY92004. In addition, this inhibitor also reversed KRGE-mediated protection of PC 12 cells from serum depriv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RGE protects PC12 cells from serum deprivation-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activation of PI3K/Akt-dependent Bad phosphorylation and cytochrome c release, resulting in caspase-3 activation. Conclusions : KRGE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drug for brain diseases including stroke induced by apoptosis of neuronal cells.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Neuronal Cell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mmercial Buckwheat Tea)

  • 정창호;정희록;최성길;심기환;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8-3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및 MDA 생성 저해 실험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또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의한 ROS 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H_2O_2$ 단독 처리구보다 메밀차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낮은 ROS 축적량을 나타내었다. MTT 및 LDH 분석을 통한 PC12 세포 중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MTT 분석에서는 시판 메밀차 열수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고, LDH 분석에서는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세포질 효소 (LDH) 방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rutin 및 quercitrin의 함량은 각각 9,608.10 mg/g, 13.42 및 0.90 mg/100 g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rutin 및 quercitrin과 같은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시판 메밀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등을 예방 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산균 및 홍국균 발효 꽃송이버섯 추출물과 잔사의 식이섬유와 베타 글루칸의 함량 (Dietary Fiber and β-Glucan Contents of Sparassis crispa Frui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Monascus pilosus)

  • 임창완;강경규;유영복;김병희;배송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40-17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와 ${\beta}$-glucan이 풍부한 꽃송이버섯을 발효한 후 추출하여 이들 성분의 함량을 보다 증가시킨 추출물과 잔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열풍 건조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분말을 유산균(L. brevis)과 홍국균(M. pilosus)으로 각각 발효한 후 열수와 수용성 에탄올(50, 70, 90%, v/v)로 추출하여 추출물과 잔사를 제조하고 이들의 수용성, 불용성 및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을 버섯원물의 추출물과 잔사의 각 성분의 함량과 비교하였다. 홍국균 발효 버섯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74.4 g/100 g으로 버섯원물(64.4 g/100 g)과 유산균 발효 버섯(66.1 g/100 g)의 총 식이섬유 함량에 비해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버섯원물, 유산균 발효 버섯, 홍국균 발효 버섯의 ${\beta}$-glucan 함량(21.9~24.4 g/100 g)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추출물의 경우, 홍국균 발효 버섯의 열수 추출물에서 총 식이섬유(21.6 g/100 g)와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19.3 g/100 g)이 가장 높았으며 버섯 원물의 열수 추출물의 총 식이섬유(16.4 g/100 g)와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14.6 g/100 g)보다도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홍국균 발효 버섯을 열수 추출하고 남은 잔사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90.5 g/100 g이었고 이들의 대부분이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beta}$-glucan 함량은 버섯 원물이나 홍국균 발효 버섯보다 높은 31.0 g/100 g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홍국균 발효 꽃송이버섯의 열수 추출물과 잔사는 각각 액상과 분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및 가공식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 추출공정별 추출물의 대식세포 활성화에 대한 효과 (Effects of the Extracts by Extraction Procedures from Hericium erinaceus on Activation of Macrophage)

  • 김성필;최용희;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85-291
    • /
    • 2005
  • 다양한 추출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노루궁뎅이버섯의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분획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NO 생산능은 2시간 열수추출한 분획과 60 W에서 50% 에탄올로 3분간 microwave로 추출한 분획이 높았고, 활성산소종(ROS)에 대한 소거활성은 2시간 또는 3시간 열수추출한 분획과 60W에서 50% 에탄올로 3분간 microwave로 추출한 분획 및 0.5% HCl로 추출한 분획에서 높게 나타났다. 50% 에탄올 추출에 있어서 60W, 80W 및 120W에서 3분간 microwave로 추출한 분획들이 RAW264.7 세포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포식활성을 크게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특히 5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60W에서 3분간 microwave로 추출한 분획은 NO 생산, ROS 소거 및 C. albicans에 대한 포식활성의 전반적인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이 사실은 노루궁뎅이버섯에 있어서 60 W에서 3분간 microwave에 의한 50% 에탄올 추출조건이 함유된 다당류가 관련된 대식세포 활성화 성분의 농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단백다당류가 활성성분으로서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적정 조성추출물 및 그 발효물이 알콜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Medicinal Herb Extracts and Aqueous Fermented Extracts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김미연;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9-265
    • /
    • 2009
  •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 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22%인데 비하여 추출발효액은 -62.63%정도 ADH저해활성이 높았으며, ALDH활성은 추출물에서는 173.20%이었으며, 추출발효액은 280.17%로 ALDH활성이 추출액보다 약 1.6배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 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 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도된 당뇨모델동물에서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당뇨 질환 개선 효능 (Anti-diabetic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model)

  • 안나영;김지은;황대연;류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394-402
    • /
    • 2014
  •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당뇨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분리하여 항산화능과 당뇨질환 개선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농도는 DLW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DLE, DSW, DSE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DPPH 소거능은 DLW가 대부분의 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LE는 $500{\m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DPPH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능이 우수한 DLW와 DLE를 선정하여 STZ로 유도된 당뇨모델동물에 2주간 투여하여 항당뇨 효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은 STZ/vehicle 처리군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STZ/DLW와 STZ/DLE 처리군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혈당량은 STZ/vehicle 처리군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STZ/DLW 처리군과 STZ/DLE 처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혈청 내 인슐린의 농도는 STZ/vehicle 처리군에 비하여 STZ/DLW와 STZ/DLE 처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STZ/DEL-200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변화는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와 면역염색의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더불어, 뇨당 농도는 STZ/vehicle 처리군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오직 STZ/DLW-200 처리군과 STZ/DLE-200 처리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나무의 잎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효능과 베타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으로서 당뇨질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200 mg/kg의 농도가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임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