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and vertical roo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전산화단층사진상을 이용한 하악관의 위치 및 하악골의 피질골 두께에 관한 연구 (A Computerized Tomographic Study on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Cortical Thickness of the Mandible)

  • 하쌍용;송남규;고광준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217-230
    • /
    • 1997
  •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cortical thickness of the mandible is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dentistr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wenty chosen dry mandibles, which were of adults and included fully erupted premolars and mol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cortical thickness of the mandible on computed tomograms and to aid in the surgical treatment plan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buccal external border was 6.6±0.9mm on Somesial root of the first molar), and it was increased posteriorly. The horiwntal distance between the mandibular canal and the lingual external border was 4.1±1.lmm on S/sub 0/, and it was decreased posteriorly. 2.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alveolar crest and the mandibular canal was 16.9±1.6mm on S/sub 0/, and it was decreased posteriorly.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inferior border of mandible and the mandibular canal was 8.8±1.3mm on S/sub 0/, and it was increased anteriorly and posteriorly. 3. The thickness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was 2.2±0.4mm on S/sub 0/. and it was increased posteriorly. But, that of the lingual cortical plate was 2.0±0.6mm on S/sub 0/ and it was decreased posteriorly. 4. The area of the buccal cortical plate was 66.5±1.0mm² on S/sub 0/. and it was increased posteriorly. But, that of the lingual cortical plate was 65.8±0.9mm² on S/sub 0/ and it was decreased posteriorly.

  • PDF

Discrepancy of the location of depression on the soft tissue and the bone in isolated zygomatic arch fracture

  • Yong Jig Lee;Dong Gil Han;Se Hun Kim;Jeong Su Shim;Sung-Eun Kim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23
    • /
    • 2023
  • Background: When performing reduction of zygomatic arch fractures, locating the inward portion of the fracture can be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ocations of the depression on the soft tissue and bone and sought to identify how to determine the inward portion of the fracture on the patient's face.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chart with isolated zygomatic arch fractures of type V in the Nam and Jung classification from March 2013 to February 2022. For consistent measurements, a reference point (RP), at the intersection betwee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end point of the root of the ear helix in the patient's side-view photograph and a transverse line passing through the longest horizontal axis of the external meatus opening, was established. We then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RP and the soft tissue depression in a portrait and the bone depression on a computed tomography (CT) scan. The discrepancy between these distances was quantified. Results: Among the patients with isolated zygomatic arch fractures, only those with a fully visible ear on a side-view photograph were included. Twenty-four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re were four types of discrepancies in the location of the soft tissue depression compared to the bone depression: type I, forward and upward discrepancy (7.45 and 3.28 mm), type II, backward and upward (4.29 and 4.21 mm), type III, forward and downward (10.06 and 5.15 mm), and type IV, backward and downward (2.61 and 3.27 mm).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discrepancy between the locations of the depressions on the soft tissue and bone exists in various directions. Therefore, applying the transverse and vertical distances measured from a bone image of the CT scan onto the patient's face at the indicated RP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the reduction location.

하악(下顎) 소구치(小臼齒) 맹출양장(萌出樣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PREMOLARS)

  • 김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0
    • /
    • 1980
  • The author observed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premolars. For this study the author took 406 cases of oblique cephalographs of 6 to 12 year old children. The measurement were with regard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al changes and tooth axis changes to the occlusal plan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t stage V the tooth axis of 1st premolar inclined mesially to the occlusal plane, as the tooth erupt toward vertically the angulation changed that at stage X the tooth axis almost right angle to the occlusal plane. 2. The distance from the root apex of premolars to the lower border of mandible were slightly increased to the stage VII, while after stage VII rapid increasing appeared. At stage X the distance of 1st premolar was more longer than 2nd premolar. 3. The distance from the mesial surface of 1st molar to the mesial surface of premolars were decreased slightly to the stage VII, but this distances were decreased rapidly after stage VII. 4. The distance between distal surface of 1st premolar and mesial surface of 2nd premolar was almost constant before stage VIII, at stage IX this distance was little presented because the premolars were contacted.

  • PDF

지구기준계 실현을 위한 142개 IGS 관측소 정밀좌표 및 속도 결정 (Determination of Precise Coordinates and Velocities of 142 International GNSS Service Stations to Realize Terrestrial Reference System)

  • 백정호;정성욱;신영홍;조정호;박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3-310
    • /
    • 2009
  • 지구기준계 실현을 위해 최적망 구성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선택된 142개의 IGS 관측소를 선정하고 7년간 GPS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정된 기준좌표와 속도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지구기준좌표계와 ITRF2005와의 변환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관측소에서의 좌표와 속도를 비교하였다. 산출한 변환매개변수는 최대 4.3mm 이내에 분포하였고, 좌표와 속도 차의 RMS(root mean square)는 수평성분이 6.7mm와 1.3mm/yr, 수직성분이 13.3mm와 2.4mm/yr로서 ITRF2005와 잘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측지기준계 결정을 위한 자체기술개발에 의의를 가지며 판구조운동 연구와 같은 전지구 관측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자료처리 전략 개발과 더불어 관측소의 개수와 관측기간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지구기준좌표계가 결정될 것이다.

시화호 내 위성류(Tamarix chinensis) 개체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amarix chinensis Population in Shiwha Lake)

  • 민병미;이동훈;이혜원;최종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327-333
    • /
    • 2005
  • 시화호 내 형성된 위성류 자연 군락의 개체군 특성을 밝히기 위해 매목의 크기, 공간분포 및 뿌리의 생장형태를 국내 최초로 조사하였다. 위성류 군락은 남북으로 약 350 m, 동서로 270 m 범위에 형성되어 있었다. 동일한 뿌리로부터 발생한 줄기는 평균 1.9개이었는데 지면에서 갈라진 줄기를 각각의 개체로 간주하였을 때(줄기 기준) 살아있는 개체는 총 1,398개체이었으며 고사한 것은 114개체로 총 1,512개체가 조사되었다. 지면으로부터 20 cm높이에서의 평균둘레는 $5.9{\pm}3.2$ cm, 평균높이는 $159{\pm}51$ cm이었다. 개체의 둘레 크기를 10계급으로 구분한 결과 두번째로 작은 계급의 개체수 가장 많았으며 크기가 증가할수록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높이 크기를 10계급으로 구분한 결과는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를 나타냈다. 고사한 개체는 둘레 크기에는 작은 계급에 속하였으나 높이의 크기에서는 상위 2계급만 제외하고 전 계급에 분포하였다. 동일한 지하부를 갖고 있는 개체를 하나로 간주하였을 경우(뿌리 기준) 20 cm 높이에 서의 면적을 10계급으로 구분한 결과 가장 작은 크기의 개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83.8%), 크기가 증가할수록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위성류 매목은 군락의 중심에 집중분포를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남북 방향이 동서방향보다 더욱 심한 집중분포의 경향을 보였다. 가장 큰 매목의 수령은 8년이었다. 위성류 뿌리의 생장형태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지표면 근처에서 수평 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수직 방향으로 생장하고 있었다.

3차원 유한요소법적 분석을 이용한 5종의첨형 임플랜트에 발생하는 응력의 비교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FIVE DIFFERENT TAPER DESIGN IMPLANT SYSTEMS)

  • 변상기;박원희;이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84-593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 Dental implant which has been developed gradually through many experiments and clinical applications is presently used to various dental prosthetic treatments. To conduct a successful function of implant prosthesis in oral cavity for a long time, it is important that not only structure materials must have the biocompatibility, but also the prosthesis must be designed for the stress, which is occurred in occlusion, to scatter adequately of load suppor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give the consideration about the stress analysis of supporting tissues for higher successful rates. Purpose : Recently, many implant manufacturing company produce various taper design of root form implant, the fixture is often selected. However, the stress analysis of taper form fixture still requires more studies. Material and method : This study we make the element models that five implant fixture; Branemark system(Nobel Biocare, Gothenberg, Sweden), Camlog system(Altatec, Germany), Astra system(Astra Tech, Sweden), 3i system(Implant Innovations Inc, USA), Avana system(Osstem, Korea) were placed in the area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and prosthesis fabricated, which we compared with stress distribution using the three-dimension finite element analysis under two loading condition. Results : This study compares the aspect of stress distribution of each system with the standard of Von mises stress, among many result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so that this research gets the following results. 1. In all implant system, oblique loading of maximum Von mises stress of implant, alveolar bone and crown is higher than vertical loading of those. 2. Regardless of loading conditions and type of system, cortical bone which contacts with implant fixture top area has high stress, and cancellous bone has a little stress. under the vertical loading, maximum Von mises stress is more higher in order of Branemark, Camlog, Astra, 3i, Avana. under the horizontal loading, maximum Von mises is more higher in order of Camlog, Branemark, Astra, 3i, Avana.

토양(土壤) 산성화(酸性化) 정도(程度)에 따른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의 뿌리 발달(發達)과 분지형태(分枝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Root Development end Branching farms of Norway Spruce(Picea abies) in the Differently Acidified Forest Soil)

  • 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58-464
    • /
    • 2001
  • 본 연구는 토양 산성화 정도가 서로 다른 독일가문비나무 임분에서 토양 깊이에 따른 뿌리의 나이테 발달과 분지형태를 분석함으로서, 임분에 따른 뿌리발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된 독일가문비나무 임분에서 뿌리분지구조는 변형된 뿌리와 변형되지 않은 뿌리에 대한 조사임분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가장 많이 산성화된 Weidenbrunnen 임분에서는 뿌리가 상해를 입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포크형, 권총형, 쇠스랑형과 같은 비정상적인 분지구조가 많이 나타났다. 뿌리의 나이테 분석 결과, 수평뿌리의 연평균 길이생장은 Weidenbrunnen 임분과 Barbis 임분이 6.3cm, Eberg$\ddot{o}$tzen 임분이 9.5cm의 길이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수직뿌리의 연평균 길이생장은 Weidenbrunnen 임분이 4.4cm Barbis 임분이 5.4cm, 그리고 Eberg$\ddot{o}$tzen 임분이 6.7cm의 생장을 보였다. 80cm 토양 깊이에서의 뿌리 횡단면 분포는 Eberg$\ddot{o}$tzen 임분이 굵은 뿌리와 가는 뿌리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횡단면의 합계는 $32.6cm^2$ 이었다. Barbis 임분에서는 굵은 뿌리가 가운데 몰려서 분포하고, 가는 뿌리는 비교적 적게 나타났으며, 그 합계는 $29.2cm^2$이었다. Weidenbrunnen 임분에서는 적은 수의 가는 뿌리만 분포하고 그 값은 $10.9cm^2$에 불과하였다. 뿌리고정계수는 Eberg$\ddot{o}$tzen 임분이 1.04로 다른 두 임분 Barbis(0.3), Weidenbrunnen (0.08)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조사 독일가문비나무 임분 중에서 Weidenbrunnen 임분에서 나타난 비정상적인 형태의 변형된 분지구조와 뿌리의 저조한 생장은 토양산 성화 등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뿌리가 생장의 장애를 받아 나타난 결과 때문이라 사료된다.

  • PDF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벡터화의 3차원 위치정확도 분석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ing Accuracy of Vectorization Using UAV-Photogrammetry)

  • 이재원;김두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25-533
    • /
    • 2019
  •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지도제작의 지형·지물 묘사 방법에는 벡터화와 수치도화 방법이 있다. 벡터화 방법은 정사영상에서 평면위치를 추출하고,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 혹은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에서 높이 값을 취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벡터화 성과의 정확도는 대부분 검사점만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어 지상시설물과 건물 등 3차원 지물의 위치정확도 판단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검사점 뿐만 아니라 지형·지물의 Layer별 모서리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여 벡터화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취득 및 수치지도제작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촬영은 DJI사 Phantom 4 pro로 비행고도 90m에서 GSD (Ground Sample Distance) 3.6cm의 영상을 취득하였다. 연구 결과, 벡터화에 의한 묘사의 정확도는 현장측량 성과와 비교하여 검사점의 잔차를 분석한 결과 평면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0.045m로 나타나 정사영상을 이용한 1/1,000 축척의 수치지형(평면)현황도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전주, 옹벽 및 건물 등 Layer별 모서리 좌표를 기준자료와 비교하여 3차원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RMSE가 평면 0.068~0.162m, 표고 0.090~1.840m로 나타났다. 따라서 벡터화로 취득한 3차원 성과의 표고위치에서 오차가 크게 발생하여 벡터화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취득 및 1/1,000 수치지도제작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수치도화 프로그램 StereoCAD를 이용한 무인 항공영상의 묘사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Feature Collection Method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Using Stereo Plotting Program StereoCAD)

  • 이재원;김두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257-264
    • /
    • 2020
  • 현재 무인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지도제작의 지형·지물 묘사는 주로 벡터화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벡터화는 평면과 표고 위치를 별도로 취득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치표면모델에서 표고값을 추출 할 때 과대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3차원 공간정보를 동시에 취득가능한 수치도화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고가의 도화장비가 필요하고 무인항공영상의 수치도화 기술이 불완전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시스템으로 수치도화가 가능한 Menci사의 StereoCAD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의 묘사정확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무인항공영상의 취득은 Phantom4 pro에 FC 6310 카메라를 탑재하여 비행고도 90 m에서 GSD (Ground Sample Distance) 3 cm로 촬영하였다. 정확도 분석은 검사점과 점·선·면형 레이어별 모서리에 대한 지상측량결과와 도화결과의 3차원 좌표의 차이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검사점의 RMSE는 평면 0.048 m, 표고 0.078 m이고, 레이어별 RMSE는 평면이 0.104~0.127 m, 표고는 0.086~0.092 m로 나타나 무인항공영상의 입체도화로 1:1,000 수치지형도 제작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CT 이미지를 사용한 Micro-implants 식립을 위한 매부학적 연구 (An Anatomical Study using CT Images for the Implantation of Micro-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35-441
    • /
    • 2002
  • 교정치료의 고정원으로서 수술용 Microscrew가 소개되고 사용되어 왔다. 몇몇 임상가들은 Miniscrew혹은 Microscrew를 치근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치근 하방의 기저골에 식립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저자는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없이 치근사이의 치조골에 식립하여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렇게 하므로서 치근하방에 식립할때 생기는 문제점인 수직 분력이 커지고 수평 분력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악의 경우 적절한 후상방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치조골에 상악의 경우 치아 장축에 대하여 30-40도의 각도로, 하악의 경우 10-20도의 각도로 식립하여 교정력의 방향을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바꾸고 긴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의 위험성을 줄이며 식립하여 안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Mciro-implant를 치근사이 치조골에 식립하는데 기준이 되는 어떠한 연구도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Micro-implant식립에 기준이 되는 즉 치근 손상 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부위의 선택을 위한 근거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1명 환자를 대상으로 치조골로부터 5-7mm에 해당하는 CT 절단면을 선택하여 피질골의 두께, 피질골 표면과 치근과의 거리,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피질골의 두께, 골 표면과 치근사이의 거리, 인접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구하였다. .피질골의 두께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이행할수록 두꺼웠다. 특히 하악골 구치부에서 가장 두꺼웠다. 인접 치근 사이의 거리 계측 항목에서 상악에서는 제2소구치와 제 1대구치사이,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