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solids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28초

안양천 바닥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른 하천수 오염영향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ttom Sediments of the Anyang River and the Influence on the Stream Water Contamination)

  • 문지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205-215
    • /
    • 2000
  • The Anyang River runs through highly industrialized area and joins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loading out large amounts of potential pollutants. Attempts were made to understand geochemical behavior of trace elements in the stream sedimens collected from the bottom of the river and the stream water. Bottom sediments, suspended solids and stream water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or the chemical and mineralogical composition. Heavy metals including Cr, Zn, Ni, and Co in the sediments were enriched appeared to reflect anthropogenic input. Pb, Cu, As were also enriched between several to 10 times , compared to background levels. Although some heavy metals were derived from anthropogeic input, geochemical associations seem to implyh much of the elements are originated from natural sources as well, mainly from granitic rocks . This is also supported by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the suspended solids, which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feldspar and mica. Most of the elements are associated with total carbon and clay sized fractions, with high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 Most of the elements are associated with total carbon and clay sized fractions , with high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 It was noteworthy that Hg was detected between 2 and 4 ppb in the stream water.

  • PDF

균질 처리가 막걸리 고형분의 현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mogenization on Suspension Stability of Makgeolli)

  • 신제영;강창수;최한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33-41
    • /
    • 2021
  • The effect of homogenization treatment on the suspension stability of makgeolli was evaluated. The non-soluble solids of makgeolli that were not homogenized were precipitated at 1.0-68 mm after 10 minutes of standing and 2.0-70.5 mm after 30 minutes of standing. On the other hand, in the makgeolli homogenized with a blender for more than 20 seconds, no precipitated non-soluble solids were observed during the initial 10 minutes, and when it was left still for 30 minutes, it showed precipitation of 2.0 mm (control 58.0 mm). The makgeolli treated with a high-pressure homogenizer did not show any sedimentation until 30 minutes of standing.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high-pressure homogenized makgeolli had a score of 3.93, whereas non-treated had a score of 2.80, which was improved by 40% by homogenization.

고체 물질의 고온 처리 공정에 관한 에너지 평가 연구 (Energy Evaluation Studies on Pyroprocessing of Solids)

  • 하대승;최상민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4년도 제49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305-307
    • /
    • 2014
  • Pyroprocessing (or pyrometallurgy) is the way of extracting from material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s. Generally, this process has a high energy consumption because of mass production and heating-up. To attain effective and efficient energy management, energetic analysis using 0-dimensional model is usually conducted. However, this model can lead to a misunderstanding about energy evaluation due to many assumptions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heat & mass balance using 0-dimensional model was reviewed to systematize problems and considerations in general process energy evaluation.

  • PDF

서부경남지역 음용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고찰 (The Study of Water Characteristics of Drinking Underground Water in the West Gyeong-Nam)

  • 박현건;정윤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2-197
    • /
    • 2014
  • 본 연구는 2007년 01월부터 2010년 07월까지 서부 경남 내륙지역 및 해안지역의 음용 지하수 1,525건에 대한 지역별 부적합율, 항목별 수질특성,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등의 수질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 부적합율을 조사한 결과 지하수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부적합율은 내륙지역이 18.2%, 해안지역이 24.5%로 나타났으며, 2가지 이상의 항목이 동시에 불합격한 비율도 내륙과 해안지역이 각각 38.9%, 51.6%로 나타났다. 항목별 수질현황을 조사한 결과 내륙지역 및 해안지역의 부적합 항목 중 총대장균군이 23.8%, 26.6%, 일반세균이 16.1%, 16.0%으로 미생물 항목이 음용부적합 항목의 39.9%, 42.6%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탁도의 경우 내륙 및 해안지역이 12.6%, 11.7%로 나타났고, 알루미늄은 11.9%, 11.7% 등으로 나타났다. 내륙지역의 경우 경도는 증발잔류물과 0.910, 황산이온과 0.819의 상관계수를 보였고, 증발잔류물과 보론이 0.600으로 상관계수를 보였다. 해안지역의 경우 경도와 증발잔류물의 상관계수가 0.919로 나타났으며, 염소이온과는 0.829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lon Surface Color and Texture Analysis for Estimation of Soluble Solids Content and Firmness

  • Suh, Sang-Ryong;Lee, Kyeong-Hwan;Yu, Seung-Hwa;Shin, Hwa-Sun;Choi, Young-Soo;Yoo, Soo-Nam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4호
    • /
    • pp.252-257
    • /
    • 2012
  • Purpose: The net rind pattern and color of melon surface are important for a high market value of melon fruits. The development of the net and color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shape, size, and maturing. Therefore, the net and color characteristics can be used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melon qualit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stimating melon soluble solids content (SSC) and firmness by analyzing the net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fruit surface. Methods: The true color images of melon surface obtained at fruit equator were analyzed with 18 color features and 9 texture features.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was used to estimate SSC and firmness in melons using their color and texture features. Results: In sensing melon SSC,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validation (${R_v}^2$) of the prediction models using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were 0.84 (root mean square error of validation, RMSEV: 1.92 $^{\circ}Brix$) and 0.96 (RMSEV: 0.60 $^{\circ}Brix$), respectively. The ${R_v}^2$ values of the models for predicting melon firmness using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were 0.64 (RMSEV: 4.62 N) and 0.79 (RMSEV: 2.99 N), respectively. Conclusions: In general, the texture features were more useful for estimating melon internal quality than the color features. However, to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the color and texture features of melon surface for estimation of melon quality, additional experiments with more fruit samples need to be conducted.

洛東江 河口域에 出現하는 黃록色 水色帶의 特性에 關한 硏究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ish-Green-Colored Water-Zone in the Nakdong Estuary)

  • 박영관;오윤근;박청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36
    • /
    • 1985
  • 洛東江 河口 一部 海域에서 觀察되는 黃綠色 水色帶의 發生原因과 性狀을 糾明하기 위하여 1984年 2月, 5月, 8月과 10月의 四次에 걸쳐 洛東江 河口의 10個 定點에서 水質調査를 實施하였다. 洛東江 河口 海域에 出現하는 黃綠色水色帶를 形成하는 것은 高 濃度의 浮遊物質로써, 그 中 平均 52%가 有機物에 該當하는 揮發性 浮遊物質로 構成되어 있다. 클로로필 a의 濃度는 黃綠色 水色帶 內部海域에서 平均 11.3mg/$m^3$이며, 最高 51.0mg/$m^3$으로써 周邊海域 및 他 海域에 比하여 매우 높은 濃度를 보이며, 溶存酸素는 過飽和 狀態이다. 營養鹽類 濃度도 黃綠色 水色帶 內部 海域이 外海側 海域보다 높고, 營養鹽類 濃度와 클로로필 a量과는 良好한 正의 直線的 相關關係를 나타낸다. 洛東江 河口 海域에 出現하는 黃綠色 水色帶는 洛東江에서 排出되는 土砂의 混濁뿐만 아니라 營養鹽類가 풍부한 洛東江 河川水의 影響으로 大量 繁殖한 植物性 플랑크톤의 發生으로 因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오디 생산을 위한 뽕나무 계통별 과실 특성 평가 (Evaluation of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ulberry Breeding Lines for Fruit Production)

  • 김현복;성규병;강석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24-227
    • /
    • 2005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대성뽕'외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 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루당 10kg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수성뽕', '청노상', '수원노상', '절곡조생(충북)' 4계통을 다수성 계통으로 선발하였다. 또한 단과중이 3.5g 이상인 대과형 계통과 17 Brix $\%$ 이상인 고당도 계통을 각각 5계통, 4계통 선발하였다. 공시계통 중 '절곡조생(충북)'은 단과중이 4.5g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강선'은 19.6 Brix $\%$으로 당도 함량이 가장 높았다. 2. 수량, 단과중 및 당도 값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오디 생산용 우량 계통으로서 '절곡조생(충북)', '팔청시평', '강선', '수원노상', '죽천조생', '수성뽕', '당상7호', '장소상' 8계통을 선발하였다.

Efficiency of a hybrid solid digestion-denitrification column in suspended solid and nitrate removal from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Pungrasmi, Wiboonluk;Chaisri, Ratchadaporn;Malaphol, Ekachai;Powtongsook, Sorawit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75-180
    • /
    • 2015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olid and nitrate removal efficiency in a solid digestion-denitrification column. The 20 L up-flow column consisted of 18 L acrylic column with 2 L down-comer inlet tube located in the middle. In the first part, the wastewater with high suspended solids from the Tilapia fish tank was applied into the sedimentation unit at 5 variable flow rates i.e., 11.25, 25.71, 60, 105.88 and 360 L/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ow rate of 11.25 L/h (0.57 m/h) gave the highest solid removal efficiency of $72.72%{\pm}8.24%$. However, the total suspended solids removal was highest at 360 L/h (18.13 m/h). In the second part, methanol was added as an external organic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process in a hybrid column containing settled solids. The COD:N ratios of 0.5:1, 1:1, 2:1, 3:1, 4:1, 5:1 and 6:1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control without methanol addition. This experiment was operated at the HRT of 1 h with 450 L wastewater from recirculating aquaculture pond containing 100 mg-N/L sodium nitra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D:N ratio of 3:1 gave the highest nitrate removal efficiency of $33.32%{\pm}21.18%$ with the denitrification rate of 5,102.88 mg-N/day.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 김현복;성규병;홍인표;남학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1
    • /
    • 2004
  •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전조생' 등 숙기가 이른 계통은 5월 27일부터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휘카스' 등 수확시기가 늦은 만생종 계통은 6월 10일경부터 수확하여 6월 21일까지 오디를 수확하였다. 2. 계통에 따라 1∼6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가능 기간도 2주∼3주 계통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일뽕', '목상', '장소상', '수성뽕' 등의 오디는 2주 정도 수확이 가능한 반면, '사천금', '덕천상'의 오디는 3주 동안 수확이 가능하였다. 3. 그루당 10kg 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2002년에는 '수성뽕', '휘카스', 청노상', '목상', 절곡조생(충북)' 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수성뽕', '자산', '화조십문자', '청노상', '죽천조생 ', '수원노상', 강선', '절곡조생(충북)' 8계통을 선발하였다.

서해 EEZ 해역에서 바다모래 채굴에 민감한 해양수질인자들 (Changes in The Sensitive Chemical Parameters of the Seawater in EEZ, Yellow Sea during and after the Sand Mining Operation)

  • 양재삼;정용훈;지광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1호
    • /
    • pp.1-14
    • /
    • 2008
  • 서해 중부에 위치한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다모래 채굴로 인한 해양수질의 장단기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8회에 걸쳐 사방 약 30 km의 장방형 해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종합적인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전체 대상 해역을 바다모래가 실제 채굴되는 구역과 잠재적인 영향 구역, 그리고 비교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pH, ORP, 수온, 염분 등과 같은 기본적인 항목과 함께 부유물질(SS), 영양염(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움염, 인산염)과 엽록소-a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광역 정점 조사와 함께 바다모래가 채굴되는 선박에 근접하여 실제 부유물질 등이 확산되는 경로를 따라 표층, 중층, 저층에서 관측하는 집중 조사도 수행하였다. 광역 조사의 결과, 바다모래 채굴로 인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엽록소-a, ORP로 나타났다. 또한 채굴선박에 인접하여 발생한 현탁류를 따라 집중 조사한 결과, 주변해역의 평균농도보다 큰범위가 부유물질은 표층과 저층에서 남북방향으로 폭 8 km, 동서방향으로 폭 약 5 km를 가진 타원형 형태로 확산되었으며, 이에 비하여 인산염은 매우 좁은 범위 내에 한정되었다. 또한 암모니움염도 좁은 범위에 국한되었으나, 암모니움염의 확산방향에 연장하여 질산염의 높은 농도가 나타나고, 같은 위치에서 높은 N/P와 높은 엽록소-a 농도가 동반되었다. 지난 4년간의 광역조사와 집중조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사실은 바다모래 채굴의 영향을 일차적으로 민감하게 나타내는 수질인자는 부유물질, 암모니움염, 질산염 및 ORP이며, 이로 인한 이차적인 효과가 높은 N/P 비율과 높은 엽록소-a 로 감지되었다는 점이다. 이 중 부유물질과 ORP는 부이와 자동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다모래 채굴 해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한 수질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