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뽕나무 유전자원의 과실적 특성 및 오디생산용 우량계통 선발

  • 김현복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성규병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홍인표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남학우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We evaluated fruity characteristics to select the desirable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from 2002 to 2003. Tested items were total yield, weight of single fruit, soluble solids and fruit size including length, width, and petiole length. We started yield of mulberry fruits from 27th of May, and continued for two weeks or three weeks according to mulberry varieties. 'Susungppong', 'Cheongnosang', and 'Jeolgokchosaeng(Chungbuk)' were showed high and similar quantity for two years. In weight of single fruit, 'Jeolgokchosaeng(Chungbuk)' and 'Ficus' were 4.6 g respectively. 14 mulberry varieties were showed more than 17 Brix % in soluble solids. From that results, eight suitable varieties such as 'Jeolgokchosaeng(Chungbuk)', 'Dangsang 7', 'Jangsosang', 'Susungppong', 'Suwonnosang', 'Palcheongsipyung', 'Kangsun', and 'Jukcheonchosaeng' were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fruit.

뽕나무 오디는 기능성 식품소재 및 농가의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과실로서 뽕나무 묘목에 대한 일반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디생산을 위한 뽕 품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의 결실 오디를 계통별로 채취하여 과실적 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오디 생산용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고 품종의 조기농가보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전조생' 등 숙기가 이른 계통은 5월 27일부터 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휘카스' 등 수확시기가 늦은 만생종 계통은 6월 10일경부터 수확하여 6월 21일까지 오디를 수확하였다. 2. 계통에 따라 1∼6회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가능 기간도 2주∼3주 계통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일뽕', '목상', '장소상', '수성뽕' 등의 오디는 2주 정도 수확이 가능한 반면, '사천금', '덕천상'의 오디는 3주 동안 수확이 가능하였다. 3. 그루당 10kg 이상 수확 가능한 계통으로서 2002년에는 '수성뽕', '휘카스', 청노상', '목상', 절곡조생(충북)' 5계통을 선발하였으며, 2003년도에는 '수성뽕', '자산', '화조십문자', '청노상', '죽천조생 ', '수원노상', 강선', '절곡조생(충북)' 8계통을 선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수 등(1999) 본초학, 오디항, 영림출판사
  2. 김현복, 김애정, 김선여(2003) 오디의 기능성 물질 분석 및 개발식품 동향. 식품과학과 산업 36(3): 49~60
  3. 김현복, 김선림, 문재유(2002) 오디 Anthocyanin 색소 정량 및 품종 변이. 韓育誌 34(3): 207~211
  4. 김현복, 김선림, 문재유, 장승종(2003)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韓蠶學誌 45(2): 80~84
  5. 김현복, 김선림, 성규병, 남학우, 장승종, 문재유(2003) 뽕나무 계통별 오디종자의 지방산 조성 및 함량. 韓蠶學誌 45(2): 75-79
  6. 朴光駿(2001) 大星뽕, 大鵬뽕, 大玉뽕 및 新光뽕 오디의 果實的 特性. 韓蠶學誌 43(2): 99~103
  7. 朴光駿, 李龍基 (1996) 뽕나무의 倍數性에 따른 오디의 形態 및 品質 特性 差異. 農業論文集 38(1): 307~317
  8. 박광준, 이용기(1997)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뽕나무 3종이 자연교잡된 때의 稔性과 오디의 과실특성. 韓蚕學誌 39(2) : 106~113
  9. 朴光駿, 李龍基(2000) 劍雪뽕의 同質4倍體 '4原뽕26號'의 稔性 및 栽培學的 特性. 韓蠶學誌 42(2): 67~72
  10. 박광준, 성규병, 이용기(2001) 大紫뽕과 甘白뽕의 稔性 및 오디의 果實的 特性. 韓蠶學誌 43(2): 9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