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도토리 Gallic Acid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 이미현;정재홍;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3-700
    • /
    • 1992
  • 도토리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토리 분말로부터 수종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 분리한 후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우지에 첨가하고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을 TLC 및 HPLC로 분리 동정하였다. 도토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1.8~12.0%, 단백질 7.1~7.4%, 전분 65.5~69.4%, 조지방 2.1~2.6%, 조섬유 2.1~3.6% 및 조회분 2.4~2.6%이었으며 total tannin 함량은 4.6~6.8%이었다. 도토리류 분말로부터 acetone : water 및 ethyl acetate를 차례로 사용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8~3.1%이었다. 최종단계의 도토리 추출물 중에는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은 주로 gallic acid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은 유탁액상태의 기질에서는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유지에 직접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인정되지 않았다. 우지 및 대두유탁액에 대산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강하였으나 돈지 및 팜유유탁액에 대해서는 약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은 0.02%의 농도에서 실용적인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Preparation of minor ginsenosides C-Mc, C-Y, F2, and C-K from American ginseng PPD-ginsenoside using special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 Liu, Chun-Ying;Zhou, Rui-Xin;Sun, Chang-Kai;Jin, Ying-Hua;Yu, Hong-Shan;Zhang, Tian-Yang;Xu, Long-Quan;Jin, Feng-X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221-229
    • /
    • 2015
  • Background: Minor ginsenosides, those having low content in ginseng, have higher pharmacological activities. To obtain minor ginsenosides, the biotransformation of American ginseng protopanaxadiol (PPD)-ginsenoside was studied using special ginsenosidase type-I from Aspergillus niger g.848. Methods: DEAE (diethylaminoethyl)-cellulose an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in enzyme purification,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ere used in enzyme hydrolysis and kinetics; crude enzyme was used in minor ginsenoside preparation from PPD-ginsenoside; the products were separated with silica-gel-column, and recognized by HPLC and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Results: The enzyme molecular weight was 75 kDa; the enzyme firstly hydrolyzed the C-20 position 20-O-${\beta}$-D-Glc of ginsenoside Rb1, then the C-3 position 3-O-${\beta}$-D-Glc with the pathway $Rb1{\rightarrow}Rd{\rightarrow}F2{\rightarrow}C-K$. However, the enzyme firstly hydrolyzed C-3 position 3-O-${\beta}$-D-Glc of ginsenoside Rb2 and Rc, finally hydrolyzed 20-O-L-Ara with the pathway $Rb2{\rightarrow}C-O{\rightarrow}C-Y{\rightarrow}C-K$, and $Rc{\rightarrow}C-Mc1{\rightarrow}C-Mc{\rightarrow}C-K$. According to enzyme kinetics, $K_m$ and $V_{max}$ of Michaelis-Menten equation, the enzyme reaction velocities on ginsenosides were Rb1 > Rb2 > Rc > Rd. However, the pure enzyme yield was only 3.1%, so crude enzyme was used for minor ginsenoside preparation. When the crude enzyme was reacted in 3% American ginseng PPD-ginsenoside (containing Rb1, Rb2, Rc, and Rd) at $45^{\circ}C$ and pH 5.0 for 18 h, the main products were minor ginsenosides C-Mc, C-Y, F2, and C-K; average molar yields were 43.7% for C-Mc from Rc, 42.4% for C-Y from Rb2, and 69.5% for F2 and C-K from Rb1 and Rd. Conclusion: Four monomer minor ginsenosides were successfully produced (at low-cost) from the PPD-ginsenosides using crude enzym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fonis Venenum by Using TLC, HPLC, and LC-M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Lee, Hyo-Jae;Koung, Fan-Pei;Kwon, Ki-Rok;Kang, Dae-In;Cohen, Lorenzo;Yang, Pei-Ying;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65
    • /
    • 2012
  • Objectives: Toad venom, called Chan-Su,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ecreted from the auricular and the skin glands of the Bufo bufo gargarizanz Cantor or B. melanosticus Schneider and has been widely used in China,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for the treatment of pain, heart conditions, and cancer. We examined the concentrations of the main chemical constituents within a commercially available toad venom product and compared the levels fo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ethods: Toad venom was extracted using either cold or hot water, ethanol (EtOH), methanol (MeOH), or ethyl acetate (EtOAc), was fractionated using precipitation or reflux, and was then analyzed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TLC), and 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LC-MS). Individ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the retention times, the ultraviolet spectra, and mass spectras and differences in chemical constituents for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ion methods are presented. Results: Components with authentic standards, including serotonin and bufodienolides (cinobufagen, bufalin, cinobufalin, and resibufogenin), were detected. The water extract of toad venom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serotonin ($75.7{\pm}0.1$ mg/g), but very small amounts of bufodienolides ($3.8{\pm}0.0$ mg/g). In contrast, the use of MeOH or EtOH extraction solutions resulted in 5-26 times higher concentrations of bufodienolides, with only trace amounts of serotonin.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concentrations of the component also varied based on the extraction method; i.e., EtOH extracts yielded the greatest total amounts of bufodienolides, and EtOAc precipitation had the lowest amounts of bufodienolides. Conclusions: Toad venom consists of serotonin and several bufodienolides, and the choice of solvent to extract chemical the constituents is important as a way to enrich the purported active components for treating different conditions.

Rhizopus sp.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인삼 Saponin의 전환 (제1보) Ginsenoside-Rb$_1$에서 Ginsenoside-Rd로의 전환확인 (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with the Enzyme Produced by Rhizopus sp. (Part 1) Confirmation of Conversion of Ginsenoside- Rb$_1$to Ginsenoside-Rd)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3
    • /
    • 1982
  • 미생물성 효소를 이용하여 인삼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Rb$_1$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Rd로 전환하고자 인삼부패균 중 Rhizopus 속의 한 균주를 선정하여 이 균주에서 얻은 효소를 ammonium sulfate 분별 침전법으로 조정제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 사용하기 위해 홍미삼 extract로부터 ginsenoside-Rb$_1$이 36.4%, ginsenoside-Rd 가 12.2%의 조성비율을 갖인 total saponin을 정제하였고 이어 ginsenoside-Rb$_1$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정제한 결과 ginsenoside-Rb$_1$이 54. 5%, ginsenoside-Rd가 1.1%인 ginsenoside Rb group saponin을 얻었다. 이들 기질 saponin에 본 효소를 작용시켜 본 결과 두 기질 모두 다른 ginsenoside pattern에는 변화없이 ginsenoside-Rb$_1$만이 선택적으로 감소하고 반면에 ginsenoside-Rd의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TLC 및 HPLC의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로써 효소에 의한 인삼saponin의 선택적전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진주담치의 마비성독에 관한 연구 -1986년 부산 감천만 중독사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Food Poisoning Accident in Gamchun Bay, Pusan, Korea, 1986-)

  • 장동석;신일식;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299
    • /
    • 1987
  • 우리나라산 주요 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특성 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1986년 3월 부산시 사하구 구평동 지선에 소재하는 모회사(폐선을 해체하여 고철로 활용)의 작업인부들이 먹고 식중독 사고를 일으킨 원인식품인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biassay를 통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을 조사하고 독소를 분리하여 electrophoresis, TLC, HPL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중독사고의 원인이 된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함량은 $132\~295MU/g$, 또는 $26.4\~58.9{\mu}g/g$ 였다. 2. 독화된 진주담치의 중장선부위에는 독성이 $439\~979MU/g$나 되어 육질부위의 약 9배에 달하였으며 전체 독성의 $70\%$ 정도가 중장선부위에 축적되어 있었다. 3. 마비성 패류독을 분리하여 전기영동, TLC, HPLC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은 $Gonyautoxin_{1\~4}$ 였으며, Saxitofin 군은 아주 미량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마비성 패류독에 의한 식중독 사고의 원인물질은 Saxitoxin이 아니고 Gonyautoxin 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왜생삼 (Panax trifolius L.)의 사포닌과 프라보노이드의 화학적 연구 및 오가과에 속하는 유연종과의 성분 비교연구 (A Chemical Study of the Saponins and Flavonoids of Dwarf Ginseng (Panax trifolius L.) and Its Comparison to Related Species in the Araliaceae)

  • Lee Taikwang M.;Marderosian Ara Der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41-146
    • /
    • 1988
  • 북미가 원산지인 왜생삼(Panax trifolius L.)은 인삼속(오가과)에 속하며 카나다 남부에서 북미에 걸쳐 서식한다. 왜생삼 잎에서 4종류의 프라보느이드와 5종류의 진세노사이드로 확인된 총 9종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2종류의 진세노사이드로 확인된 총 9종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2종류의 프라보노이드는 kaempferol-3,7-dirhamnoside와 kaempferol-3-gluco-7rhamnoside로 각각 확인되었다. 4종류의 진세노사이드는 각각 notoginsenoside-Fe, ginsenoside-Rd, ginsenoside-Rc와 ginsenoside-$Rb_3$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왜생삼의 ginsenoside 공통된 골격구조는 (20S)-protopanaxadiol인 것으로 밝혀졌다. 프라보노이드와 진세노사드의 동정은 왜생삼의 뿌리, 줄기, 잎, 꽃과 열매에서 추출하여 2차원 박층 그로마토그라피(2D-TLC)와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로 하였다. 왜생삼과 근연종인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및 미국삼(Panx quinquefolium L.)의 뿌리, 줄기, 잎, 꽃과 열매에서 추출한 프라보노이드와 진세노시드의 정량은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만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화합물 1,3과 4로 명명한 kaempferol 유도체인 프라보노이드 3가지는 왜생삼의 뿌리에 $10.8\%,\;2.8\%$$8.4\%$가 각기 함유되어 있었으나 고려인삼과 미국삼에서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오가과 인삼속식물 뿌리에서 프라보노이드가 확인,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 PDF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생물막 형성 억제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Diospyros malabarica Stem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혜수;이상우;콩마니 시다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TLC, TLC-bioautography, HPLC, ESI-MS 등을 이용하여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로부터 S. mutans KCTC3065에 대해 항균활성이 있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고 주사전자현미경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추출물이 S. mutans의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극성이 낮은 n-hexane 분획물에서 확인되었고 TLC, TLC-bioautography, HPLC에 의해 분리된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ESI-MS분석 결과 188로 추정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ml) 처리에 따른 S. mutans의 바이오필름 바이오매스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는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세포가 군집을 이루고 모여 있었으며 세포 주변에서 바이오필름이 관찰되었지만 추출물을 처리한 처리구의 세포 주변에서는 바이오필름을 관찰할 수 없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바이오필름 생성 과정에서 치면 부착에 필수적인 GTFs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인도감나무 추출물이 0.2-1.0 mg/ml의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gtfB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지만 gtfC 유전자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바이오필름 형성 단계에서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의 초기 치면 부착을 저해함으로서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구강 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BEEF MEAT TRACEABILITY. CAN NIRS COULD HELP\ulcorner

  • Cozzolino, D.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46-1246
    • /
    • 2001
  • The quality of meat is highly variable in many properties. This variability originates from both animal production and meat processing. At the pre-slaughter stage, animal factors such as breed, sex, age contribute to this variabilit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 feeding, rearing, transport and conditions just before slaughter (Hildrum et al., 1995). Meat can be presented in a variety of forms, each offering different opportunities for adulteration and contamination. This has imposed great pressure o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to guarantee the safety of meat. Tissue and muscle speciation of flesh foods, as well as speciation of animal derived by-products fed to all classes of domestic animals, are now perhaps the most important uncertainty which the food industry must resolve to allay consumer concern.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rapid and low cost methods of direct quality measurements in both food and food ingredients (includ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enzymatic and inmunological tests (e.g. ELISA test) and physical tests) to establish their authenticity and hence guarantee the quality of products manufactured for consumers (Holland et al., 1998). The use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r the rapid, precise and non-destructive analysis of a wide range of organic materials has been comprehensively documented (Osborne et at., 1993). Most of the established methods have involved the development of NIRS calibrations for the quantitative prediction of composition in meat (Ben-Gera and Norris, 1968; Lanza, 1983; Clark and Short, 1994). This was a rational strategy to pursue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its application, given the type of equipment available, the state of development of the emerging discipline of chemometrics and the overwhelming commercial interest in solving such problems (Downey, 1994). One of the advantages of NIRS technology is not only to assess chemical structur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lecular bonds in the near infrared spectrum, but also to build an optical model characteristic of the sample which behaves like the “finger print” of the sample. This opens the possibility of using spectra to determine complex attributes of organic structures, which are related to molecular chromophores, organoleptic scor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Hildrum et al., 1994, 1995; Park et al., 1998).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packages like principal component or discriminant analysis provide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and make a classification without the chemical information. The objectives of this present work were: (1) to examine two methods of sample presentation to the instrument (intact and minced) and (2) to explore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Soft Independent Modelling of class Analogy (SIMCA) to classify muscles by quality attributes. Seventy-eight (n: 78) beef muscles (m. longissimus dorsi) from Hereford breed of cattle were used. The samples were scanned in a NIRS monochromator instrument (NIR Systems 6500, Silver Spring, MD, USA) in reflectance mode (log 1/R). Both intact and minced presentation to the instrument were explored. Qualitative analysis of optical information through PCA and SIMCA analysis showed differences in muscles resulting from two different feeding systems.

  • PDF

고로쇠나무 수액(樹液)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영양가치(營養價置)와 사포닌 함유(含有) 여부(與否)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and Saponin Content in the Spring Sap of Acer mono)

  • 이경준;박종영;박관화;박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15-423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고로쇠나무(Acer mono Max.) 수액(樹液)을 대상(對象)으로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영양학적(營養學的) 가치(價値), 인삼(人蔘) saponin의 존재여부(存在與否)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994년(年) 2월(月) 25일(日)부터 3월(月) 4일(日) 사이에 전남(全南) 백운산(白雲山)과 지리산(智異山)에서 지상(地上) 50cm 높이 이내(以內)의 수간(樹幹)에 작경(直徑) 1.7cm의 구멍을 뚫고 수액(樹液)을 채취(採取)하여, 당류(糖類)는 high performance ion chromatography(HPIC), 아미노산(酸)은 자동분석기(自動分析器), saponin과 phenol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로 분석하고, saponin 분획물질을 $^1H$$^{13}C$ NMR로 구조를 추적하였다.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무기원소(無機元素), 비타민의 함량(含量)도 정량((定量)하였다. 수액(樹液)의 주성분(主成分)은 사당(砂糖)으로써 0.68-2.01% 농도(濃度)로 존재(存在)했으며, 포도당(葡萄糖) 0.03-0.11%, 과당(果糖) 0.01-0.03%, 지방(脂肪) 0.03%이었으며, 아미노산(酸)중에서 threonine 0.152%, lysine 0.038%, arginine 0.068%으로 나타났다. 회분(灰分)은 0.1%, Ca 175ppm, Fe 2ppm, P 19ppm, K 16ppm, Na 31ppm이고, vitamin $B_1$ 0.6ppm, vitamin $B_2$ 0.1ppm, vitamin C 19ppm이었다. phenol류(類)가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으며, saponin은 TLC와 HPLC, NMR 분석에서 모두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비교치(比較値)로 분석(分析)한 당단풍나무의 수액(樹液)은 고로쇠나무와 비슷했으며, 거제수나무와 자작나무의 수액(樹液)에서는 사당(砂糖)대신 포도당(葡萄糖)과 과당(果糖)이 검출(檢出)되었다. 고로쇠나무의 수액(樹液)은 사당(砂糖), 포도당(葡萄糖), 과당(果糖), 아미노산(酸), 칼슘, 철분(鐵分) 그리고 세 가지 비타민류(類)가 포함(包含)되어 있어서 자연음료(自然飮料) 혹은 건강음료(健康飮料)로써 충분한 영양학적(營養學的) 가치(價値)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TLC, HPLC를 이용한 식품 중 비트레드 함량조사 (Survey of Beet Red Contents in Foods using TLC, HPLC)

  • 장영미;이달수;홍기형;박성관;박성국;권용관;박재석;장선영;황혜신;김은정;한윤정;김병섭;원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4-252
    • /
    • 2005
  • 비트레드는 '천연식품, 다류, 고춧가루 또는 실고추, 김치류, 고추장 및 식초'에 사용 금지토록 현행 식품첨가물공전에 사용기준이 규정되어 있으나, 식품 중 비트레드의 분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유통 중인 식품 중 비트레드의 함유량을 조사하여 추후 식품 중 비트레드의 사용기준 준수여부 확인시 시험방법으로 사용하고자 식품 중 비트레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는 LC-Mass로 비트레드의 주성분임을 확인한 베타닌(Betanine)과 이소베타닌 (Isobetanine)을 사용하여 HPTLC (High 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와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신속하고 재현성이 높은 비트레드의 정성$\cdot$정량시험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때 정성분석조건은 셀룰로오스 박층판에, 아세톤:3-메틸-1-부탄올:물 (7:7:6) 전개용매를 이용하고, 정량분석은 역상계인 X-terra RP ($4.6\;mm{\times}250\;mm,\;5{\mu}m$)칼럼에 이동상, 온도 및 파장조건으로 각각 $0.1\%$ 인산:메탄올 (90:10), $40^{\circ}C$ 및 538 nm 조건이었을 때 가장 양호한 분석결과를 얻었다. 확립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식품 중 비트레드 사용실태를 확인하거나 사용가능성이 있는 영양보충용식품, 아이스크림, 소스류, 캔디류, 레토르트식품 등 총 5종 204품목에 함유된 비트레드의 함유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영양 보충용식품은 60품목에서 $900.22\∼27,701.60{\mu}g/g$이 검출되었으며, 캔디류는 48품목 중 30품목에서 $21.95\∼713.40{\mu}g/g$이 검출, 나머지 18품목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아이스크림에서는 12품목에서 $155.85{\∼}505.37{\mu}g/g$이 검출되었고, 소스류는 72품목 중 18품목에서 $43.52{\∼}64.75{\mu}g/g$이 검출, 나머지 54품목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레토르트식품은 12품목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