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37초

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서 아피오스의 내장지방 감소 효과 (Anti-Visceral Obesity Effect of Apios americana Medikus in Diet-Induced Obese Mice)

  • 최라영;이진;류효선;함주리;박석규;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37-1142
    • /
    • 2017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열량의 40%를 지방으로 공급)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게 아피오스 분말(10%, w/w)을 12주간 급여한 후 내장지방 감소 및 지방간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아피오스 분말 급여로 인한 유의적인 체중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나, 부고환지방과 후복막지방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총 내장지방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14.3% 감소하였다. 부고환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역시 아피오스 분말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혈청의 유리지방산,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와 동맥경화 지수는 아피오스 분말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8.9%와 47.2%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혈청의 렙틴 함량은 아피오스 분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에 아피오스 분말 급여는 간 조직 중의 지질축적 및 유리지방산과 중성지질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의 지질합성 관련 유전자인 Pparg, Fasn과 Dgat2의 발현이 아피오스 분말 급여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피오스 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내장지방 축적과 지방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한민국 고혈압 성인에서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비율과 맥압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Alanine Aminotransferase Ratio and Pulse Pressure in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 윤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41-248
    • /
    • 2021
  • 본 연구는 고혈압이 있는 대한민국 성인에서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비율과 맥압(pulse pressure, PP)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6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I-3, 2015)에서 성인 1,515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결과가 있다. 첫째, AST (odds ratio [OR], 1.0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2~1.033), ALT (OR, 0.982; 95% CI, 0.969~0.996) 및 AST/ALT ratio (OR, 1.367; 95% CI, 1.027~1.819)는 고PP 결정하는 독립적인 요인이었다. 둘째, 관련변수(연령, 성별,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TC, TG, HDL-C, FBG, BMI, WC)를 조정한 후의 결과에서 AST/ALT ratio의 1 사분위에 대한 고PP의 OR을 기준으로, AST/ALT ratio의 2 사분위(OR, 1.188; 95% CI, 0.817~1.727) 및 AST/ALT ratio의 3 사분위(OR, 1.169; 95% CI, 0.800~1.710)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AST/ALT ratio의 4 사분위(OR, 1.632, 95% CI, 1.113~2.39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혈압이 있는 대한민국 성인에서 고PP은 AST/ALT ratio 및 AST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ALT와 음의 상관계가 있었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J 마우스에서 상지추출물과 스틸벤 화합물의 항비만 효능 연구 (Anti-obesity effect of Ramulus mori extracts and stilbenes in high fat dietfed C57BL/6J mouse)

  • 박정은;이건희;김주희;최상원;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570-582
    • /
    • 2020
  • 본 연구는 상지추출물과 stilbene 화합물인 MSA, ORT의 항비만 효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식이성 비만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HFD에 실험물질을 첨가한 식이를 13주 동안 급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물질들의 항비만 효능은 ORT, ME, MSA, MW군 순이었으며, 특히 ME와 ORT의 급여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증가, 혈당 증가,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간 개선에 있어 양성대조군인 GC군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관련 기작 규명 및 안전성 확보, 그리고 최대 유효성 도출을 위한 추출 조건 확립 및 용량 검증 등의 연구가 수행된다면 체중조절용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창출, 지모, 육계, 목단피 혼합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 연구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olyherbal Extract with Atractylodis Rhizoma, Anemarrhenae Rhizoma, Cinnamomi Cortex, and Moutan Radicles Cortex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ice)

  • 정수민;설영현;전가윤;박민하;유이;강석용;박용기;정효원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9-77
    • /
    • 2020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olyherbal extract, DM2 consisting of Atractylodis Rhizoma, Anemarrhenae Rhizoma, Cinnamomi Cortex, and Moutan Radicles Cortex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ice. Methods: DM2 extract was prepared with a hot water. Six-week-old male C57BL/6N mice were fed a high-fat diet (HFD) for 8 weeks and then administrated with DM2 extract (500 mg/kg, p.o.) for 4 weeks. The changes of physiological markers, body weight (BW), food and water intakes, and the levels of fasting blood glucose (FBG)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4 weeks in mice. The the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otal cholesterol (T-CHO),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sera were measured in mice using autometic chemical analyzer and enzyme linked immunosorbant assay. We also observed the histological changes of liver and pancreatic tissues with Hematoxylin & Eosin staining. Results: In physiological change, the increases of BW, calorie intake, and FBG in HFD-induced obese mi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DM2 extract for 4 weeks. The decrease of water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M2 extract-administrated mice. In serological change, the administration of DM2 extract in obesity mi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T-CHO, AST, and ALT levels. We also found that DM2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of lipid droplets in liver and the structural destruction of pancreatic tissues in obesity mice.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DM2 extract has antiobesity antidiabetic effects with body weight loss, decrease of glucose and insulin levels, and lipid accumulation on liver tissue.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 있어 전침 치료의 효과: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이창형;김병석;최애련;김경순;곽민아;김승모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lectroacupuncture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was conducted. Twenty-two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he two groups: an acupuncture group (n=11) and wait-list group (n=11).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electroacupuncture over 8 weeks. Twenty points (CV4, CV12, both LR14, GB26, ST25, ST34, ST40, ST36, SP4, SP6, LR3) were selected for needling.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cupuncture treatment during study period and followup were done in the 4th and 8th weeks after randomization in both groups. The primary outcome was body fat computed tomography and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blood te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transfera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blood sugar test, ${\gamma}$-guanosine triphosphate) and body composition test (body mass index,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 rate, waist hip ratio). Safety was assessed at every visi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no adverse event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n patients with NAFLD,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did not induce worsening of liver disease and liver function, but it was no improvement symptoms of fatty liver. Study of herb medicine treatments and other acupuncture therapy of NAFLD are required later.

비만 청소년에서 Insulin,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에 대한 연구 (Serum Insulin,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Levels in Obese Adolescents)

  • 권정현;김현진;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172-1178
    • /
    • 2005
  • 목 적 : 소아 비만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장애를 일으킨다. 특히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비만 청소년에서 혈중 인슐린, 인슐린저항지수, 유리 지방산, IGF-I, IGFBP-3를 측정하였고, 심혈관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위험인자로 유용한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64명의 중등도 이상의 비만 청소년를 대상군으로 하였고, 같은 연령의 정상 청소년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도와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였고, 안정된 상태에서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10시간 이상 금식 후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AST, ALT, 혈당, 인슐린, 유리지방산, IGF-I, IGFBP-3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인슐린은 비만군에서 $15.6{\pm}7.0{\mu}IU/mL$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인슐린저항지수도 비만군에서 $64.6{\pm}31.6$으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IGF-I은 비만군에서 $498.1{\pm}122.2ng/mL$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IGFBP-3도 비만군에서 $3,777{\pm}4,721ng/mL$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슐린은 체질량지수(r=0.394), 비만도(r=0.304)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IGFBP-3는 비만도(r=0.419), 이완기 혈압(r=0.264), 체질량지수(r=0.247)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슐린저항지수는 체질량지수(r=0.595), 혈중 중성지방(r=0.515), 비만도(0.469)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 비만 청소년에서 혈중 인슐린, 인슐린저항지수, IGF-I, IGFBP-3가 증가하였다. 청소년 비만에서 이들 검사는 심혈관질환으로의 진행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미역첨가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청지질과 혈당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eaweed on Blood Glucose, Lipid and Glutathione Enzym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영자;방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87-994
    • /
    • 2004
  • 미역 첨가식이가 당뇨쥐의 당질과 지질대사 및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SD계 흰쥐에 식이 무게량의 20% 미역 분말을 급여하여 7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의 포도당 및 지질농도와 주요 장기의 항산화효소의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미역 당뇨군에서 미역의 섭취는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을 보였다. 당뇨군의 혈당 농도는 미역 섭취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2주 째에 나타났으나 7주 째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지질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미역 당뇨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당뇨시 증가하는 신장의 G6Pase 활성도는 MD군에서 미역의 섭취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했다. 대조군에서 증가된 간장의 GST 활성도는 미역 섭취에 의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했다. 간장의 GPX 활성도의 경우, 미역 섭취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간장의 GR 활성도는 미역 당뇨쥐에서 미역 섭취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이나 신장에서는 상반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TB-ARS는 미역 당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7주간의 미역첨가 섭취로 당뇨쥐의 고혈당이 강하되는 것은 2주에 나타났고 7주에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당뇨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간장의 항산화 효소 활성도(GST)가 미역 섭취로 인해 저하됨으로써 미역의 섭취가 당뇨시 항산화적 반응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지방이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하는 경향으로 심혈관계와 관련되는 당뇨합병증의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n)에서 Fe과 Mn 간의 길항작용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본 시험재배 조건별 Fe-함량의 변화는 white clover가 orchardgrass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Mn-함량은 초종 간 큰 차이를 보였고 두 목초 공히 Mn을 함유한 조합시비로 크게 증가하였지만 이들 조합시비 간에는 차이가 경미하였다. 3. Mo-함량은 모든 경우 $T_6$ 6및 $T_7$ 에서 다소 높은 수준 이였다. $T_7$$T_6$ 에 비해서 Mo-함량이 다소 낮아졌다. Mo-과다피해는 B/Mo 비율의 조화 또는 B-시비를 통해서 경감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모든 경우 white clover가 orchardgrass보다 B-함량이 높았고 $T_7$ 에서 B-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혼파보다 단파재배에서 더 높았다. 처리구보다 더 높았으며 반면에 white clover는 가장 낮았다. 큰 요인을 형성하는 1차적 환경이 가정이라는 점에서 2000 가족과 함께 하는 창의성 경진대회는 창의성 축제의 한마당이었다고 감히 결론짓고자 한다.계시비 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558.9 kg $ha^{-1}\;yr^{-1}$, 4회 예취구에서 531.4 kg $ha^{-1}\;yr^{-1}$, 5회 예취구에서 546.3 kg $ha^{-1}\;yr^{-1}$ 이었으며, 이 때 얻어지는 최대 건물수량은 각각 18.4 ton, 12.7 ton, 10.6 ton $ha^{-1}$

복합운동과 홍삼복합제의 투여가 20대 비만여성의 혈중 지질 및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d Ginseng Product and Combined Exercise on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of Obese Women in Their Twenties)

  • 김성수;김재등;김홍;신말순;박채규;박명한;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59-66
    • /
    • 2002
  • 본 연구에서 12주간의 홍삼복합제 투여와 복합운동이 20대 비만 여성의 혈중 지질 및 체구성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12주 후, 대조군의 증가에 비해 홍삼복합제투여군, 홍삼·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율은 12주 후, 대조군에 비해 홍삼복합제투여군, 홍삼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C는, 다른 두 집단이 12주에 걸쳐 꾸준히 증가한 것에 비해 홍삼·운동군은 지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여 대조적인 경향을 보였다. HDL-C은 12주 후 대조군과 홍삼·운동군은 소폭 감소한 반면, 홍삼복합제투여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LDL-C은 대조군과 흥삼복합제투여군이 8주에서 12주 사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홍삼·운동군은 거의 변화를 하지 않아 대조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반복측정분산분석의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TG는 다른 두 집단이 12주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에 홍삼복합제투여군은 꾸준한 감소를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론으로 보아서 12주간의 실험 결과는 홍삼복합제투여와 홍삼·운동의 복합 처치가 체중, 체지방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total cholesterol, HDL-C, TG 등을 포함한 혈중 지질 농도의 개선에 관련하여 유리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폐경 전, 폐경 후 여성의 혈청 25-hydroxyvitamin D 수준과대사증후군 위험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and the Risks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 김유진;문민선;양윤정;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20-29
    • /
    • 2012
  • Metabolic syndrome (MetS)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MetS among women during the postmenopausal period. Recently, accumulating studies have sugges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factors regarding MetS. However, evidence from postmenopausal women is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and the MetS in Korean adult women aged 20-69 years (n = 2,618) by using the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geometric mean of plasma 25(OH)D were $17.16{\pm}6.28\;ng$/mL and $20.20{\pm}7.69\;ng$/mL for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vitamin D deficiency [25(OH)D < 12 ng/mL] were 22.5% and 14.4%, respectively. MetS was more prevalent in postmenopausal women (43.0%) compared with premenopausal women (11.2%). When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were categorized in quintiles,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the prevalence of MetS in both premo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in premenopausal women, compared with the lowest 25(OH)D quintile, the odds ratio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highest quintile was 0.57 (95% CI 0.34-0.95, $P_{trend}$ = 0.041) and for low serum HDL cholesterol 0.60 (95% CI 0.42-0.85, $P_{trend}$ = 0.014) after adjusting for all potential confounders.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e tendency of an inverse relationship for 25(OH)D regarding low serum HDL cholesterol (OR 0.78, 95% CI 0.50-1.22, $P_{trend}$ = 0.029) and a direct relationship with abdominal obesity (OR 1.94, 95% CI 1.01, 3.74, $P_{trend}$ = 0.049) i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in other research settings.

맥주효모 슬러리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ewer's Yeast Slurry on the Growth and Blood Composition of Broiler Chicks)

  • 김정학;심관섭;마정숙;권덕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6
    • /
    • 2004
  • 맥주공장에서 얻어지는 맥주효모 슬러리를 육계사료의 첨가제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8$0^{\circ}C$에서 건조하였으며, 육계사료에 0%, 2%, 4% 첨가ㆍ급여하여 육계의 성장과 장기발달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시 육계의 성장률이 9% 향상되었고(P<0.05) 사료 효율은 8% 개선되었다(P<0.05). 사료섭취량은 전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 처리구간에서 육계의 간장, 심장 및 복강지방의 무게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대비 간장 무게의 비율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감소되었다.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혈중 glucose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혈중 triglyceride 농도에 있어서는 4% 첨가구에서 3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특히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혈청 중 total-cholesterol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HDL 농도에 있어서는 2%와 4%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3%와 26% 증가하여(P<0.05), HDL/TC의 비율을 향상시켰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맥주효모 슬러리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켜 육계의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혈중에서는 triglyceride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 농도 및 HDL/TC의 비율을 증가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