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yielding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33초

옥사디아졸 결합의 유기 발색단이 도입된 이차비선형 광학 이미드 고분자 (Second Order Nonlinear Optical Polyimides Containing Organic Chromophores with an Oxadiazole Segment)

  • 도정윤;김봉건;권지윤
    • 공업화학
    • /
    • 제18권1호
    • /
    • pp.77-83
    • /
    • 2007
  • 2차 비선형 광학 소재는 광 도파로 응용을 위해 조화파 파장영역에서 낮은 광 진행 손실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분자에 전자 당김 작용기로 니트로기, 시안기 및 알킬슬폰기가 각각 도입된 세 가지의 쌍극자형 발색단 물질이 합성되었다. 시안기 및 슬폰기를 갖는 발색단의 자외-가시 흡수 스펙트럼은 니트로기를 갖는 발색단에 비해 단파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크로모포 분자에 옥사디아졸 연결기를 도입한 결과 광흡수 스펙트럼이 단파장으로 이동하는 유사한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단파장으로 이동하는 특성은 2차 조화파의 낮은 광손실을 유도할 것이다. 합성된 크로모포는 이미드 고분자에 곁사슬기 형태로 도입하였다. 합성된 고분자의 비선형 광학 성질은 $1.55{\mu}m$ 파장 영역에서 전기광학계수를 측정하고 변환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시차열량 분석계와 열중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이들 고분자의 물성 측정을 진행한 결과 $185^{\circ}C$ 이상의 높은 유리전이 온도와 $300^{\circ}C$까지 열적으로 안정함을 보였다.

질소비료수준과 재식밀도가 벼 품종의 엽형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 이현도;빈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9-335
    • /
    • 1988
  • 본 연구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권인 경남 통영에서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물질생산과 수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25kg ha$^{-1}$, 150 kg ha$^{-1}$ 두 질소수준을 주구, 삼강벼와 동양벼 두 품종을 세구 30cm $\times$ 15cm, 30cm $\times$ 12cm, 30cm $\times$ 9cm 등 세 재식밀도를 세세구로 Strip split plot design으로 3반복 처리하여 엽위별 형태적 특성과 건물중, 생육후기 잔존 생엽수와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동진벼의 엽장은 질소수준에 관계 없이 4, 3, 2, 1엽의 순으로 삼강벼는 질소수준 150 kg ha$^{-1}$구에서는 3, 4, 2, 1엽, 225 kg $^{ha-1}$ 구에서는 4, 3, 2, 1엽의 순으로 길었다. 나. 150 kg ha$^{-1}$. N. 구에서 삼강벼의 제 1엽장은 동진벼에 비해 길었으나 2, 3, 4엽장은 짧았으며 225 kg ha$^{-1}$. N. 구에서는 1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엽은 길고 3, 4엽은 짧았다. 다. 동진벼의 엽폭은 150 kg ha$^{-1}$. N. 구에서는 1, 2, 3, 4엽의 순으로 225 kg ha$^{-1}$구에서는 1, 2, 4, 3엽의 순으로 넓었으며 삼강벼는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상위엽폭이 넓었고,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라. 동진벼의 엽초장은 1, 4, 3, 2엽초, 삼강벼는 1, 2 ,3, 4엽초의 순으로 길었고,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우량품종 선발을 위한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평가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 for High-Yielding)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1-206
    • /
    • 2004
  •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조, 만생품종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2년 10월 3일과 2003년 10월 8일에 조생품종인 Koolgrazer을 대조품종으로 조생품종 9909, Ol-homil 및 Jlee select와 중생품종인 Homil 22 그리고 만생품종인 Danko, Kior, Amilo 및 Spooner을 각각 파종하였으며, 2003년 4월 22일과 2004년 4월 23일에 각각 수확하였다. 내도 복성은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보다 다소 낮았다. 초고는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 보다 길었다. $50\%$ 출수일은 조생품종이 2년 평균 4월 14일이었던 반면에 만생품종이 4월 24일로서 조생품종이 10일이나 더 빨랐다. CP 함량은 만생품종이 조생품종보다 높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조생품종이 높았다. 건물수량은 1년차 시험에서 조생품종Jlee select가 가장 높았으며(p<0.05), 9909와 Koolgrazer는 유사하였고, 중만생품종 Homil 22,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2년차 시험에서는 조생품종인 9909가 가장 높았으며(p < 0.05), Koolgrazer와 Ol-homil은 비슷하였고 Jlee select는 낮았고, 만생품종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2모작 작부체계에서 추파용 호밀은 조생품종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혼합세포를 이용한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의 in vitro Glutathione 생산 (In vitro Glutathione Production using Mixed Cells in an Aerated Slurry Bioreactor)

  • 고성영;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45-451
    • /
    • 1999
  • E. coli TGI/pDG7 $\alpha$ 와 빵효모의 혼합세포계에 의한 글루타치온 생산을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 수행하였다. 글루타치온 생산 효소는 34시간 동안 안정성을 보였으며, 글루타치온 수율은 4.6 mM을 유지함을 보였다. 고농도의 혼합세포를 이용한 Aerated Slurry Bioreactor에서 기질의 공급속도가 글루타치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가 회수되어 기질공급속도 5.2 mL/hr에서 글루타치온의 생산농도는 32시간에서 현탁반응보다 낮아짐을 보였고, 반면 세포가 회수되지 않은 기질공급속도 5.2 mL/hr에서는 22시간 동안 유지되었고 2.6 mL/hr에서는 42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글루타치온의 생산성은 기질공급속도가 10.4 mL/hr에서 25.7 mg/g wet $cell{\cdot}hr$이었으나, 2.6 mL/hr에서는 1.65 mg/g wet $cell{\cdot}hr$이었고 5.2mL/hr에서는 5.28 mg/g wet $cell{\cdot}hr$이었다. 계면활성제(Tween 80)을 사용한 경우, 글루타치온 생산시간을 25시간에서 45시간으로 연장되었다. 글루타치온 생산있어 산소가 세포계의 효소에 산소에 의해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기를 질소로 교체하여 글루타치온 생산시간을 40시간으로 연장시켰다.

  • PDF

수치해석에 의한 터널 지보재로서 TSL(Thin Spray-on Liner)의 보강 효과 분석 (Analysis of Reinforcement Effect of TSL (Thin Spray-on Liner) as Supports of Tunnel by Numerical Analysis)

  • 이기철;김동욱;장수호;최순욱;이철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51-161
    • /
    • 2017
  • TSL(Thin Spray-on Liner)는 폴리머 성분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숏크리트에 비해 높은 부착성능을 갖고 초기 강도가 높고 시공성이 좋으며 일부 방수재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TSL의 특성으로 인해 TSL이 시공된 콘크리트는 TSL의 강한 부착력에 의해 복합 구조체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SL 특성을 기존 터널 설계법에 적용하기 위해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설계에 사용되는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휨압축응력, 휨인장응력, 전단력을 기준으로 허용 수치 범위내에서 검토한다.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TSL의 재료 물성과 접촉면 조건을 인용하여 TSL이 보강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서로 비교하였다. 기존 허용응력설계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설계 두께를 검토한 후 TSL을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설계 두께 감소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탄성이론을 근거로한 허용응력설계법 내에서는 TSL의 보강효과를 검토하기 어려웠다.

양송이 자실체(子實體) 발생(發生)의 경시적(經時的) 변동(變動)에 관한 연구(硏究) (Changes in Sporophore Appearance of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during the Harvesting Period)

  • 박종성;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43-50
    • /
    • 1977
  • 1. 본(本) 연구(硏究)는 양송이의 재배(栽培) 및 수확방법(收穫方法)이 다를 때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의 변동상(變動相)을 밝히고 수량(收量)의 조기예측방법(早期豫測方法)을 확립(確立)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2. 양송이 수량(收量)은 최초(最初) 30일간(日間)의 채취량(採取量)과 상관(相關)이 높고 다수확재배사(多收穫栽培舍)의 수량구성(收量構成)에 있어서는 중후기(中後期)의 채취량(採取量)과 다소(多小)가 큰 역할(役割)을 하였다. 3 채취시기(採取時期)에 따른 수량(收量)의 변화(變化)는 재배시기(栽培時期)에 따라 다르나 작업관리(作業管理)가 정상상태인 추기재배(秋期栽培) 때는 어린 버섯을 채취(採取)하므로서 초기수량(初期收量)은 감소(減少)하고 후기채취량(後期採取量)은 증가(增加)하였다. 4. Button 채취비율(採取比率) 20~45% 범위(範圍)에서 전수량(全收量)이 증가(增加)하면 Button 채취비율(採取比率)도 증가(增加)하는 경향(碩向)을 보였다. 5 양송이 재배합(栽培舍)은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의 변동(變動)을 조사(調査)하여 재배결과(栽培結果)의 조기예측(早期豫測)을 위한 회귀식(回歸式)을 산출(算出)하였다.

  • PDF

젖소에서 유성분 분석을 통한 영양상태 평가 및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III. 고능력우 위주의 대규모 목장에서 우유중 단백질과 요소태질소 수준이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lth managem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by milk components analysis in dairy cows III. Relationship between conception rates, and milk urea nitrogen and milk protein concentration in a large dairy herd of high yielding cows)

  • 문진산;주이석;장금찬;윤용덕;이보균;박용호;손창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83-391
    • /
    • 2000
  • Milk urea nitrogen (MUN) determination is being used an indicator of the protein-energy balance in dairy herds. A faulty balance can be corrected to optimize milk production and animal health. This parameter is regarded as a potential tool to evaluate suboptimal feeding practices and reproductive disor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milk composition by regular feeding analysis and to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N and milk protein(MP) and fertility at the insemination period in Holstein dairy cows. Total of 355 artificial insemination (AI) for 150 Holstein cows in the herd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N and MP content and conception rate. The AI occured for the cows 50 to 150 day in milk, and MUN and MP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using automated infrared procedures. The mean${\pm}$standard deviation of MUN and MP concentration in the herd were $15.6{\pm}2.1mg/dl$ and $3.23{\pm}0.38%$, respectively. MUN contents of bulk milk were increase by elevated crude protein intake. The conception rate was lower in the cows in which the level of MUN was lower than > 8.0mg/dl (10.0%) or > higher than 25mg/dl (15.4%) relative to the cows in MUN content of 12.0~17.9 mg/dl (36.7%) at the time of insemination. Also, lower MP than 3.0% or higher MP than 3.25%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conception rates. Consequently, MUN and MP analyses may be used serve as a monitoring tool of protein and energy nutritional balance to improve reproduction efficiency in Holstein dairy cows.

  • PDF

헛개나무의 체세포배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엄승희;신동용;이현용;김명조;김종대;최원철;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조직 배양에서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적절한 배지, 생장조절물질, 탄소원 그리고 배양 환경을 조사하였으며 대량 번식 시스템을 위해 체세포 배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 하기 전 세포 동조화와 건실한 유묘 생산에 최적인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강원도 양양 헛개나무 자생지에서 채취한 종자를 배배양하여 기내 발아시킴으로 기내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를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기내 발아 후 7-14일 된 식물체의 자엽과 잎 절편을 NAA를 처리한 배지에 배양했을 때 callus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shoot가 유기되었는데 NAA 0.5mg/l에서 43.6%로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편체 당 shoot 의 수도 2.8개였다. NAA와 BA 조합처리하였을 때 BA 0.1mg/l+ NAA 1mg/l에서 38.1%의 형성율을 보였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는 4개 이상으로 유기되었다. 체세포배는 NAA와 2,4-D의 단독처리 또는 BA와의 조합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직접 체세포배 또는 배발생캘러스가 형성하였다. BA 0.1mg/l+ 2,4-D 1mg/l 또는 BA 0.1mg/l+ NAA 1mg/l에서 발생한 배발생 캘러스의 생장과 성숙 및 발아에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을 때 $GA_3$ 1mg/l을 처리하여 배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자엽은 발달하지 못하고 하배축이 신장하여 유근이 발생한 형태의 유묘를 생산하였다.

선발지수(選拔指數)에 의(依)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Rice Varieties by Selection Index)

  • 최봉호;정근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1호
    • /
    • pp.1-14
    • /
    • 1979
  • 안전(安全) 다수성(多收性)인 수도품종(水稻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10개(個) 품종(品種)을 6개(個)의 상이(相異)한 재배환경하(栽培環境下)에서 3반복(反復)으로 각각(各各) 시험(試驗)한 후 Hazel 방법(方法)(선발지수(選拔指數 I)과 Pesek 등 방법(方法)(선발지수(選拔指數 II)에 의(依)해 지수(指數)를 계산(計算)하여 비교(比較)하였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조사(調査)한 특성(特性)은 수량(收量)을 비롯하여 6개였다. 1. 10개(個) 품종(品種)가운데서 재배방법(栽培方法)이 상이(相異)함에도 불구(不拘)하고 품종번호(品種番號) 6, 3, 4, 5가 우수(優秀)한 품종(品種)으로 판별(判別)되었다. 2. 일반조건하(一般條件下)에서의 품종선발(品種選拔)을 위해서는 선발지수(選拔指數) I(Hazal 방법(方法))이 좋을 것이나 특수환경하(特殊環境下)에서는 오히려 Pesek 방법(方法)(선발지수(選拔指數) II)이 유리(有利)할 것으로 보여졌다. 3. 지수상(指數上)으로 본 품종(品種)의 순위(順位)가 특성(特性)들 특(特)히 수량(收量)의 순위(順位)와는 정확(正確)히 일치(一致)하지 않아 더욱 지수법(指數法)의 의미를 새롭게 했다. 4. 재배방법(栽培方法)에 따라 또는 품종(品種)의 특성(特性)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지만 특성(特性)의 대부분(大部分)이 높은 유전력(遺傳力)(광의(廣意)의)을 보였다. 5. 품종(品種)과 6개의 상이(相異)한 재배환경(栽培環境)사이에는 상호작용(相互作用)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6. 6개(個) 특성(特性)가운데 수수(穗數)만이 품종간(品種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재배방법(栽培方法) 2, 4, 5에서) 다른 특성(特性)들은 모두 품종간(品種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국내 자생 엽채류 번행초의 우수 유전자원 기초 선발 (Preliminary screening of leafy vegetable New Zealand spinaches (Tetragonia tetragonioides) native to Korea)

  • 김인경;이가연;김성기;김병운;최원영;이긍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15-523
    • /
    • 2012
  • Recent development and enlargement of reclaimed lands along the sea shores required to explore alternatives to existing crops, which are suitable to grow well and to declare higher profi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yield-related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new leafy vegetables, and to screen some candidates among New Zealand spinach genotype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Initially all the collected genotypes were grown for 7 weeks in a greenhouse of the experiment fiel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hen transplanted into the field to measure morphological or physiological parameters (plant height, branch number, stem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maximum canopy diameter), and yield-related parameters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ose parameter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at 1, 5 or 9 weeks after transplanting (WAT). Parameters exhibi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ccessions were plant height, branch number, maximum canopy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length. In contrast to highly correlated parameters with fresh and dry weight obtained in salt-affected soil in the earlier report, fresh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64), and canopy diameter(r=0.66), while dry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lant height (r=0.46),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73), fresh weight (r=0.79), chlorophyll content (r=0.47), and canopy diameter (r=0.87). Based on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parameters, the candidate accessions which were ranked in top statistical groups include CNU06A01, CNU06A13, CNU06A26, CNU06A35, CNU06A38, and CNU06A55. In order to be cultivated in reclaimed lands, it is necessary to screen out salt tolerant accessions among the above high-yielding geno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