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Rye for High-Yielding

우량품종 선발을 위한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평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the early maturing cultivars(c.v.'Koolgrazer', '9909,' 'Ol-homil' and 'Jlee select') the medium maturing cultivar(c.v. 'Homil 22') and late maturing cultivars(c.v. 'Danko', 'Kior', 'Amilo' and 'Spooner'.) Seeds were sown on October 3, 2002 and October 8, 2003, respectively at the Livestock Experiment Farm of Keimyung College, Seongju, Kyeongbuk Province. Forage rye was harvested on April 22, 2003 and April 23, 2004, respectively. The height of early maturing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at of late maturing cultivars at the harvest. Fifty percent heading date of the early maturing cultivar was on April 14 and that of late maturing cultivars were on April 24. In the first year, dry matter(DM) yield of 'Jlee select'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among all cultivars(p < 0.05). DM yield of early maturing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at of medium and later maturing cultivars. In the second year, DM yield of '9909'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among all cultivars(p < 0.05). The early maturing cultivar of 'Koolgrazer' and 'Ol-homil' were similar and 'Jlee select' was low, late maturing cultivar of 'Danko', 'Kior', 'Amilo' and 'Spooner' were lower than early maturing cultivar.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early maturing cultivar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rye for double cropping forage production.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조, 만생품종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2년 10월 3일과 2003년 10월 8일에 조생품종인 Koolgrazer을 대조품종으로 조생품종 9909, Ol-homil 및 Jlee select와 중생품종인 Homil 22 그리고 만생품종인 Danko, Kior, Amilo 및 Spooner을 각각 파종하였으며, 2003년 4월 22일과 2004년 4월 23일에 각각 수확하였다. 내도 복성은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보다 다소 낮았다. 초고는 조중생품종이 만생품종 보다 길었다. $50\%$ 출수일은 조생품종이 2년 평균 4월 14일이었던 반면에 만생품종이 4월 24일로서 조생품종이 10일이나 더 빨랐다. CP 함량은 만생품종이 조생품종보다 높았으며, ADF와 NDF 함량은 조생품종이 높았다. 건물수량은 1년차 시험에서 조생품종Jlee select가 가장 높았으며(p<0.05), 9909와 Koolgrazer는 유사하였고, 중만생품종 Homil 22,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2년차 시험에서는 조생품종인 9909가 가장 높았으며(p < 0.05), Koolgrazer와 Ol-homil은 비슷하였고 Jlee select는 낮았고, 만생품종 Danko, Kior, Amilo 및 Spooner는 조생품종 보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2모작 작부체계에서 추파용 호밀은 조생품종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찬호, 김동암. 1992. 조 $\cdot$ 만생 사초용 호밀의 파종 및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I. 파종 시기별 수량 및 사료가치. 한초지. 12(4):246-252
  2. 권찬호, 김동암. 1994. 조 $\cdot$ 만생 사초용 호밀의 파종 및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II. 파종 및 수확시기별 수량 및 사료가치. 한초지. 14(4):316-323
  3. 권찬호, 김동암. 1995. 조 $\cdot$ 만생 사초용 호밀의 파종 및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III. 파종 및 수확시기별 생장 분석. 한초지. 15(1):37-42
  4. 김동암, 이효원, 서성, 허삼남. 1980. 외국산 도입 호밀의 청예 사초로서의 생산성 비교연구. II. 최종평가시험. 동물자원지. 22(6):461-469
  5. 김동암. 1987.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서울. pp. 219-233
  6.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4(3):238-246
  7. 김동암, 신정남, 고서봉, 김종덕, 박형수, 김수곤, 한철희. 1998. 다수성 목초 및 조숙성 사료작물 품종선발을 위한 생산 능력 검정. 농림부. pp. 58-72
  8. 김정갑, 양종성, 한민수, 이상범. 1988. 대맥 및 호맥의 건물생산과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화학성분, 소화율 및 에너지 함량 변화. 동물자원지. 30(3):193-198
  9. 김종덕, 김동암. 1994.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추파 호밀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4(3):238-246
  10. 농림부. 2002. 사료수입량. 21세기 조사료 생산과 환경 심포지움 별책, 한국초지학회
  11. 농협중앙회. 2003a. 푸른들 가꾸기용 호밀, 자운영 및 헤어리베치 종자 도입량. 농협무역
  12. 농협중앙회. 2003b. 2003년도 제1차 목초 및 사료작물품종 수입 적응성 심의위원회 자료. 한우낙농부
  13. 서 성. 1999. 호밀의 재배 이용특성과 호밀중심 사료작물 작부체계. 양질 조사료의 생산과 북한의 옥수수 생산기술. 한국초지학회. pp. 39-64
  14. 신정남, 윤익석. 1983. 생육시기가 silage의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4(1):41-60
  15. 신정남. 1999. 조 $\cdot$ 만생 사초용 추파호밀의 수확시기별 건물 수량 및 사료적 가치. 계명문화대학. 계명연구논총. 17:523-529
  16. 신정남, 고기환, 서국성. 2001. 조 $\cdot$ 만생 추파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비교. 계명문화대학. 계명연구논총. 19:305-310
  17. 신정남, 고기환. 2003. 도입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 계명문화대학. 계명연구논총. 21:289-295
  18. 지영린, 최범열, 김희태, 최현옥, 조재영, 이정행, 박찬호, 이은웅. 1975. 사료녹비작물학. 향문사. 서울 pp. 225-226
  19. A.O.A.C. 1980. Afficial method of analysis(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20. Briggle. L.W. 1959. Growing rye. U.S.D.A. Farmer's Bull. NO. 2146
  21.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es. Agr. Handbook 379. ARS, USDA. Beltsville
  22. Shimizu, N. 2002. Strategies on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self-supplying forage crops in paddy field in Japan. In Forage production and environment in 21C. JKGS. pp. 5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