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7,708건 처리시간 0.036초

남녀고등학생의 음주실태와 음주에 따른 식습관 비교 (Juvenile Drinking and Dietary Habit in High School Students)

  • 정은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rinking status, drinking habit and dietary habit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anonymous questionnaires. DVS and skipped meal status were obtained by 24 hour recall method. Two hundreds ninety seven of 380 students (78.2%) have experienced the drinking even though 73.7% of them was not addictive. One hundred sixty one students (54.2%) initiated drinking in the middle school, mostly because of ‘peer pressure’ and ‘curiosity’. The most plausible reasons for drinking were ‘for mingling’ and ‘for stress reduction’, and they used to have desire for drinking mostly when felt ‘anger or frustration’ and ‘feel good’. Drink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of first smoking, drinking history, amount, reason for drinking and desire for drinking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habits between drinking students and non-drinking students. DVS, skipped meal status, snack preferences and food intake frequency also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drinking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d, and drinking experience of female students approached to that of male student, more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juvenile drinking and its'prevention.

고등학생들의 추천도서목록 이용과 인식에 관한 연구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Use of Recommended Books List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5-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추천도서목록 이용과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 시내 7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11명의 학생들의 유효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이항로짓모형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천도서목록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년, 추천도서목록의 개별 적합성과 재미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고, 특히 추천도서목록의 개별 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추천도서목록을 이용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추천도서목록 이용을 덜할 것이라는 결과를 나타냈고 사서교사, 교과교사, 독서교육단체 및 기관이 각각 제작한 목록, 입시에 활용된 목록의 이용 의향이 여학생들에 비해 모두 낮았다. 셋째, 독서를 잘 하지 않거나 즐기지 않는 학생들이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제작 추천도서목록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서교사들의 인식과는 다르게, 독서를 즐기거나 독서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잘하는 학생들이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제작 추천도서목록에 대해 오히려 긍정적인 이용 의향을 보였다. 넷째, 모든 유형의 추천도서목록 가운데 학생들은 입시에 활용된 추천도서목록에 가장 긍정적인 이용 의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생들이 추천도서목록을 포함한 다양한 도서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의 비계(scaffold)를 고민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남녀 중.고등학교 학생의 신체활동과 비만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62
    • /
    • 2010
  • Purpose: Adolescent obesity is a growing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f 2007. The study included 282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health survey questionnaires regarding physical activity.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with vigorous and moderate activity and walking. BMI was used as an obesity indicator. Analyses were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hi-square test. In addit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when adjusting for covariates. SAS/WIN 9.1 was used. Results: Boys spent more days in vigorous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than girls (p for vigorous activity: <.001, for moderate activity: <.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activity between boys and girls an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ly days spent in vigorou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 compar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013).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MI for high school boys (p=.041). However, when adjusting for age, sex, school, parental income, daily caloric intake, physical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obesity.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nt not enough days in doing low moderate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Thus, this strengthens the need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level in these populations. In spite of no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from multivariate analysis, increas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for high school boy could be effective to prevent and manage obesity, sinc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derate activity and obesity in this population.

소득과 부/모와의 정서적 친밀감이 중고교 청소년의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come and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mother on middle and high school-adolescent's alienation)

  • 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05-111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come and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mother on middle and high school-adolescent's alienation The subjects were 32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d with two-parent in Keoungbok and whose household income was lower \4,000,000.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2.1).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s alienation was difference. The level of the high school adolescent's alienation was higher than the middle school adolescent's alienation. 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s alienation was differed by level of income and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mother. The lower level of income and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mother, the higher level of adolescent's alienation. 3) Among the income,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mother, the income was more influential predictor on high school-adolescent's alienation. But the incom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middle school-adolescent's alienation.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 was more influential predictor on middle school-adolescent's alienation.

가출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가출 생각이 있는 청소년들에서의 가출 실행 위험 요인 연구 (A Study on Risk Factors for Runaway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Runaway Experience and Adolescents with Runaway Contemplation)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2-6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adolescents who have run away from home before and who have contemplated running away from home before, and to find risk factors that predict runaway behavior among them. Methods: The data of 「the survey on adolescents' right to adequate housing and the way to ensure their housing with the focus on social exclusion」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20) were analyzed. A total of 494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t-test,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carried out using SAS 9.2. Results: Gender,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school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adjusted odds ratio for runaway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tudents (AOR: 2.14, p<.001), lower in the middle economic class than in the high economic class (AOR: 0.64, p=.051), lower in the 4th quartile group of self-esteem (AOR: 0.52, p=.041), and higher in high school students (AOR: 1.55, p=.050). Conclusion: Considering that male students, students from wealthier families, students with low self-esteem,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risk groups for runaway behavior, among adolescents who have contemplated running away before, interventions targeting these groups are needed.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Rearing Attitude, Covert Narcissism,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종운;김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041-10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4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524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내현적 자기애,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내현적 자기애와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교규범준수에는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에는 성취적이고 합리적인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흥미에는 성취적인 부모양육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이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이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성취적, 합리적 부모양육태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 다양한 부모교육과 목표설정을 안정적으로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순위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전북지역 초.중.고교 학생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in Jeonbuk Area : An Ordered Probit Analysis)

  • 임성수;양재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9-554
    • /
    • 2013
  •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program. To obtain the data, 5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nbuk area were chosen for survey. A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lso, a ordered probit model is used to calculate marginal effects of several key variables. The study finds that key factors that affec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re rural area schools, elementary school's students, and education for school meals or food nutriti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in urban and rural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do this, importance of school meals is to build up the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For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in school meals should be supplied based on GAP, HACCP certificated companies such as US FTS(Farm to School) program.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 실태: 학교의 학생 선발과 학생의 진학 결정 (The Practice of Vocational and Meister High Schools' Admission Selection and Students' School Choices Through Admission Process)

  • 백선희;이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입학전형을 통하여 학교는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고 있는지, 학생은 자신의 적성, 흥미, 진로 등을 고려한 진학을 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학전형 과정을 홍보, 지원, 전형으로 구분하고 마이스터고 입학 담당 교사, 1학년 학부모,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진학률이 높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중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과정에서 학교는 성적 높은 학생을 모집하기 위한 홍보와 취업률 홍보에 중점을 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고등학교의 홍보 접근 기회의 불균형과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부족이 발견되었다. 둘째, 지원과정에 있어서 학교는 여전히 성적을 중시하는데 반해 학생은 진로를 고려한 진학 결정을 시도하고 있었다. 셋째, 전형과정에 있어 학교의 입장에서는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선발하는 학생이 차이가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의 입장에서는 성적이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할 경우 특별전형이 일반전형에 비해 합격 가능성을 높일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입학전형이 보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홍보활동의 형평성과 홍보 내용의 구체화, 학교단위의 선발 및 지원 방식에 대한 재검토, 성적 이외의 인성과 역량 등과 같은 다양한 전형요소의 평가 비중 조정, 적성과 흥미 및 진로를 고려한 의사결정을 위한 학생의 노력과 학부모 및 학교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행동특성 분석 (An Analysi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Talented Students in Open-e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신인선;김시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3-59
    • /
    • 2006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의 구성원인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의 개방형 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고등학교의 설립취지인 영재교육의 의미를 되새기고, 학교 교육의 본질적 기능인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의미 있는 학습'이 이들에게도 실현될 수 있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3단계 판별절차를 거쳐 연구대상 학생 8명(수학 영재아 4명, 수학 우수아 4명)을 선발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마련한 틀에 의하여 두 그룹 학생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의 결론은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구성을 우수 동질집단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수학적 행동특성 전 분야에서 우수성을 나타내는 수학 영재아와 수학 교과 학습능력이 우수한 수학 우수아로 나누어져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2) 과학고등학교의 구성원인 수학 영재아와 수학 우수아 두 그룹 사이의 행동 특성 차이를 이해하고, 과학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일반계 고등학교와 동일한 교육과정에 대한 속진 심화 학습의 형태로 운영되어서는 안되며, 영재교육기관으로서 이들의 특성에 알맞은 창의성 신장을 위해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영재아들이 보통의 수학 우수아들과 동일한 교육에 의해 보편화되는 일을 줄이고 학교교육의 본질적 기능인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유발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 PDF

청소년의 사이버 데이팅 폭력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Cyber Dating Viol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박옥임;배영숙;김정숙;김종성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5-7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cyber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1-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65.3{\%}$ of the answerers experienced cyber dating, and $44.5{\%}$ of the students have experienced cyber dating violence. (2) $40.3{\%}$ of the students were damaged by psychological violence, and $21.1{\%}$ of the students have caused psychological violence. (3) $41.9{\%}$ of the damaged students and $18{\%}$ of the perpetrating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total answerers, but among 244 experienced students, $94.3{\%}$ were damaged students and $40.6{\%}$ perpetrated sexual violence, so it is concluded that experienced students experience sexual violence. (4) Looking over the social demography factors and cyber dating violence,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cyber violence experiences. (5)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cyber violence experi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