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fat-induced fatty liver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1초

골쇄보 열수추출물의 급여가 갱년기 유도 흰쥐의 대사개선 효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nariae Rhizoma Hot Water Extract on Metabolic Improvement i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Menopause)

  • 강미영;정수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70-374
    • /
    • 2016
  • Background: Many menopausal women suffer from health problems including metabolic diseases such as dyslipidemia and osteoporosis. Thus they need natural products and functional foods particularly highly nutritional food products, that can help alleviate these disea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Drynariae Rhizoma water extract on the lipid and bone metabolism of ovariectomized Sprague-Dawley rats. Methods and Results: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dietary groups comprising SHAM-operated rats, OVX rats (normal diet), and OVX-DR rats (Drynariae Rhizoma extract). After 8 weeks, plasma, liver, and fat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lipid metabolism, plasma Ca, alkaline phosphatase (ALP), osteocalcin and C-terminal telopeptide (CTx) concentrations, which are biochemical makers of bone metabolism. The left femurs of rats were also collected for histological analyses. OVX counteracted menopause induced body weight gain, as well as increases in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free fatty acids. The Drynariae Rhizoma group showed low levels of triglycerides, high HDL-cholesterol, and decreased lipogenesis based on activity of the lipid-regulating enzymes (fatty acid synthase and malic enzyme). Decreased serum levels of ALP and osteocalcin were observed in Drynariae Rhizoma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rynariae Rhizoma extract may effectively regulate hyperlipidemia and improve bone density.

Poricoic acid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억제 효능 (Preventive Effect of Poricoic Acid agains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김혜란;정대영;김세이;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62-970
    • /
    • 2022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진행질환으로, 중성지방 침착, 염증 및 간 섬유화가 동반되어 간경변증과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Poricoic acid (PoA)는 복령의 약효성분으로 여러 약리작용이 보고되었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 효능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A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병인에 작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하는지를 in vivo 및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는 식이(high fat and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 HFMCD)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서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된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간 독성을 나타내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도 감소시켰다. Oil Red O 염색 및 hematoxylin & eosin 염색의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증가하는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qPCR 결과에 의해서도 PoA는 중성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간 조직에서 CD68 면역 염색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는 CD68 면역 염색을 감소시켰으며,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감소시켰다. 더욱이 Sirius red 염색과 α-smooth muscle actin (α-SMA) 면역 염색으로 간 섬유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PoA는 HFMCD에 증가되는 sirius red 염색과 α-SMA 면역 염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PoA는 palmitate (Pa)로 처리한 간세포 AML12에서 Pa에 의해 증가하는 중성 지방산 합성, 염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oA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중요 병인인 중성지방 생성, 염증 및 섬유화를 억제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green tea extract microencapsulation on hypertriglyceridemia and cardiovascular tissues in high fructose-fed rats

  • Jung, Moon Hee;Seong, Pil Nam;Kim, Myung Hwan;Myong, Na-Hye;Chang, Moon-J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5호
    • /
    • pp.366-372
    • /
    • 2013
  • The application of polyphenols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in the field of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due to their potential health benefits in human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polyphenols depends on their bioactivity and bioavailability. In the present study, the bioactive component from green tea extract (GTE) was administrated orally (50 mg/kg body weight/day) as free or in a microencapsulated form with maltodextrin in rats fed a high fructose diet. High fructose diet induced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hypertriglyceridemia, hyperuricemia, increased serum total cholesterol, and retroperitoneal obesity. In addition, myocardial fibrosis was increased. In rats receiving high fructose diet, the lowering of blood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non esterified fatty acid (NEFA) and uric acid, as well as the reduction in final body weight and retroperitoneal fat weight associat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GTE, led to a reversal of the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P < 0.05). In particular, the administration of microencapsulated GTE decreased myocardial fibrosis and increased liver catalase activity consistent with a further alleviation of serum NEFA, and hyperuricemia compared to administration of GT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microencapsulation of the bioactive components of GTE might have a protective effect on cardiovasucular system by attenuating the adverse features of myocardial fibrosis, decreasing uric acid levels and increasing hepatic catalase activity effectively by protecting their bioactivities.

Medium- and long-chain triglyceride propofol reduces the activity of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in hepatic lipid metabolism in HepG2 and Huh7 cells

  • Wang, Li-yuan;Wu, Jing;Gao, Ya-fen;Lin, Duo-mao;Ma, J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20
  • Medium- and long-chain triglyceride (MCT/LCT) propofol is widely used as an intravenous anesthetic, especially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MCT/LCT propofol is safe in the hyperlipidemic population for long-term use. Free fatty acids (FFAs) were used to establish high-fat stimulation of HepG2 and Huh7 cells. Subsequently, these cells were treated with propofol at the concentration of 0, 4, or 8 ㎍/ml for 24 and 48 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ell viability was notably decreased when the cells were stimulated with 2 mmol/L FFAs and treated with 12 ㎍/ml MCT/LCT propofol. Accordingly, we chose 2 mmol/L FFAs along with 4 and 8 ㎍/ml MCT/LCT propofol for the subsequent experiments. Four and 8 ㎍/ml MCT/LCT propofol inhibited FFA-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the cells and significantly reversed acetyl coenzyme A carboxylase (ACC) activity. In addition, MCT/LCT propofol not only significantly promot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but also reversed the FFA-induced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In conclusion, MCT/LCT propofol reverses the negative effects caused by FFAs in HepG2 and Huh7 cells, indicating that MCT/LCT propofol might positively regulate lipid metabolism.

Gelidium amansii extract ameliorates obesity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 diet-induced obese mice

  • Kang, Ji-Hye;Lee, Hyun-Ah;Kim, Hak-Ju;Han, Ji-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17-24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Gelidium amansii extract (GAE) ameliorates obesity in diet-induced obese (DIO) mice. MATERIALS/METHODS: The mice were maintained on a high-fat diet (HD) for 5 weeks to generate the DIO mouse model. And then mice fed HD plus 0.5% (GAE1), 1% (GAE2) or 2% (GAE3) for 8 weeks. RESULTS: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GAE-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D group in body weight gain and liver weight. GAE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D group in both epididymal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mass. The plasma lept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D group than in GAE-supplemented groups. The leptin level of HD+GAE3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HD+conjugated linoleic acid (CLA) group. In contrast, plasma adiponectin level of the H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HD+GAE2 and HD+GAE3 groups. The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ic proteins such as fatty acid synthas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in the GAE supple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in HD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HD+GAE2 and HD+GAE3 group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HD+CLA group. On the contrary, the expression levels of hormone-sensitive lipase and phospho-AMP-activated protein kinase, proteins associated with lipoly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AE supplemented groups compared to those in the HD group. HD+GAE3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among the GAE supplemented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AE supplementation stimulated the expressions of lipid metabolic factors and reduced weight gain in HD-fed C57BL/6J obese mice.

Nicotinamide riboside regulates inflammation and mitochondrial markers in AML12 hepatocytes

  • Lee, Hee Jae;Yang, Soo 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1호
    • /
    • pp.3-1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e $NAD^+$ precursor nicotinamide riboside (NR) is a type of vitamin $B_3$ found in cow's milk and yeast-containing food products such as beer.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NR prevents hearing loss,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lzheimer's disease, and mitochondrial myopath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R on inflammat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AML12 mouse hepatocytes. MATERIALS/METHODS: A subset of hepatocytes was treated with palmitic acid (PA; $250{\mu}M$) for 48 h to induce hepatocyte steatosis. The hepatocytes were treated with NR ($10{\mu}M$ and 10 mM) for 24 h with and without PA. The cell viability and the levels of sirtuins, inflammatory markers, and mitochondrial markers were analyzed. RESULTS: Cytotoxicity of NR was examined by PrestoBlue assay. Exposure to NR had no effect on cell viability or morphology. Gene expression of sirtuin 1 (Sirt1) and Sirt3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NR in PA-treated hepatocytes. However, Sirt1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hepatocytes treated with low-dose NR. Hepatic pro-inflammatory marker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were decreased in NR-treated cells. NR upregulated anti-inflammatory molecule adiponectin, and, tended to down-regulate hepatokine fetuin-A in PA-treated hepatocytes, suggesting its inverse regulation on these cytokines. NR increased levels of mitochondrial marke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alpha}$,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uncoupling protein 2, transcription factor A, mitochondrial and mitochondrial DNA in PA-treated hepatocytes. CONCLUSIONS: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NR attenuated hepatic inflammation and increased levels of mitochondrial markers in hepatocytes.

식방풍잎(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의 물추출물이 3T3-L1 세포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에서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L. on 3T3-L1 Cell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정호경;심미옥;장지훈;김태묵;안병관;김민석;정원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는 식방풍잎(PJT) 물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방전구세포인 3T3-L1과 5주령된 C57BL/6 수컷 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T3-L1 분화실험에서는 PJT를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형성 관련 인자인 C/EBPα 와 PPARγ의 유전자를 억제하였고, 그로 인하여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 축적을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동물실험은 C57BL/6 수컷 쥐30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으로 나눈 뒤 2주간 사육하여 다시 고지방식이군은 고지방식이군, PJT100, PJT300, PJT500 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JT 섭취군에서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PJT섭취군에서 낮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지질함량, leptin 수준 증가는 PJT 섭취에 따라 낮아졌다. 반면, adiponectin 과 HDL-C 수준감소는 PJT 섭취에 따라 증가하였다. H&E staining으로 관찰한 지방세포의 크기도 PJT 섭취 시 감소하였으며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인 PPARγ, SREBP-1c, FAS의 발현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시 PJT 섭취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PJT의 섭취는 지방전구세포 및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모델에서 지방합성관련인자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하고 혈중 adipokine의 농도를 개선시켜 체지방 축적을 억제시켰다. 이로 인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체중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이상지질혈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Mice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Pine Cone (Pinus koraiensis) Supercritical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다솜;이민희;김혜숙;정특래;양현필;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1-170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 식이를 통한 비만을 유도시키며 동시에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여 8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20 mg/kg b.w.(HFD+PC low),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100 mg/kg b.w. (HFD+PC high) 섭취군의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대조군(HFD)에 비해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백색 지방, 총 지방 무게의 변화량 역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V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이 HFD군에 비해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DL/LDL 비율을 계산한 결과에서는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 조직에서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PPAR-{\gamma}$, SREBP, C/EBP)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adipogenic enzyme(FAS, LPL)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 섭취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고지방식이 비만쥐의 지방관련 단백질의 변화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Proteins in Liver of High-Fat Fed Obese Mice)

  • 서은희;한영;박소영;고형종;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19-1026
    • /
    • 2010
  • 과체중과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신진 대사 질환의 발병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고지방식이는 비만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생쥐에게 22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비만과 고혈당을 유도하였다. 22주 후에 고지방식이를 한 생쥐들에서 체중과 혈장 포도당 수준이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복막 내 당 부하 검사(IPGTT)에서도 고지방 식이를 한 생쥐들은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서 당 내성 이상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지방식이가 C57BL/6 생쥐에서 비만 및 고혈당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고지방식이군 생쥐들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생쥐들에 비해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간에서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도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에서의 지질대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지질대사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지방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 중 FAS와 GPAT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 되어있었으며, 지방 수송에 관련하는 단백질 중에서도 ApoB 및 MTP의 큰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서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대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AMPK의 단백질의 양과 인산화 정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가 지질 합성과 지질 수송과정을 생리학적으로 증가시키지만, 역설적으로 AMPK의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LETF 당뇨모델동물을 이용한 맥문동 추출물(LP9M80-H)의 당뇨질환에 대한 효능 (LP9M80-H Isolated from Liriope platyphylla Could Help Alleviate Diabetic Symptoms via the Regulation of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

  • 김지은;황인식;구준서;남소희;최선일;이혜련;이영주;김윤한;박세진;김남수;최영환;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34-641
    • /
    • 2012
  • LP9M80-H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으로부터 메탄올과 헥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새로운 추출물로서 ICR 마우스에서 인슐린분비를 촉진하며, 간과 뇌 조직에서 인슐린 신호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LP9M80-H가 당뇨와 비만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OLETF 모델동물에 LP9M80-H를 2주간 투여한 후 당뇨와 비만과 관련된 주요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비록 체중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복부 지방량은 vehicle 투여군보다 LP9M80-H 투여군에서 적었다. 또한, 혈중 포도당농도는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가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낮았으나 인슐린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혈청 내 3가지 주요 지질의 농도는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지방의 산화를 촉진하는 아디포넥틴의 농도도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감소하였다. 더불어, 체내에 분비된 인슐린이 표적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간조직에서 인슐린 수용체와 인슐린 수용체기질(iRS)의 발현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2가지 단백질은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vehicle 투여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인슐린 신호 경로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포도당 수송체 중에서 Glut-2와 Glut-3 발현은 LP9M80-H를 투여한 OLETF 랫드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반면에, Glut-4 발현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LP9M80-H는 포도당 항상성과 지질농도의 조절을 통하여 당뇨와 비만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