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concentration of ethanol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32초

에탄올과 식이지방량이 흰쥐의 혈액성상과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Consumption and Fat Content in Diet on Biochemical Indices of Blood and Liver in the Rat)

  • 최영선;정경희;조성희;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2
    • /
    • 1990
  •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anol and dietary fat on growth and bichemical indices of liver tissue and blood in rats 40 male rats of Sprague-Dawley wtrain weighing about 160g were divided into 5 groups (low-fat diet group ethanol-administered low-fat diet group high-fat diet group ethanol-administered high-fat diet group and commercial diet group)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Ethanol-administered groups consumed ethanol corresponding to 22 cal% which was considered as moderate drinking. Neither the ethanol intake nor the dietary fat level affected calorie intake. Nonetheless the low-fat diet group with ethanol had the lowest growth rate and 2-fold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There was no effect of ethanol and dietary fat level on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lipid composition of liver tissue. The level of lipid peroxide of liver tissue tended to be increased by ethanol intake but the increas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tnt. The low-fat ethanol group had lowered hepatic mitochondrial respiration rate and deformed structure of mitochondria of hepatocytes.

  • PDF

Transparent Thin Film Dye Sensitized Solar Cells Prepared by Sol-Gel Method

  • Senthil, T.S.;Kang, Mis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1188-1194
    • /
    • 2013
  • Transparent $TiO_2$ thin films have been prepared by sol-gel spin coating method. The sols used for deposition of thin film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ethanol content. The effect of ethanol (solvent) concentration and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performance of $TiO_2$ thin film solar cells has been stud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 deposited films are amorphous in nature. $TiO_2$ thin films annealed at temperatures above $350^{\circ}C$ exhibited crystalline nature with anatase phase.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films improved with increase of annealing temperature. The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mages showed lattice fringes corresponding to the anatase phase of $TiO_2$. The band gap of the deposited films has been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e in annealing temperature and increase with increase in ethanol concentration. The dependents of photovoltaic efficiency of the dye-sensitized $TiO_2$ thin film solar cells (DSSCs) with the amount of ethanol used to prepare thin films was determined from photocurrent-voltage curves.

고농도 Galactose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의 육성 (Development of Ethanol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Using High Concentration Galactose)

  • 김주혜;윤민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41-46
    • /
    • 2011
  • 에탄올을 생성하는 고농도 galactose 발효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No. 9를 선발하여 비교균주인 S. cerevisiae NRRL Y-1528과 함께 glucose, mannose, galactose에서 순치배양하고, 이어서 이들 3개의 탄소원을 기질로 사용하여 발효 효율을 평가하였다. 모균주인 No. 9의 에탄올 생산은 초기 12시간에는 천천히 상승하다가 18시간 후에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그 수율은 $[EtOH]_{max}/Sugar]_{ini}(g/g)$을 퍼센트로 환산하였을 때 glucose, galactose, mannose의 3개 기질에서 비교용 균주 NRRL Y-1528와 비슷한 36~38%로 수준이었고 실험한 3 균주 모두 galactose 발효에 있어서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순치배양 조건이 에탄올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전통적인 EMS 처리에 의하여 모균주인 galactose 발효성 효모 S. cerevisiae No. 9로부터 에탄올 발효력이 향상된 변이주 Mut-5 (SJ1-40), -17 (LK4-25) 및 -24 (LK2-48) 3개주를 선발하였다. 기질인 10, 15, 20% galactose를 이용한 에탄올 발효능을 실험 하였을때 모균주 No. 9 및 변이주에서도 galactose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lactose 20% 농도에서 변이주는 모균주보다 에탄올 발효율이 39.9~51.6% 높았으나, 비교용 균주 S. cerevisiae NRRL Y-1528의 에탄올 발효력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Schizandrin함량이 높은 음료개발올 위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추출조건 (Extraction Condi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or Beverage Develooment of High Scizandrin Concentration)

  • 최은오;이봉수;박용수;서은옥;정봉우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71-275
    • /
    • 2008
  • 오미자를 이용한 고기능성 음료개발을 위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오미자의 기능성분 함량 및 anthocyanin 색소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분쇄하지 않은 오미자를 이용해서 추출한 경우, Bl값은 차이가 없었으나, schizandrin은 20% 수준에 그쳐 최종적으로 분쇄한 오미자를 시료로 설정하였다. 분쇄한 오미자는 $40^{\circ}C$, 75% ethanol로 추출했을 때 schizandr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Bl 값은 온도와 ethanol 함량이 높아 질수록 감소하였다. 높은 기능성과 제품의 관능성을 고려할 때 schizandrin 함량과 Bl값을 최적으로 만족하는 조건은 분쇄 오미자를 $46^{\circ}C$에서 24% ethanol을 사용하여 3시간 추출했을 경우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Detoxification of Eucheuma spinosum Hydrolysates with Activated Carbon for Ethanol Production by the Salt-Tolerant Yeast Candida tropicalis

  • Ra, Chae Hun;Jung, Jang Hyun;Sunwoo, In Young;Kang, Chang Han;Jeong, Gwi-Taek;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6호
    • /
    • pp.856-86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slurry contents and salt concentrations for 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s of the seaweed Eucheuma spinosum. A monosaccharide concentration of 44.2 g/l as 49.6% conversion of total carbohydrate of 89.1 g/l was obtained from 120 g dw/l seaweed slurry. Monosaccharides from E. spinosum slurry were obtained by thermal acid hydrolysis and enzymatic hydrolysis. Addition of activated carbon at 2.5% (w/v) and the adsorption time of 2 min were used in subsequent adsorption treatments to prevent the inhibitory effect of HMF. The adsorption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powder was 1,400-1,600 m2/g and showed selectivity to 5-hydroxymethyl furfural (HMF) from monosaccharides. Candida tropicalis KCTC 7212 was cultured in yeast extract, peptone, glucose, and high-salt medium, and exposed to 80, 90, 100, and 110 practical salinity unit (psu) salt concentrations in the lysates. The 100 psu salt concentration showed maximum cell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The ethanol fermentations with activated carbon treatment and use of C. tropicalis acclimated to a high salt concentration of 100 psu produced 17.9 g/l of ethanol with a yield (YEtOH) of 0.40 from E. spinosum seaweed.

마라소스 주원료인 고추 및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Effects of Red Pepper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Ethanol Extract, Main Ingredient of Mara Source)

  • 공연희;최금부;김태석;여익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44-15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중국 사천지역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확인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중국 사천지역 고추,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투여 후 체중, 간과 복부 피하지방 무게,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고추 및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HCA(hydroxyl citric acid)를 경구투여한 군의 6군으로 분류하여 8주간 사육 후, 체중, 간, 피하지방,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복부 피하지방, 혈장지질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 8주 후 고지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켰고, 복부 피하지방 양은 고지방군 3.77 g, 고추군, 산초군, 고추와 산초복합군은 각각 0.88 g, 0.9 g, 0.97 g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복부 피하지방 양을 감소시켰다(P<0.05).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혈액 내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고지방군에 비해 고추, 산초 및 고추와 산초복합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P<0.05)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콜레스테롤의 분해 및 배설을 촉진하여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켜, 고추 및 산초에탄올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만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랙푸드 첨가에 따른 약콩 청국장 및 대두청국장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black-bean-Chungkukjang-added black food and soybean Chungkukjang extracts)

  • 박현숙;신승렬;홍주연;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35-743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약콩청국장에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 분말을 첨가한 약콩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식품학적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약콩청국장,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블랙푸드 첨가한 약콩청국장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0.625~5.0 mg/mL의 농도에서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으나 10 mg/mL의 농도에서는 대두청국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청국장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3.0일 때 보다 높았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0.625 mg/mL의 농도에서는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대두청국장의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블랙푸드 첨가 약콩청국장과 대두청국장 추출물에서 높았다.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의 향장학적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박도영;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13-517
    • /
    • 2017
  • 본 연구는 향장품 소재로 물이 IC50 680.98ppm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활성 산소 소거능에서는 50% 에탄올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IC50 646.94, IC50 661.94ppm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각 에탄올 추출물은 일정농도(100-10000ppm)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에탄올 추출 농도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에 각각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NO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0% 이상의 에탄올 추출물(10000ppm)에서 85%이상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보였으며,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보였다. 또한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각 추출물의 모든 농도에서(1250-10000ppm)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소재로서 각 추출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과 항염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조건이 홍삼엑기스의 질소화합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Ethanol Concentration on Nitrogeneous Constituents of Red Ginseng Extract)

  • 성형순;김우정;양차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1985
  • The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RG-EXT) was prepared by extracting the ginseng tails with 0-90% ethanol solution at 70-100$^{\circ}C$ and analyzed for amino acids composition and other nitrogeneous fr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nonprotein fraction was more than 90% of the total N-compounds and 17 free amino acids were ident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aximum and minimum N-compounds or total free amino acids were recovered in RG-EXT with 50% and 90% ethanol, respectively. An increase in ethanol concentration resulted a significant change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while extraction temperature caused a little gradual decrease in water soluble nonprotein and total nitrogen fractions.

  • PDF

프로폴리스의 세립형성에 따른 수율 및 관능적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in Yield and Organoleptic Properties Depending on Granule Formation of Propolis)

  • 이기동;윤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89-694
    • /
    • 2003
  • 꿀벌의 벌집에서 채집되어지는 프로폴리스는 항염증, 항암성 등의 민간의학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0~100%), 에탄올 농도(20~100%) 및 에탄올 용액 분무량 (6~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세립형성에 따른 수율, 교반에 의한 분쇄율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수율의 경우 에탄올 함량이 감소할수록 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쇄율의 경우 에탄올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 향, 맛, 입안에서의 느낌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총당에 대한 포도당의 함량, 에탄올 농도 및 에탄올 함량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 47.94%, 에탄올 농도 56.45%및 에탄올 용액 분무량 8.04%일 때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6.90의 평점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