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methylcyclotrisiloxan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변성 Acrylate Resin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 Modified Acrylate Resin)

  • 강두환;금민우;윤재선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54-158
    • /
    • 2010
  • $\alpha$,$\omega$-Dichlorohexamethyltrisiloxane의 aniline과 고리 반응으로부터 N-phenylcyclotrisiloxazane($D_3^{NPh}$)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cyclotrisiloxane$D_3$과 이온 공중합시켜 poly(dimethylsiloxane-co-N-phenylsiloxazane)공중합체(PDMS-NPSOX)를 제조하였다. 이를 chloroethyl methacryalte에 도입하여 PDMS-NPSOX unit가 도입된 아크릴 단량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MMA 및 n-butyl acrylate와 공중합시켜 PDMS-NPSOX가 도입된 삼원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량체 조성은 생성 공중합체의 $T_g$가 25 $^{\circ}C$가 되도록 선택하여 공중합시켰다. 공중합체에서 PDMS만 도입된 경우 $T_g$가 20 $^{\circ}C$인데 비하여 PDMS-NPSOX unit이 도입됨에 따라 25 $^{\circ}C$로 증가되었으며 접착력도 1.76 N/cm에서 2.23 N/cm로 증가되었다.

Naphthoquinone-1,2-Diazaide-Sulfonyl기 치환 Polysiloxane의 합성과 그 감광특성 (Synthesis and Photocharacteristics of Polysiloxane substituted Naphthoquinone-1,2-diazide sulfonyl group)

  • 강두환;정낙진
    • 공업화학
    • /
    • 제2권4호
    • /
    • pp.348-355
    • /
    • 1991
  • Hexamethylcyclotrisiloxane($D_3$), tetramethylcyclotetrasiloxane(TMCTS)을 공중합 시켜 Si-H 결합을 함유한 polysiloxane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allylamine과 반응시켜 amino 기를 도입시킨후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chloride 와 반응시켜 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yl 기가 도입된 polysiloxane을 합성하였다. 생성 공중합체의 열적특성을 측정한 결과, 열분해온도는 $360{\sim}450^{\circ}C$ 정도였으며 또한 감광특성은 backbone 수지의 분자량이나 증감제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Sensitivity는 $50{\sim}120mJ/cm^2$였고 contrast(${\gamma}$)는 1.4~2.1였으며 backbone 수지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 PDF

식물 생장 촉진 진균에 의한 담배의 생장 촉진과 뿌리 발달 (Growth promotion and root development of Nicotiana tabacum L. by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PGPF))

  • 홍은혜;이진옥;김수정;;김영남;김지성;김선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37-344
    • /
    • 2020
  • 식물생장촉진 미생물은 식물 뿌리에 영양을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를 이용하여 식물의 내재 인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생장을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생장 촉진 진균 UOS의 담배에서의 생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고,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또한, UOS의 식물 생장 촉진 인자를 탐색하고자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분석을 통해 UOS의 VOCs를 확인하였다. UOS를 처리한 담배는 무처리구에 비해서 3.8배의 생중량이 증가하였고, I-plate를 이용한 분리된 공간에서는 UOS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생중량이 4.2배 증가하였다. 또한, UOS 처리구의 식물은 주근의 길이가 약2배 짧아지고 측근의 수가 약2배 증가하였다. UOS은 포자 및 균사 형태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하여 Phoma sp.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GC-MS분석을 통해 UOS는 hexamethylcyclotrisiloxane (D3)라는 VOC를 갖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Phoma sp.의 진균 UOS가 VOC물질인 D3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식물 생장 촉진 및 뿌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UOS와 그의 VOC인 D3의 활용은 농업에서 생장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압 유전체배리어방전으로 합성 및 산화 처리된 SiOxCy(-H) 박막의 부식방지 특성 (Anti-corrosion Properties of SiOxCy(-H) thin Films Synthesized and Oxidized by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김기택;김윤기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201-206
    • /
    • 2020
  • A SiOxCy(-H) thin film was synthesized by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APDBD), and a SiO2-like layer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by oxidation treatment using oxygen plasma. Hexamethylcyclotrisiloxane was used as a precursor for the SiOxCy(-H) synthesis, and He gas was used for stabilizing APDBD. Oxygen permeability was evaluated by forming an oxidized SiOxCy(-H) thin film on a PET film. When the single-layer oxidized SiOxCy(-H) film was coated on the PET, the oxygen gas permeability decreased by 46% compared with bare PET. In case of three-layer oxidized SiOxCy(-H) film, the oxygen gas permeability decreased by 73%. The oxygen permeability was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SiO2-like layer formed by oxidation treatment ra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OxCy(-H) film. Th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was demonstrated by coating an oxidized SiOxCy(-H) thin film on the silver-coated aluminum PCB for light emitting diode (LED).

Semi-Permanent Hydrophilization of Polyester Textile by Polymerization and Oxidation Using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PDBD)

  • Se Hoon Shin;Yoon Kee Kim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5-123
    • /
    • 2023
  • In this paper, we report and discuss the semi-permanently hydrophilic (SPH) treatment of polyester fabric using plasma polymerization and oxidation based on atmospheric press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PDBD) technology. SiOxCy(-H) was coated on polyester fabric using Hexamethylcyclotrisiloxane (HMCTSO) as a precursor, and then plasma oxidation was performed to change the upper layer of the thin film to SiO2-like. The degradation of hydrophilicity of the SPH polyester fabrics was evaluated by water contact angle (WCA) and wicking time after repeated washing.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coated yarns was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presence of the coating layer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Si peak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 WCA of the SPH polyester fabric increased to 50 degrees after 30 washes, but it was still hydrophilic compared to the untreated fabric. The decrease in hydrophilicity of the SPH fabric was due to peeling of the SiOxCy(-H) thin film coated on polyester yarns.

항진균성 지의류 내생 곰팡이 및 항진균성 물질의 탐색 (Detection of Antifungal Endolichenic Fungi and Antifungal Compound)

  • 천다미;장다솜;김혜영;최갑성;최상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5-171
    • /
    • 2013
  • 순천대학교 지의류 은행(Lichen Bioresources Center)에서 571종의 지의류 내생 곰팡이를 분양받아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여 4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종의 지의류 내생 곰팡이의 배양액 내에 존재하는 항진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isc diffusion method 방법을 이용한 결과 Stereocaulon sp. (1429,1430)가 C.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가장 좋았으며, 다음으로는 Graphis sp. (1245), Cryptosporiopsis diversispora (0156) 순으로 활성이 좋게 나타났으며, 이들 지의류 내생곰팡이가 고체배지와 액체배지에서도 항진균 활성 물질을 생성하였다. 고체배지에서와 액체배지에서 공통적으로 활성이 있는 지의류 내생 곰팡이 배양액의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추출물의 C. albicans의 항진균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4종 모두 chloroform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Candida albicans, Candida glabrata, Candida tropicalis, Candida lusitania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Stereocaulon sp. (1429, 1430)의 chloroform 추출물에서 모두 98%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고 Stereocaulon sp. (1429) 배양액의 chloroform 추출액과 ethyl acetate 추출액을 GC/MS를 이용해 성분을 분석한 결과 hexadecanonic acid-methyl ester, 14-octadecenoic acid-methyl ester, octadecenoic acid-methyl ester가 새로운 항진균 물질일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