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atologic valu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A New Inflammatory Prognostic Index, Based on C-reactive Protein, the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and Serum Albumin is Useful for Predicting Progn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ases

  • Dirican, Nigar;Dirican, Ahmet;Anar, Ceyda;Atalay, Sule;Ozturk, Onder;Bircan, Ahmet;Akkaya, Ahmet;Cakir, Munir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101-5106
    • /
    • 2016
  • Purpose: We aimed to establish an inflammatory prognostic index (IPI) in early and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based on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and to analyze its predictive value for NSCLC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685 patients with early and advanced NSCLC diagnosed between 2009 and 2014 was conducted with collection of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The IPI was calculated as C-reactive protein ${\times}$ NLR (neutrophil/ lymphocyte ratio)/serum album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prognostic value of relevant factors. Results: The optimal cut-off value of IPI for overall survival (OS) stratification was determined to be 15. Totals of 334 (48.8%) and 351 (51.2%) patients were assigned to high and low IPI groups, respectively. Compared with low IPI, high IPI was associated with older age, greater tumor size, high lymph node involvement, distant metastases, advanced stage and poor performance status. Median OS was worse in the high IPI group (low vs high, 8.0 vs 34.0 months; HR, 3.5; p<0.001). Progression free survival values of the patients who had high vs low IPI were determined 6 months (95% CI:5.3-6.6) and 14 months (95% CI:12.1-15.8), respectively (HR; 2.4, P<0.001). On multivariate analysis, stage, performance status, lactate dehydrogenase and IPI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S. Subgroup analysis showed IPI was generally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all clinical variables. Conclusion: The described IPI may be an inexpensive, easily accessible and independent prognostic index for NSCLC patients, useful for clinical practice.

Carboplatin/5-fluorouracil as an Alternative to Cisplatin/5-Fluorouracil for Metastatic and Recurrent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nd Nasopharyngeal Carcinoma

  • Kua, Voon Fong;Ismail, Fuad;Phua, Vincent Chee Ee;Aslan, Nik Muh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1121-1126
    • /
    • 2013
  • Background: Palliative chemotherapy with cisplatin/5-fluorouracil (5FU) is the commonest regimen employed for metastatic and recurrent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SCCHN) an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However, this regimen is cumbersome requiring 5 days of admission to hospital. Carboplatin/5FU may be an alternative regimen without compromising survival and response rat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carboplatin/5FU regimen with the cisplatin/5FU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looked at patients who had palliative chemotherapy with either cisplatin/5FU or carboplatin/5FU for metastatic and recurrent SCCHN and NPC. It included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UKMMC from $1^{st}$ January 2004 to $31^{st}$ December 2009 with either palliative IV cispaltin 75 $mg/m^2$ D1 only plus IV 5FU 750 $mg/m^2$ D1-5 infusion or IV Carboplatin AUC 5 D1 only plus IV 5FU 500 $mg/m^2$ D1-2 infusion plus IV 5FU 500 $mg/m^2$ D1-2 bolu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palliative chemotherapy in terms of overall response rate (ORR),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nd median overall survival (OS) and to evaluate the toxicities of both regimens. Results: A total of 41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There were 17 in the cisplatin/5FU arm and 24 in the carboplatin/5FU arm. The ORR was 17.7 % for cisplatin/5FU arm and 37.5 % for carboplatin/5FU arm (p-value=0.304). The median PFS was 7 months for cisplatin/5FU and 9 months for carboplatin/5FU (p-value=1.015). The median OS was 10 months for cisplatin/5FU arm and 12 months for carboplatin/5FU arm (p-value=0.110). There were 6 treatment-related deaths (6/41=14.6%), four in the carboplatin/5FU arm (4/24=16.7%) and 2 in the cisplatin/5FU arm (2/17=11.8%). Grade 3 and 4 hematologic toxicity was also more common with carboplatin/5FU group, this difference being predominantly due to grade 3-4 granulocytopenia (41.6% vs. 0), grade 3-4 anemia (37.5% vs. 0) and grade 3-4 thrombocytopenia (16.6% vs. 0). Conclusions: Carboplatin/5FU is not inferior to cisplatin/5FU with regard to its efficacy. However, there was a high rate of treatment-related deaths with both regimens. A better alternative needs to be considered.

한국산 잡종쥐의 성장에 따른 체중 및 혈액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 of Body Weight and Hematologic Value with Aging in Hybrid Mice - Preliminary Study -)

  • 이성헌;조길호;신세원;김명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69-174
    • /
    • 1985
  • 각 실험실마다 사용되는 동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소동물의 경우 사용되는 동물의 선택기준은 실험의 내용은 물론 추후검사의 성적을 수식할 수 있는 요소가 펄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쥐의 경우는 세계각국의 여러 실험실에서 다양한 종류에 대한 실험성적이 많이 보고되어 거의 체계화되어 있다고는 하나 같은 종류라 하더라도 사료의 종류, 환경, 사육방법 등에 따라 발육상태 및 반응이 매우 다르므로 각 실험실의 기본 정상치의 확립은 필수적인 것이다. 이에 본 영남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교실 소속 방사선 생물학 실험실에서는 잡종백서 731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1. 분만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추적하여 일령에 따른 체중, 철액상을 분석하여 본 실험실에서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일령 및 체중의 기본치를 정하고저 하였으며, 2. 통일한 쥐에서도 하루의 주기적인 변화에 차이가 매우 크므로 이를 분석하여 변화가 비교적 적으며 실험하기에 편리한 시간에서의 기본치를 측정하였고, 3. 위의 성적을 토대로 하여 본 병원 부속 연구소 소속 사육실에서 통일한 조건으로 사육된 암수 동수의 312마리의 쥐를 선택하여 체중, 혈액검사 및 요검사를 시행하여 이 분석결과를 본 실험실에서의 추후 실험을 위한 기본자료로 삼고저 하였다.

  • PDF

고식적 분할조사시 전복부 조사량에 따른 잡종 백서의 체중과 혈액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Radiation Effect on Body Weight and Hematological Changes of Hybrid Mice by Conventional Fraction, Large Abdominal Field Irradiation)

  • 이성헌;신세원;김명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53-157
    • /
    • 1985
  • X선의 생물체에 대한 효과는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이래 산발적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원폭의 인류사용을 계기로 하여 급격히 진행되어 왔다. 여러 가지 동물을 사용하여 수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나 그 중에서도 혈액상에 관한 변화는 근래에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저자들은 잡종 백서를 사용하여 방사선에 가장 감수성이 예민한 부위인 전복부에 고식적인 분할조사를 실시하여 체중과 혈액상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화학요법등과의 병합 치료에서 혈액상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기본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상악에 발생한 뮤코르 진균증의 치험례 (MUCORMYCOSIS IN MAXILLA : A CASE REPORT)

  • 김여갑;김주동;류동목;이백수;오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1호
    • /
    • pp.69-73
    • /
    • 2004
  • 뮤코르 진균증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종종 치명적일 수 있으며, Phycomycetes종의 기회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이 미생물은 부생의 호기성 진균(saprophytic aerobial fungus)이며 구강 점막, 부비동과 목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며 부패해 가는 식물, 거름, 고당 함유 음식 등에 나타난다. 뮤코르 진균증은 다양한 유형의 임상 형태로 면역결핍환자들에서 빠른 진행과 높은 치사율로 나타난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에서 두경부 영역에 감염된 예는 거의 없다. 본 교실에서는 58세 당뇨병이 있는 남자 환자에서 상악에 발생한 뮤코르 진균증의 증례에서 외과적 절제술과 ampotericin B의 정맥내 투여로 치료 되었으며, 현재까지 특별한 재발 소견 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10
  •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Cyclophosphamide로 유도된 빈혈 흰쥐에서 참당귀 열수추출물이 혈액학적 빈혈지표에 미치는 영향 (Hematological Effect of Water Extracts of Cham-Dang-Gui on Cyclophosphamide Induced Anemic Rat)

  • 한진아;장기효;강순아;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10호
    • /
    • pp.1013-1021
    • /
    • 2003
  • Anemia, the condition of the diminished concentration of hemoglobin per erythrocyte is common in patients with cancer and is a frequent complication of myelosuppressive chemotherapy. Cham-Dang-Gui (Angelicae Gigantis Radix)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o treat hematologic deficiencies. In this study, Cyclophosphamide (CYP), an alkylating agent that has a broad spectrum of anti-cancer activities,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the experimental animals to suppress the bone marrow thereafter, causing anemia. The hemopoietic effects of Cham-Dang-Gui were examined using anemic rat model.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 (control group), ANS (CYP-injected + normal diet), AND (CYP-injected + normal diet + Cham-Dang-Gui), ALS (CYP-injected + low iron diet), and ALD (CYP-injected + low iron diet + Cham- Dang-Gui) groups. CYP (30 mg/kg)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to rats for 3 days to induce anemic condition. Saline or Cham-Dang-Gui was administrated orally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CYP injection decreased body weight gain and food consumption in comparison with CON group. Oral administration of Cham-Dang-Gui extract with normal iron diet significantly prevented the lower body weight gain. The blood level of hemoglobin, iron status (serum iron, transferrin, ferritin and TIBC) and blood level of vitamin B-12 in Cham-Dang-Gui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am-Dang-Gui untreated groups regardless of amount of iron in the diet. Taken together,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ham-Dang-Gui extract could improve anemic condition induced by CYP injection by improving hematological value, iron status and vitamin B12 status in rats.

천연기념물 한국 산양의 혈액 및 혈액 화학적 정상표준범위 (Hematologic and biochemical reference intervals for natural monument Korean goral (Naemorhedus caudatus))

  • 안상진;최영진;김종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5-159
    • /
    • 2017
  • Korean goral (Neamorhedus caudatus) is registered as a natural monument number 217 by South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t is also recognized as the endangered species I by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In this study, blood samples of Korean goral were collected to make reference intervals. Blood sampling was conducted on 19 numbers of Korean gorals (ten females, nine males), which were reared in Korean Goral Restoration Center. For total samples, the reference intervals of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white blood cell $7.69{\sim}10.87K/{\mu}{\Lambda}$; hematocrit 36.73~46.18%; red blood cell $10.72{\sim}12.86K/{\mu}{\Lambda}$; hemoglobin 12.79~15.14 g/dL; mean corpuscular volume 33.15~36.75 fL; mean corpuscular hemoglobin 11.53~12.23 pg;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32.64-35.91 g/dL and red blood cell distribution width 39.2~43.46%. For total samples of each paramet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serum biochemistry: glucose 111.81~153.77 mg/dL; blood urea nitrogen 22.35~28.91 mg/dL; creatine 1.22~1.84 mg/dL; phosphate 4.57~6 mg/dL; calcium 8.7~9.1 mg/dL; total protein 6.53~6.92 g/dL; albumin 3.1~3.48 g/dL; globulin 3.26~3.62 g/dL; alanine aminotransferase 56.7~158.56 U/L; aspartate aminotransferase 230.35~473.06 U/L; alkaline phosphatase 178.06~332.47 U/L;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131.6-~181.24 U/L; total bilirubin 1.47~2.12 mg/dL; cholesterol 46.48~71.52 mg/dL; amylase 16.3~26.03 U/L; sodium 150.43~153.88 mmol/L; potassium 3.98~4.6 mmol/L and chlorine 109.48~113.26 mmol/L. The ranges of values were similar campared to previous studies except in the case of RDW value, which showed higher range than the RDW value of a previous study. The reference intervals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data for treatment and management of gorals.

넙치 치어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성상에 미치는 나프탈렌의 급성독성영향 (The Acute Toxicity of Naphthalene on Hematologic Properties in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선;류향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1-196
    • /
    • 2011
  • 넙치 치어에 대한 나프탈렌의 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구($0{\mu}g/L$), 1000, 1800, 3200, 5600, $10000{\mu}g/L$의 6개의 나프탈렌 농도구를 설정하여 24시간 동안 노출실험을 실시하고 혈액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넙치 치어에 대한 나프탈렌의 24h-$LC_{50}$$3600{\mu}g/L$를 나타냈다. 넙치 치어의 핼액학적 반응에서 헤마토크리트값은 5600, $10000{\mu}g/L$의 농도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글루코스는 $10000{\mu}g/L$의 농도 구에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삼투질 농도는 3200, 5600, $10000{\mu}g/L$의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이온분석 결과 [$Na^+$], [$K^+$]은 5600 및 $10000{\mu}g/L$ 나프탈렌 농도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Cl^-$]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음파상 지방간과 혈액학적 검사 및 체지방률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onographic Finding of Fatty Liver with Hematologic Examination and Body Fat Percentage)

  • 천해경;이태용;김영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4호
    • /
    • pp.437-444
    • /
    • 2009
  • 최근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질병의 예방 및 진단에 건강검진의 기본적인 검사로 복부 초음파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소에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는 사람들도 많은 질환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 중 지방간은 초음파 검사에서 많이 진단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개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15~81세의 검진자 3,5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복부초음파를 이용해서 지방간을 정상간, 경증지방간, 중등증 지방간, 중증지방간으로 분류하였고, 혈액학적지질검사, 비만도 측정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측정, 일반적인 특성으로 일상생활습관과의 관련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지방간의 유병률은 38.8%(남자 46.2%, 여자 24.2%)로 남자가 여자 보다 높고, 지방간과 혈액학적 지질과의 위험도는 중성지방이 5.00배, 콜레스테롤이 2.70배, HDL이 2.62배, LDL은 2.27배의 순이었다.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과의 위험도는 체질량지수 7.28배, 체지방률 3.16배순이고, 육식주의자와, 음주군이 위험도가 높았으며, 지방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중성지방, HDL, LDL, GGT, 성별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실시한 복부 초음파결과 중에서 지방간 소견을 보이고 그 외에도 다른 유소견의 발견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지방간은 여러 다른 임상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학적인 검사에서 지질 등의 관계를 살펴볼 때 검사에 이상이 있을 경우나 비만, 체지방률, 식습관, 음주, 운동과의 상관관계 등을 보면서 초음파 검사로 추적검사를 시행할 때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