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moisture treatment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산 및 열처리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quid upon Acid and Heat Treatment)

  • 이혜영;김성호;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9-549
    • /
    • 2012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식품개발의 기초자료확보를 위하여 산(acetic acid, 0~5%) 처리와 예비가열($55^{\circ}C$, $80^{\circ}C$) 후 열처리($100^{\circ}C$)에 따른 오징어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이 약 73~78%, 조단백이 약 19~24%였으며 자숙 오징어의 일반성분 함량은 산 농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자숙 오징어의 모든 시료에서 주요 유리당은 ribose와 glucose이었으며, $55^{\circ}C$ 예비가열 시료는 다른 시료보다 glucose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당 함량은 표피 무제거 시료와 $80^{\circ}C$ 예비가열 시료순으로 높았고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모든 시료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prol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taurine, histid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모든 자숙 오징어군에서 산 용액 처리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보였다(p<0.05).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55^{\circ}C$ 예비가열 시료가 가장 높았고 $80^{\circ}C$ 예비가열, 표피 무제거 시료순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시료에서 inosine이 검출되지 않았고 ATP 함량이 가장 낮았다. $55^{\circ}C$$80^{\circ}C$ 예비가열 시료는 hypoxanthine 함량이 가장 높고 AMP와 IMP 함량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표피 무제거 시료는 IMP 함량이 표피제거 시료보다 높았다. 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 약 40%로 palmitic acid 함량이 매우 높았고 불포화지방산은 약 60%로 EPA와 DHA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중 DHA 함량이 가장 높고 palmitic acid, EPA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가지가 총 지방산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방산은 산 처리와 가열 방법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인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순이었으며 예비가열 온도 또는 산 용액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중금속류인 카드뮴, 납, 비소는 미량으로 나타나 식품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식품소재로서의 Xylooligosaccharide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Xylooligosaccharide as Food Material)

  • 박윤제;이지완;이창승;류보경;양창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23
    • /
    • 2001
  • Xylan과 xylanase의 효소반응 후 생성되는 xylooligosaccharide를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 점도, 내열성 및 pH 안정성, 착색성, 수분보습력 등의 기본적인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70bx xylooligosacchride의 점도는 $20^{\circ}C$에서 930cP, $60^{\circ}C$에서 90 cp로 설탕보다 높았으나, 다른 올리고당류보다는 약간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pH $2.5{\sim}8.0$ 범위에서 $100^{\circ}C$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에도 전혀 분해되지 않고 안정하게 잔존하여 내열성과 pH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Xylooligosacchride의 pH는 $5.0{\pm}0.1$로서 pH $2.5{\sim}4.0$에서는 그 착색성이 매우 낮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착색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식품가공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아니었다. Glycine 1%가 함유된 아미노산 공존하에서의 착색성도 매우 낮았으며 pH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분보습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71일간 $25^{\circ}C$, 75% 상대습도에서 xylooligosacchride를 저장 후 측정한 결과 95% 이상의 중량을 유지하고 있어 28%가 감량된 설탕보다 수분손실이 훨씬 적어 수분보습력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xylooligosacchride는 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다양한 식품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우렁이 생체 및 가공제품의 저장안정성 조사 (Preservative Safety Analysis of the Fresh Apple Snails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 오병태;강성원;최성길;허호진;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0-346
    • /
    • 2008
  • 저장안정성을 검토하여 품질개선방안을 확립하고자, 우렁이 생체 및 반건조 우렁이 제품을 저장하는 기간중, 처리조건별 미생물의 경시적 변화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우렁이의 초기 총균수(${\log}_{10}\;CFU/g$)는 5.6으로 나타나 식품가공과 유통을 위해서는 살균처리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염침지농도, 건조온도, 건조시간에 따라 우렁이 생체의 조직감, 수분활성도, 건조 특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 때문에 가공 시에 약 10%의 염농도를 가진 침지액에 침지한 후 냉풍 건조하여 처리하여 저장성이 뛰어난 반건조제품을 제조하였다. 천연 보존제 및 연화제를 첨가하여 진공 포장하여 미생물 검사를 한 결과, 총균수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효모 및 곰팡이, 호염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가공처리 후 필수적으로 진공 포장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연 식품첨가물의 첨가시 우렁이 중간수분식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에, 가공시에는 파인애플 착즙액을 원료 대비 5% 첨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 개발된 우렁이 가공품은 우렁이가 함유한 여러 생리활성기능(항산화, 항염 및 간기능 개선)의 건강식품 이미지를 살리면서 우렁이를 주원료로 한 반건조 제품, 통조림, 건강음료, 분말 등 가공품의 품질특성을 부여된 가공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잣나무열처리재의 흡방습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ygroscopic Performance of Thermally Treated Pinus koraiensis Wood)

  • 장윤성;한연중;엄창득;박주생;박문재;최인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0-18
    • /
    • 2012
  •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거주공간은 단열성능 향상을 통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더욱 기밀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수분의 인위적인 배출과 외부공기의 인위적인 유입이 줄어듦에 따라 건축내장재의 자연조습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잣나무의 흡 방습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평형함수율과 흡 방습률을 측정하였고, 조도(거칠기)와 미시적 표면형상, 그리고 FT-IR spectrum과 흡방습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거주공간의 조습성능 정량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ranscriptome-based identification of water-deficit stress responsive genes in the tea plant, Camellia sinensis

  • Tony, Maritim;Samson, Kamunya;Charles, Mwendia;Paul, Mireji;Richard, Muoki;Mark, Wamalwa;Stomeo, Francesca;Sarah, Schaack;Martina, Kyalo;Francis, Wachir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02-310
    • /
    • 2016
  • A study aimed at identifying putative drought responsive genes that confer tolerance to water stress deficit in tea plants was conducted in a 'rain-out shelter' using potted plants. Eighteen months old drought tolerant and susceptible tea cultivars were each separately exposed to water stress or control conditions of 18 or 34% soil moisture content, respectively, for three months. After the treatment period, leaves were harvested from each treatment for isolation of RNA and cDNA synthesis. The cDNA libraries were sequenced on Roche 454 high-throughput pyrosequencing platform to produce 232,853 reads. After quality control, the reads were assembled into 460 long transcripts (contigs). The annotated contigs showed similarity with proteins in the Arabidopsis thaliana proteome. Heat shock proteins (HSP70),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peroxidase (PoX), calmodulinelike protein (Cam7) and galactinol synthase (Gols4) droughtrelated genes were shown to be regulated differently in tea plants exposed to water stress. HSP70 and SOD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drought tolerant cultivar relative to the susceptible cultivar under drought conditions. The genes and pathways identified suggest efficient regulation leading to active adaptation as a basal defense response against water stress deficit by tea. The knowledge generated can be further utilized to better underst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stress tolerance in tea.

북한산 국립공원의 고형 폐기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id waste of Buk Han Mt National Park)

  • 도갑수;장일영;김광진
    • 기술사
    • /
    • 제19권1호
    • /
    • pp.12-24
    • /
    • 1986
  • The number of visiters to Bukhan Mt. national park, generation quantity of solid waste and collection system were researched to consider a counterplan for the pollution control of the national park and study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treatment of solid waste was tried through the proximate analysis of each component containing.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The great part of visitors go on an excursion to the Bukhan Mt. national park during July and August and also, the solid waste was generated nearly a half of the total amount at the same period. The major collection facilities in the national park were waste basket and incineration box. But the incineration box was too large in volume and very far in distance, and its collection period was irregular, so it was cause to the congestion of solid waste and bad smell and dirty. Therefore, to complete collection of solid waste, we must set up the waste basket which able to find within 40~50m from the origination place of solid waste and induce the visitors to throw the solid waste. It was obtained as moisture content: 48.5 wt%, volatile solid: 28.4wt%, fixed solid: 23.1 wt%, lower heating value: 1,320kca1/kg from experimental analysis of solid waste.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incineration operation is possible, but the generation quantity of solid waste was too small to construct incineration plant for heat recovery. It was found that it is suitable for the aerobic composting by mixing with the night soil which generate in the national park after the recovery of resources such as metals, glasses and plastics.

  • PDF

Drying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 using far-infrared ray dryer for the production of semi-dried mulberry fruit

  • Kim, Hyun-bok;Ju, Wan-Taek;Sung, Gyoo Byung;Lee, Myeong-Lyeol;Seo, Sang-D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5권1호
    • /
    • pp.45-50
    • /
    • 2017
  • Using the relatively low-cost, far-infrared dryer inhibiting the destruction of a variety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the mulberry fruit, we have studied to make semidry mulberry fruit that can be kept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far-infrared dryer step-by-step, we developed a semi-dry method of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mulberry fruit. In addition, by drying the coating of honey after removing the juice generated by the mulberry fruit thawing process improved the acceptability of the taste of fruit. We conducted heat treatment mulberry fruit into a $95^{\circ}C$ infrared dryer 5 hours to thaw the frozen mulberry fruit. After 10 to 20% of honey coating, the primary drying ($95^{\circ}C$, 5 hours) was implemented. then, the secondary drying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ar infrared dryer $60^{\circ}C$, for 10 hours. These manufacture process was able to obtain semi-dried mulberry fruit. Dry weight ratio and moisture content were around 25%, and around 16% level respectively. It was to enable long-term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far-infrared drying machine to manufacture semi-dried mulberry fruit can be a way to improve the farm income if applied to the farm.

농어촌 폐기물 처리용 최적의 열분해로 연구 (A Study on Optimal Thermal Decomposition Furnace to Dispose of the Wastes in Rural Area)

  • 김성중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4호
    • /
    • pp.79-88
    • /
    • 2005
  • 농어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최적의 소각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농어촌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나 폐비닐 또는 어촌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 그물 등은 그 처리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농어촌 폐기물의 성상분석 결과 도시의 폐기물과 마찬가지로 고열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맞는 설계도 고려대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폐기물을 A, B지역으로 나누어 물리 화학적 조성 및 발열량 등을 비교 분석하고, Lab Scale의 연소로를 이용하여 농어촌 폐기물의 유해가스 발생량에 대하여 각각 20회에 걸쳐 실험하였다. 특히 농어촌 지역 특성상 발생하기 쉬운 폐비닐, 폐 그물에 중점을 맞추어서 조사하였으며, 그에 따른 폐기물의 배출현황 및 시료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어촌 폐기물 특성상 발생하기 쉬운 폐 그물 이나 폐비닐 등의 합성수지계의 폐기물로 인해 발열량이 도시와는 1,000~1,900kcal/kg 가량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효과적으로 소각하기 위해서는 열분해 소각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PDF

가공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in Herbal Tea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rocess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4-540
    • /
    • 2014
  • 가공조건 차이에 따른 한방차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 팽화공정 처리한 것은 볶음공정을 한 것보다 조회분, 수분, 조단백질, 고형분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소폭 감소하였다. 벤조피렌[$B({\alpha})P$]함량은 0.35 ppb에서 0.18 ppb로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심한 열처리 과정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B({\alpha})P$이 검출된 이유는 식품 중 $B({\alpha})P$는 주로 음식을 조리, 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기 때문이다. 한방차에서 맛, 향, 색상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다소 텁텁한 느낌이 강하고, 시큼한 맛이 강하여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접촉 생체신호 모니터링 응용을 위한 세라믹/메탈 할라이드 복합막 기반 습도센서 개발 (Development of Humidity Sensor Based on Ceramic/Metal Halide Composite Films for Non-Contact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Applications)

  • 박태웅;김익수;김민지;박철환;서의경;오종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5권4호
    • /
    • pp.412-417
    • /
    • 2022
  • Capacitive-type humidity sensors with a high sensitivity and fast response/recovery times have attracted a great attention in non-contact respiration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applications. However, complicated fabrication processes involving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for the hygroscopic film is essential in the conventional ceramic-based humidity sensors. In this study, a non-toxic ceramic/metal halide (BaTiO3(BT)/NaCl) humidity sensor was prepa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solvent-free aerosol deposition process (A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Currently prepared BT/NaCl humidity sensor shows an excellent sensitivity (245 pF/RH%) and superior response/recovery times (3s/4s) due to the NaCl ionization effect resulting in an immense interfacial polarization. Furthermore, the non-contact respiration signal variation using the BT/NaCl sensor was determined to be over 700% by maintaining the distance of 20 cm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ensor. Through the AD-fabricated sensor in this study, we expect to develop a non-contact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respiratory disease detection and management, infant respiratory signal observation, and touchless skin moisture sensing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