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identification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5초

RFID을 이용한 산업용 제어 관리시스템에 적합한 미들웨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Data Processing for Control System Middle Ware and Algorithm RFID is Expected)

  • 강정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5A호
    • /
    • pp.451-459
    • /
    • 2007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반도체 칩을 내장하고 정보의 전송을 위해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시스템을 말한다. 이렇게 전송된 정보를 수집 및 여과하는 미들웨어, RFID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정보서버, 이력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가진 객체이력서버, 코드와 관련된 물품정보가 있는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RFID 검색서비스 등이 RFID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검증 실험에서와 같이 측정 분석 결과는 리더 간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안테나 단에서 수신되는 power 레벨이 최소한 -55dBm을 유지해야만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고, 안테나와 테그의 인식 거리는 최대 7m가지도 가능하지만, 원활한 인식을 위해서는 3-4m이내에서 사용되어야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선인식 시스템(RFID)에 적합한 알고리즘 분석 및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d Method for Mutual Suppression between of RFID is expected System and Algorithm)

  • 강정용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4권3호
    • /
    • pp.23-30
    • /
    • 2007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반도체 칩을 내장하고 정보의 전송을 위해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시스템을 말한다. 또 이렇게 전송된 정보를 수집 및 여과하는 미들웨어, RFID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정보서버, 이력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가진 객체이력서버, 코드와 관련된 물품정보가 있는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RFID 검색서비스 등이 RFID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에 대한 생산자 정보, 유통 경로, 상태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활용하기 위한 곳을 말하며 DB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검증 실험에서 측정분석 결과는 리더간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안테나단에서 수신되는 power 레벨이 최소한 -55dBm을 유지해야만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고, 안테나와 테그의 인식 거리는 최대 7m 까지도 가능하지만, 원활한 인식을 위해서는 3-4m이내에서 사용되어야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공단지역 PM2.5에 부착된 중금속 노출에 의한 건강위해성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PM2.5 in Industrial Areas)

  • 전준민;강병욱;이학성;이철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4-305
    • /
    • 2010
  • This study estimated the health risk of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 $(PM)_{2.5}$ in a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The $PM_{2.5}$ containing heavy metal was collected from January to November, 2008 using a denuder air sampler and by IC (Ion Chromatograph). The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in a four-step process; hazard identification, exposure assessment, dose-respons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In the hazard identification process, $Cr^{6+}$, Ni, As, and Pb were categorized as human carcinogens and probable human carcinogens, while Ti, Mn, Se, P, $Cr^{3+}$, Cu, and Zn were not classified as human carcinogens. It was found that the excess cancer risk by Central Tendency Exposure (CTE) of $Cr^{6+}$ and As in $PM_{2.5}$ was > $10^{-6}$, and the total excess cancer risk posed by carcinogen heavy metals in $PM_{2.5}$ was > $10^{-6}$.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total hazard index by CTE of non-carcinogen heavy metals in $PM_{2.5}$ was <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a high cancer risk associated whit inhalation of heavy metal-containing$PM_{2.5}$ in industrial areas.

비행시험 위해요인 식별 연구 (Flight Test Hazard Identification)

  • 김무근;임인규;유병선;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7
    • /
    • 2018
  • 항공기 개발 및 인증 등을 위한 비행시험은 타 항공우주산업 분야 보다 높은 항공 사고 발생 리스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전관리시스템 중 리스크 관리를 위해 필요한 위해요인 식별은 비행시험 중 유사한 항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발행되는 사고 통계자료는 통상적으로 상업 운송용 항공기에 국한된 것으로 비행시험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여건 또한 비행시험 중 위해요인을 식별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거나 가용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의 개발 및 인증을 위한 비행시험 특성을 알아보고, 리스크 관리에 필요한 국제기구 및 항공선진국 등에서 구축한 항공 사고 통계 및 예방 자료 등을 기초로 항공 사고의 주요 원인을 추적해 보았다. 미국교통안전위원회가 보유하고 있는 항공 사고/준사고 데이터베이스 중 비행시험 시 발생한 총 312건의 최종 보고서가 조사되었으며, 약 200여개의 비행시험 위해 요인이 식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종합 비행성능시험장의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압축력이 작용하는 철골 부재의 구조계 추정 (System identification of steel member acting compressive force using natural frequency of vibration)

  • 심학보;박수용;박효선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45-4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mpressive force of steel member using a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with vibration measurements. To date, several methods have been presented to estimate the compressive force using static and/or dynamic responses of the steel member. However, each and every one of these methods has its disadvantages as well as advantages in its procedures, level of accuracy, and equipment requirements. The paper report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vibration under monoharmonic excitation. The methodology uti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frequencies, the structural parameters, and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member. In this paper,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with a steel beam subjecting to several compressive forces and the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using bo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data.

  • PDF

지형특성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판단을 위한 비교 (A Comparison on the Ident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차아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7-73
    • /
    • 2014
  • 토석류를 포함하는 산사태 재해는 우리나라에서 그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사면재해 대응 및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지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 재해발생 이후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복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실질적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예방대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태 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실제 지형의 특성을 파악, 이를 위험도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형특성 분석을 위해 SINMAP(Stability INdex MAPping)과 통계적 기법인 벡터 분산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실제 산사태 발생현장에 적용, 지형특성과 산사태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제안한 두 가지 기법이 동일하게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한 지역에서는 산사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정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와의 관계성 규명에 있어 합리적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한 산사태 위험도는 SINMAP 기법이 토석류와 같은 연속성 산사태에 있어 보다 정확하게 판단되었으나 특정요소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법을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산사태 위험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적일반화물선 초기안전성평가(High-level FSA) 연구(2) (A Study on High-level FSA for Korean-flagged General Cargo Ships)

  • 이종갑;나성;김홍태;박재홍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0
    • /
    • 2011
  • 본 논문은, 국적일반화물선 공식안전성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 이하 FSA) 연구의 1, 2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및 식별된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결과를 소개한 "국적일반화물선 초기안전성평가 연구(1)"에 이어 FSA 연구의 3, 4 그리고 5단계를 수행한 내용으로, 국적일반화물선의 운용 중 발생 가능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위험도제어방안들(Risk Control Options)을 식별하는 단계(Step 3)와 식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 중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선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을 대상으로 한 비용-효과 평가 단계(Step 4: Cost-Benefit Assessment) 그리고 비용-효과 평가의 결과를 정리하여 국적일반화물선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단계(Step 5: Recommendation for Decision Making)의 결과를 소개하였다.

병원 급식시설의 미생물적 품질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Computer-Assisted Microbiolog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Hosipital Foodservice Operations)

  • 곽동경;장혜자;주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5
    • /
    • 1992
  • A computer-assisted microbiolog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HACCP data obtained from a 500 bed general hospital by assessing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six categories of menu item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ood product flow.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assisted microbiological quality assurance program in order to simplify the assessment procedures and to provide a maximum assurance to foodservice personnel and the public. A 16-Bit personnel computer compatible with IBM-PC/AT was used. The data base files and processing programs were created using dBASE III plus packages. The contents of the computerized system are summarized as knows: 1. When the input program for hazard analysis runs, a series of questions are asked to determine hazards and assess their severity and risks. Critical control points and monitoring methods for CCPs are identified and saved in Master file. 2. Output and search programs for hazard analysis are composed of 6 categories of recipe data file list, code identification list, and HACCP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menu item. 3.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ategory of recipe from 6 categories presented on the screen and runs data file list, a series of menu item list, CCP list, monitoring methods list are generated. When the code search program runs, menu names, ingredients, amounts and a series of codes are generated. 4. When the user types in a menu item and an identification code, critical control points and monitoring methods are generated for each menu item.

  • PDF

승객 휴대 전자기기 사용에 대한 위해요인 식별 및 리스크 평가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for the Use of Passeng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임인규;김무근;강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88-294
    • /
    • 2018
  • 항공기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고정된 모니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승객 개인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이로 인해 기내 설비는 간소해진 반면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전기 충전으로 안전에 대한 리스크는 증가되었다. 송신 기능이 없는 개인 휴대전자기기와 달리 와이파이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T-PED)의 사용이 허용되고 기내에서 배터리의 충전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내 무선 환경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NASA 항공안전보고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내 전자기기 사용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항공기 안전관리 관점에서 비행 중에 발생된 객실 전자장비나 승객 휴대용 전자기기(특히 스마트폰)로 인한 이벤트 발생 사례를 공유하여 개인용 전자기기의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잠재적 위해요인의 식별과 리스크 평가 작업이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리스크 완화 전략이 제시되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표시 제도의 개선 방향 제안 - 미국 유해정보소통기준(HCS)의 비판적 고찰에 기초하여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SDS and labels?: A critical review on the U.S. Standard 29 CFR Part 1910 Hazard Communication)

  • 김신범;이윤근;최영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2015
  •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U.S. Standard which affected Korean worker's Right-to-Know Standard and to propose the way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MSDS and labels. Methods: To review the U.S. Standard historically, we used the Federal Register, other criteria documentation and peer-reviewed literatures. Then we analysed major issues in the historical debatement on the worker's Right-to-Know Standard. Results: Korean MSDS Standard benchmarked the U.S.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 which finally established by President Reagan in 1983. Reagan's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 was aimed to preempt States Right-to-Know Acts for chemical industry and no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workers on chemical hazards. Too much protection on trade secrets and low reliability of hazard information were key problems of the U.S. Standard. Conclusions: We recommend some ways to improve Korean MSDS and Label Standard. First, A new analysis frame is needed to understand the U.S Standard. Second, hazard identification is the key element of reliable information and chemical name and CAS number should be on the label of the container. Third, trade secrets should be limited to low hazardous substances and be permitted by government before the chemical product is on the market.